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长骨病不明原因发热的临床研究","authors":"Sang Jin Kim","doi":"10.15188/KJOPP.2014.12.28.6.683","DOIUrl":null,"url":null,"abstract":"發熱은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조절중추의 변화로 정상수준 이상 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을 말한다. 인체는 주위 환경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체온조절중추에서 조직, 특히 근육, 간으로부터 열의 생산 과 소모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고체온증은 불충분한 열 소모로 인하여 시상하부에서 기준점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이다1). 불명열은 1961년 Petersdorf와 Beeson 등이 첫째, 수차례에 걸친 38.3°C 이상의 고열, 둘째, 3주 이상 지속되어져야 하고, 셋째 입원 후 일주일 이상의 검사에도 불구하고 發熱의 원인을 찾지 못 할 때로 정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정의가 내려진 이래, 어떤 질환들 이 이에 속하며,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 어 왔다2). 한의학에서는 發熱의 원인을 外感과 內傷으로 구분한다. 外感 의 경우는 외부에서 邪氣가 침범한 것으로 대개 風寒이나 溫熱邪氣 의 침범인 경우가 흔하며, 內傷의 경우는 贓腑經絡의 陰陽의 균형 이 어긋남으로써 發熱을 야기하게 된다3). 또 다른 관점으로, 『東醫 壽世保元』에서는 인체를 臟腑大小의 크기에 따라 4가지 체질로 분 류하고 각 체질 특성상 부족해지기 쉬운 기운을 保命之主라 명명하 여, 외부기운에 대한 保命之主의 반응에 따라 發熱이 나타난다고 보았고, 각 체질별로 保命之主가 다르기 때문에, 發熱양상 또한 다 르게 나타나는 것이라 하였다4). 그 중 太陰人은 肝大肺小한 특징으 로 呼散之氣가 부족하여 邪氣를 발산시키지 못하여 나타나는 發熱 과 肝熱이 肺로 올라가 肺燥하여 발생한 肝熱肺燥證의 일환으로 나 타나는 發熱이 나타난다. 呼散之氣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發熱의 양 상 중에 『東醫壽世保元』 太陰人 胃脘受寒表寒病에서 언급된 長感 病이라는 것은 惡寒과 發熱, 汗出이 며칠씩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 질환으로 일반적인 外感에 비해 발병기간이 길어 長感 病이라 명명되었다5). 본 임상증례는 양방 병원에서 3주 간 각종 검사 및 약물 치료 를 받았으나, 원인이 파악되지 않고 發熱증상이 지속되는 불명열 환 자에 대해 사상체질 진단을 통해 太陰人으로 판단되었고, 發熱이 수차례에 걸쳐 간헐적으로 수 시간씩 나타나며 發熱이 3주 이상 지 속된다는 發熱양상을 통해 長感病으로 진단하여 치료한 결과 양호 한 치료효과를 거두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PeriodicalId":12937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volume":"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4-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Fever of Unknown Origin Indicated by Janggam Disease\",\"authors\":\"Sang Jin Kim\",\"doi\":\"10.15188/KJOPP.2014.12.28.6.683\",\"DOIUrl\":null,\"url\":null,\"abstract\":\"發熱은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조절중추의 변화로 정상수준 이상 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을 말한다. 인체는 주위 환경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체온조절중추에서 조직, 특히 근육, 간으로부터 열의 생산 과 소모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고체온증은 불충분한 열 소모로 인하여 시상하부에서 기준점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이다1). 불명열은 1961년 Petersdorf와 Beeson 등이 첫째, 수차례에 걸친 38.3°C 이상의 고열, 둘째, 3주 이상 지속되어져야 하고, 셋째 입원 후 일주일 이상의 검사에도 불구하고 發熱의 원인을 찾지 못 할 때로 정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정의가 내려진 이래, 어떤 질환들 이 이에 속하며,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 어 왔다2). 한의학에서는 發熱의 원인을 外感과 內傷으로 구분한다. 