2000年以后中国的对朝投资推测(Estimation of China's Investments on North Korea after 2000)

Sooho Lim, Junyoung Kim, Seokki Hong
{"title":"2000年以后中国的对朝投资推测(Estimation of China's Investments on North Korea after 2000)","authors":"Sooho Lim, Junyoung Kim, Seokki Hong","doi":"10.2139/SSRN.2859965","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북투자 시계열 데이터(2000~15)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의 대북 투자와 관련된 공식?비공식적 자료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제시하고, 기업별 투자 데이터 및 대리변수를 사용하여 기존 데이터를 보정한 독자적인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먼저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기업별 데이터를 취합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대북투자는 2009년 2차 핵실험 이후 일시적인 시기를 제외하면 2004~12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3년 3차 핵실험 이후 감소세 내지는 침체기로 돌아섰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중국 상무부 통계상의 추세와 대체로 일치하나, 본격적 투자 시점인 2004~05년 투자액 및 투자 추세가 언론보도와 큰 차이를 보여 연도별 대북투자액 추정을 위해서는 상당한 보정이 필요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업별 데이터에서 정보 개선 및 추가 식별이 가능한 데이터를 분리한 후, 이를 상무부 투자기업 리스트 등 9개의 추가 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와 매칭(Matching)하여 일차적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대비 거의 두 배에 달하는 표본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도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연도별 대북투자액을 합산한 결과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총액은 약 7억 5,998만 달러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중국 상무부 통계에서 제시된 동 기간 유량 합산액의 1.74배에 달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북투자가 가장 활발히 진행된 시기인 2005~07년 기간 발생한 투자의 상당 부분이 누락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위의 방식은 각 기업이 북한에 투자한 총 투자액이 최초 비준 시점에 모두 실행된 것으로 가정하고 있어, 투자기업이 많이 식별되거나 규모가 큰 광업 분야 투자가 활발한 해일수록 중국의 대북 투자액이 과도하게 추정되는 한계를 보였다.(후략) English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ime-series data of China's direct investments on North Korea from 2000 to 2015.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problems of official and unofficial reports related to the subject are presented first. Then, original estimates are drawn by utilizing firm-level overseas direct investment data and proxy variables. The estimation process starts from aggregation of data appeared in all press releases and earlier studies. A basic analysis on collected items suggests that China's ODI on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2004 to 2012, except for a brief period around Pyongyang's second nuclear test in 2009. Investments seem to enter a downturn after the third test in 2013. Such a trend matches the one suggested by China's Ministry of Commerce(MOFCOM) by and large; howe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volume and trend of ODI from 2004 to 2005. Therefore, some revisions are needed to obtain reasonable time-series data. This paper suggested the first stage estimates by matching former data of Chinese firms to newly obtained lists. The number of samples is almost doubled even after filtering out flawed ones. Based on a more reliable set of data, estimated amount of China's investment on North Korea after 2000 is 759.98 million dollars total. This estimate is 1.74 times larger than figures reported in MOFCOM, implying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ODI turns out to be unrecorded especially during 2005-2007. (The rest omitted).","PeriodicalId":341166,"journal":{"name":"PSN: Trade Relationships (Topic)","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9-2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추정 (Estimation of China's Investments on North Korea after 2000s)\",\"authors\":\"Sooho Lim, Junyoung Kim, Seokki Hong\",\"doi\":\"10.2139/SSRN.2859965\",\"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북투자 시계열 데이터(2000~15)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의 대북 투자와 관련된 공식?