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在医学杂志上寻找合适的作者","authors":"R. Lee","doi":"10.12771/emj.2019.42.4.49","DOIUrl":null,"url":null,"abstract":"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최근 의학논문에 기재된 저자의 자격에 대한 논란이 사회적 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의학논문의 연구과정과 출판과정은 상식 과 윤리에 입각하여 작성되어야 하는 것은 원칙이나 그 정의에 대해 인지하고 규정화한 것은 ICMJ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가 1978년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URMs)를 제정발표하면서 명문화되었다. 국내에서는 의학학술지편집 인협의회(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이하 KAMJE)에서 당시 출판윤리위원회의 노력으로 한국판 의학 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이 2008년 1월 31일 발표되었으며 각 학술지에 배포되었다. 그 즈음 국내학술지들이 국제 의학학 술지 색인시스템에 등재되는 것에 폭발적인 관심이 있던 시기 였고, 이로부터 학술지 편집인들의 부단한 노력에 의해 현재 KAMJE 회원학술지 중 science citation index (SCI) 등재지가 46종, SCOPUS 등재지가 95종, pubmed central (PMC) 등재지 가 101종으로 괄목할 만한 학술지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제는 출판과 연구의 윤리성에 좀더 주의를 기울여서 올바 른 학술지 출판에 대한 문화를 정착시키고 불철주야 성실하게 연구에 임하는 대부분의 젊은 연구자들과 학생들에게 정당한 저자됨의 권리를 부여하여 연구의지를 고취시키고 올바른 학 술지 출판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그 누구도 예 외는 없으며 스스로의 양심에 걸맞는 연구자로서의 자세가 필 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과 전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연구처장 협의회에서 2019년 10월 1일 “연구논문의 부당한 저 자 표시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발표하였기에 그 내용을 편 집인의 글로 대신하고자 한다.","PeriodicalId":197820,"journal":{"name":"The Ewha Medical Journal","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0-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For the Appropriate Authorship in Medical Journal\",\"authors\":\"R. Lee\",\"doi\":\"10.12771/emj.2019.42.4.49\",\"DOIUrl\":null,\"url\":null,\"abstract\":\"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최근 의학논문에 기재된 저자의 자격에 대한 논란이 사회적 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의학논문의 연구과정과 출판과정은 상식 과 윤리에 입각하여 작성되어야 하는 것은 원칙이나 그 정의에 대해 인지하고 규정화한 것은 ICMJ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가 1978년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URMs)를 제정발표하면서 명문화되었다. 국내에서는 의학학술지편집 인협의회(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이하 KAMJE)에서 당시 출판윤리위원회의 노력으로 한국판 의학 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이 2008년 1월 31일 발표되었으며 각 학술지에 배포되었다. 그 즈음 국내학술지들이 국제 의학학 술지 색인시스템에 등재되는 것에 폭발적인 관심이 있던 시기 였고, 이로부터 학술지 편집인들의 부단한 노력에 의해 현재 KAMJE 회원학술지 중 science citation index (SCI) 등재지가 46종, SCOPUS 등재지가 95종, pubmed central (PMC) 등재지 가 101종으로 괄목할 만한 학술지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제는 출판과 연구의 윤리성에 좀더 주의를 기울여서 올바 른 학술지 출판에 대한 문화를 정착시키고 불철주야 성실하게 연구에 임하는 대부분의 젊은 연구자들과 학생들에게 정당한 저자됨의 권리를 부여하여 연구의지를 고취시키고 올바른 학 술지 출판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그 누구도 예 외는 없으며 스스로의 양심에 걸맞는 연구자로서의 자세가 필 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과 전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연구처장 협의회에서 2019년 10월 1일 “연구논문의 부당한 저 자 표시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발표하였기에 그 내용을 편 집인의 글로 대신하고자 한다.\",\"PeriodicalId\":197820,\"journal\":{\"name\":\"The Ewha Medical Journal\",\"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0-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Ewha Medical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2771/emj.2019.42.4.4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Ewha Medical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2771/emj.2019.42.4.4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reativecommons attribution non - commercial license (http: / /听说过。org / licenses / by - nc / 4.0) which permits unrestricted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最近医学论文中记载的对作者资格的争议成为了社会问题。医学论文的研究过程和出版过程应根据常识和伦理制定的是原则,但对其定义进行认知和规定的是ICMJ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1978年发表的《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journals (URMs)的制定和发布。2008年1月31日,韩国医学学术杂志编辑协会(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以下简称KAMJE)在当时出版伦理委员会的努力下,发表了韩国版医学论文出版伦理方针,并分发给了各学术杂志。当时国内学术杂志对登载在国际医学杂志索引系统上非常感兴趣,因此,在学术杂志编辑人员不断努力下,KAMJE会员学术杂志中science citation index (SCI)登载46种,SCOPUS登载95种;pubmed central (PMC)登载的杂志有101种,学术杂志取得了令人瞩目的发展。现在的出版和研究伦理性更注意,正确的稳定对学术期刊出版文化、不分昼夜投入认真研究的大部分年轻研究者和学生正当随着作者的权利赋予研究鼓吹意志,把不正确的学术出版文化定居还湖。在这一过程中,没有人例外,需要有符合自己良心的研究者的姿态。与此相关,韩国研究财团和全国大学产学合作团长•研究处长协议会于2019年10月1日发表了《预防研究论文不正当标记的劝告事项》,现将其内容用编集人的文章代替。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최근 의학논문에 기재된 저자의 자격에 대한 논란이 사회적 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의학논문의 연구과정과 출판과정은 상식 과 윤리에 입각하여 작성되어야 하는 것은 원칙이나 그 정의에 대해 인지하고 규정화한 것은 ICMJ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가 1978년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URMs)를 제정발표하면서 명문화되었다. 국내에서는 의학학술지편집 인협의회(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이하 KAMJE)에서 당시 출판윤리위원회의 노력으로 한국판 의학 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이 2008년 1월 31일 발표되었으며 각 학술지에 배포되었다. 그 즈음 국내학술지들이 국제 의학학 술지 색인시스템에 등재되는 것에 폭발적인 관심이 있던 시기 였고, 이로부터 학술지 편집인들의 부단한 노력에 의해 현재 KAMJE 회원학술지 중 science citation index (SCI) 등재지가 46종, SCOPUS 등재지가 95종, pubmed central (PMC) 등재지 가 101종으로 괄목할 만한 학술지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제는 출판과 연구의 윤리성에 좀더 주의를 기울여서 올바 른 학술지 출판에 대한 문화를 정착시키고 불철주야 성실하게 연구에 임하는 대부분의 젊은 연구자들과 학생들에게 정당한 저자됨의 권리를 부여하여 연구의지를 고취시키고 올바른 학 술지 출판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그 누구도 예 외는 없으며 스스로의 양심에 걸맞는 연구자로서의 자세가 필 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과 전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연구처장 협의회에서 2019년 10월 1일 “연구논문의 부당한 저 자 표시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발표하였기에 그 내용을 편 집인의 글로 대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