外感 의 경우는 외부에서 邪氣가 침범한 것으로 대개 風寒이나 溫熱邪氣 의 침범인 경우가 흔하며, 內傷의 경우는 贓腑經絡의 陰陽의 균형 이 어긋남으로써 發熱을 야기하게 된다3). 또 다른 관점으로, 『東醫 壽世保元』에서는 인체를 臟腑大小의 크기에 따라 4가지 체질로 분 류하고 각 체질 특성상 부족해지기 쉬운 기운을 保命之主라 명명하 여, 외부기운에 대한 保命之主의 반응에 따라 發熱이 나타난다고 보았고, 각 체질별로 保命之主가 다르기 때문에, 發熱양상 또한 다 르게 나타나는 것이라 하였다4). 그 중 太陰人은 肝大肺小한 특징으 로 呼散之氣가 부족하여 邪氣를 발산시키지 못하여 나타나는 發熱 과 肝熱이 肺로 올라가 肺燥하여 발생한 肝熱肺燥證의 일환으로 나 타나는 發熱이 나타난다. 呼散之氣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發熱의 양 상 중에 『東醫壽世保元』 太陰人 胃脘受寒表寒病에서 언급된 長感 病이라는 것은 惡寒과 發熱, 汗出이 며칠씩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 질환으로 일반적인 外感에 비해 발병기간이 길어 長感 病이라 명명되었다5). 본 임상증례는 양방 병원에서 3주 간 각종 검사 및 약물 치료 를 받았으나, 원인이 파악되지 않고 發熱증상이 지속되는 불명열 환 자에 대해 사상체질 진단을 통해 太陰人으로 판단되었고, 發熱이 수차례에 걸쳐 간헐적으로 수 시간씩 나타나며 發熱이 3주 이상 지 속된다는 發熱양상을 통해 長感病으로 진단하여 치료한 결과 양호 한 치료효과를 거두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PeriodicalId\":12937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volume\":\"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4-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8/KJOPP.2014.12.28.6.6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8/KJOPP.2014.12.28.6.6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Fever of Unknown Origin Indicated by Janggam Disease
發熱은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조절중추의 변화로 정상수준 이상 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을 말한다. 인체는 주위 환경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체온조절중추에서 조직, 특히 근육, 간으로부터 열의 생산 과 소모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고체온증은 불충분한 열 소모로 인하여 시상하부에서 기준점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이다1). 불명열은 1961년 Petersdorf와 Beeson 등이 첫째, 수차례에 걸친 38.3°C 이상의 고열, 둘째, 3주 이상 지속되어져야 하고, 셋째 입원 후 일주일 이상의 검사에도 불구하고 發熱의 원인을 찾지 못 할 때로 정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정의가 내려진 이래, 어떤 질환들 이 이에 속하며,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 어 왔다2). 한의학에서는 發熱의 원인을 外感과 內傷으로 구분한다. 外感 의 경우는 외부에서 邪氣가 침범한 것으로 대개 風寒이나 溫熱邪氣 의 침범인 경우가 흔하며, 內傷의 경우는 贓腑經絡의 陰陽의 균형 이 어긋남으로써 發熱을 야기하게 된다3). 또 다른 관점으로, 『東醫 壽世保元』에서는 인체를 臟腑大小의 크기에 따라 4가지 체질로 분 류하고 각 체질 특성상 부족해지기 쉬운 기운을 保命之主라 명명하 여, 외부기운에 대한 保命之主의 반응에 따라 發熱이 나타난다고 보았고, 각 체질별로 保命之主가 다르기 때문에, 發熱양상 또한 다 르게 나타나는 것이라 하였다4). 그 중 太陰人은 肝大肺小한 특징으 로 呼散之氣가 부족하여 邪氣를 발산시키지 못하여 나타나는 發熱 과 肝熱이 肺로 올라가 肺燥하여 발생한 肝熱肺燥證의 일환으로 나 타나는 發熱이 나타난다. 呼散之氣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發熱의 양 상 중에 『東醫壽世保元』 太陰人 胃脘受寒表寒病에서 언급된 長感 病이라는 것은 惡寒과 發熱, 汗出이 며칠씩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 질환으로 일반적인 外感에 비해 발병기간이 길어 長感 病이라 명명되었다5). 본 임상증례는 양방 병원에서 3주 간 각종 검사 및 약물 치료 를 받았으나, 원인이 파악되지 않고 發熱증상이 지속되는 불명열 환 자에 대해 사상체질 진단을 통해 太陰人으로 판단되었고, 發熱이 수차례에 걸쳐 간헐적으로 수 시간씩 나타나며 發熱이 3주 이상 지 속된다는 發熱양상을 통해 長感病으로 진단하여 치료한 결과 양호 한 치료효과를 거두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