비공식적 자료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제시하고, 기업별 투자 데이터 및 대리변수를 사용하여 기존 데이터를 보정한 독자적인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먼저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기업별 데이터를 취합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대북투자는 2009년 2차 핵실험 이후 일시적인 시기를 제외하면 2004~12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3년 3차 핵실험 이후 감소세 내지는 침체기로 돌아섰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중국 상무부 통계상의 추세와 대체로 일치하나, 본격적 투자 시점인 2004~05년 투자액 및 투자 추세가 언론보도와 큰 차이를 보여 연도별 대북투자액 추정을 위해서는 상당한 보정이 필요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업별 데이터에서 정보 개선 및 추가 식별이 가능한 데이터를 분리한 후, 이를 상무부 투자기업 리스트 등 9개의 추가 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와 매칭(Matching)하여 일차적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대비 거의 두 배에 달하는 표본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도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연도별 대북투자액을 합산한 결과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총액은 약 7억 5,998만 달러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중국 상무부 통계에서 제시된 동 기간 유량 합산액의 1.74배에 달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북투자가 가장 활발히 진행된 시기인 2005~07년 기간 발생한 투자의 상당 부분이 누락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위의 방식은 각 기업이 북한에 투자한 총 투자액이 최초 비준 시점에 모두 실행된 것으로 가정하고 있어, 투자기업이 많이 식별되거나 규모가 큰 광업 분야 투자가 활발한 해일수록 중국의 대북 투자액이 과도하게 추정되는 한계를 보였다.(후략) English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ime-series data of China's direct investments on North Korea from 2000 to 2015.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problems of official and unofficial reports related to the subject are presented first. Then, original estimates are drawn by utilizing firm-level overseas direct investment data and proxy variables. The estimation process starts from aggregation of data appeared in all press releases and earlier studies. A basic analysis on collected items suggests that China's ODI on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2004 to 2012, except for a brief period around Pyongyang's second nuclear test in 2009. Investments seem to enter a downturn after the third test in 2013. Such a trend matches the one suggested by China's Ministry of Commerce(MOFCOM) by and large; howe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volume and trend of ODI from 2004 to 2005. Therefore, some revisions are needed to obtain reasonable time-series data. This paper suggested the first stage estimates by matching former data of Chinese firms to newly obtained lists. The number of samples is almost doubled even after filtering out flawed ones. Based on a more reliable set of data, estimated amount of China's investment on North Korea after 2000 is 759.98 million dollars total. This estimate is 1.74 times larger than figures reported in MOFCOM, implying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ODI turns out to be unrecorded especially during 2005-2007. (The rest omitted).\",\"PeriodicalId\":341166,\"journal\":{\"name\":\"PSN: Trade Relationships (Topic)\",\"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9-2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SN: Trade Relationships (Topic)\",\"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285996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SN: Trade Relationships (Topic)","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285996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Korean Abstract:本研究试图推测中国对北投资时序数据(2000 - 15)。为此,中国的对朝投资相关的公式?他指出了非正式数据中出现的问题,并提出了使用企业投资数据和代理变量修正现有数据的独立推定值。首先对2000年代以后媒体报道和先行研究中提出的各企业数据进行综合分析。据判断,中国的对北投资在2009年进行第二次核试验以后,除了暂时的时期外,在2004年至12年期间持续增加,但在2013年进行第三次核试验以后,开始减少甚至停滞。这一趋势与中国商务部统计上的趋势大体一致,但正式投资的2004年至05年的投资额及投资趋势与媒体报道有很大差异,因此发现要想推算各年度的对北投资额,需要进行相当大的修改。据此,本研究从现有企业数据中分离出可改善信息及进一步识别的数据后,将其与商务部投资企业清单等9个追加资料中可获得的信息进行匹配,提出了第一性推定值。通过这种方法,本研究得到了几乎是现有研究的两倍的标本。另外,以得出的数据为基础,对各年度对北投资额进行合算的结果显示,2000年以后,中国对北投资总额约达7.5998亿美元,是中国商务部统计中提出的同期流量总额的1.74倍。上述结果暗示,在对北投资最活跃的2005年至07年期间,发生的投资中有相当一部分被遗漏。只是上的方式,各企业对北韩投资的总投资额最初批准时间都在实行的家庭,被投资企业多的识别或规模较大的矿业领域投资活跃的海啸越中国的对北投资过度表现出了疑似界限。(后略)english abstract:This paper aims to estimate time-series data of China's direct investments on North Korea from 2000 to 2015。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problems of official and unofficial reports related to the subject are presented first。Then, original estimates are drawn by utilizing firm-level overseas direct investment data and proxy variables。The estimation process starts from aggregation of data appeared in all press releases and earlier studies。A basic analysis on collected items suggests that China's ODI on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2004 to 2012, except for A brief period around Pyongyang's second nuclear test in 2009。Investments seem to enter a downturn after the third test in 2013。Such a trend matches the one suggested by China's Ministry of Commerce(MOFCOM) by and large;howe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volume and trend of ODI from 2004 to 2005。Therefore, some revisions are needed to obtain reasonable time-series data。This paper suggested the first stage estimates by matching former data of Chinese firms to newly obtained lists。The number of samples is almost doubled even after filtering out flawed ones。Based on a more reliable set of data, estimated amount of China's investment on North Korea after 2000 is 759.98 million dollars total。这是1.74 times larger than figures reported in MOFCOM, implying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ODI turns out be unrecorded especially during 2005-2007。(the rest omitted)。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추정 (Estimation of China's Investments on North Korea after 2000s)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북투자 시계열 데이터(2000~15)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의 대북 투자와 관련된 공식?비공식적 자료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제시하고, 기업별 투자 데이터 및 대리변수를 사용하여 기존 데이터를 보정한 독자적인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먼저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기업별 데이터를 취합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대북투자는 2009년 2차 핵실험 이후 일시적인 시기를 제외하면 2004~12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3년 3차 핵실험 이후 감소세 내지는 침체기로 돌아섰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중국 상무부 통계상의 추세와 대체로 일치하나, 본격적 투자 시점인 2004~05년 투자액 및 투자 추세가 언론보도와 큰 차이를 보여 연도별 대북투자액 추정을 위해서는 상당한 보정이 필요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업별 데이터에서 정보 개선 및 추가 식별이 가능한 데이터를 분리한 후, 이를 상무부 투자기업 리스트 등 9개의 추가 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와 매칭(Matching)하여 일차적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대비 거의 두 배에 달하는 표본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도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연도별 대북투자액을 합산한 결과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총액은 약 7억 5,998만 달러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중국 상무부 통계에서 제시된 동 기간 유량 합산액의 1.74배에 달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북투자가 가장 활발히 진행된 시기인 2005~07년 기간 발생한 투자의 상당 부분이 누락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위의 방식은 각 기업이 북한에 투자한 총 투자액이 최초 비준 시점에 모두 실행된 것으로 가정하고 있어, 투자기업이 많이 식별되거나 규모가 큰 광업 분야 투자가 활발한 해일수록 중국의 대북 투자액이 과도하게 추정되는 한계를 보였다.(후략) English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ime-series data of China's direct investments on North Korea from 2000 to 2015.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problems of official and unofficial reports related to the subject are presented first. Then, original estimates are drawn by utilizing firm-level overseas direct investment data and proxy variables. The estimation process starts from aggregation of data appeared in all press releases and earlier studies. A basic analysis on collected items suggests that China's ODI on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2004 to 2012, except for a brief period around Pyongyang's second nuclear test in 2009. Investments seem to enter a downturn after the third test in 2013. Such a trend matches the one suggested by China's Ministry of Commerce(MOFCOM) by and large; howe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volume and trend of ODI from 2004 to 2005. Therefore, some revisions are needed to obtain reasonable time-series data. This paper suggested the first stage estimates by matching former data of Chinese firms to newly obtained lists. The number of samples is almost doubled even after filtering out flawed ones. Based on a more reliable set of data, estimated amount of China's investment on North Korea after 2000 is 759.98 million dollars total. This estimate is 1.74 times larger than figures reported in MOFCOM, implying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ODI turns out to be unrecorded especially during 2005-2007. (The rest omitted).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How Do International Trade Shocks Propagate Through Domestic Supply Chains? Connecting World Input-Output Tables and Firm-Level Supply Chain Data The Complementarity Between Trust and Contract Enforcement Level Playing Fields and Rebalancing: A Comment Hong Kong’s Intermediary Role on Funding the BRI: How Does it Fare Against Singapore? Diminishing American Power: The US - China Trade War, Sanctions, and Coronaviru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