西马来西亚的宗教混杂与教会作为和解的使者

JONG-CHUN KIM
{"title":"西马来西亚的宗教混杂与教会作为和解的使者","authors":"JONG-CHUN KIM","doi":"10.30532/mce.2023.16.2.151","DOIUrl":null,"url":null,"abstract":"1874년 빵꼬르조약 이후 영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식민정책을 영국령 말라야에서 실행했다. 화인과 인도인을 주석광산과 고무농장으로 이주시킨 결과로 말레이시아에 종족과 종교가 연관된 다민족사회가 형성됐다. 그런데 서말레이시아의 종교적 혼종성은 더 오랜 역사를 지녔다. 1400년에 세워진 멀라까왕국에서 이슬람을 국교로 받아들이면서 토착신앙, 불교, 힌두 그리고 이슬람이 공존했다. 1511년 멀라까왕국이 멸망하고 포루투갈, 네덜란드, 영국이 식민지배할 때도 토착신앙, 불교, 힌두, 이슬람 그리고 기독교가 공존하는 다민족사회였다.BR 말레이시아에서 이슬람은 연방의 종교이며 헌법에서 무슬림으로 규정된 말레이인이 정치 권력을 움켜쥐고 있다. 두 말레이정당인 통일말레이국민기구(UMNO)와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이 정치 권력을 두고 경쟁하면서 이슬람은 핵심 주제가 되었고, 지속적인 이슬람화가 진행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생존과 공존을 위해서 종교적 혼종성을 핵심요소로 한 지역신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화해의 사자로서 교회는 기독교인이 화해의 대리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일상의 삶에서 화해를 만드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PeriodicalId":471323,"journ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Religious Hybridity of West Malaysia and The Church as a Messenger of Reconciliation\",\"authors\":\"JONG-CHUN KIM\",\"doi\":\"10.30532/mce.2023.16.2.151\",\"DOIUrl\":null,\"url\":null,\"abstract\":\"1874년 빵꼬르조약 이후 영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식민정책을 영국령 말라야에서 실행했다. 화인과 인도인을 주석광산과 고무농장으로 이주시킨 결과로 말레이시아에 종족과 종교가 연관된 다민족사회가 형성됐다. 그런데 서말레이시아의 종교적 혼종성은 더 오랜 역사를 지녔다. 1400년에 세워진 멀라까왕국에서 이슬람을 국교로 받아들이면서 토착신앙, 불교, 힌두 그리고 이슬람이 공존했다. 1511년 멀라까왕국이 멸망하고 포루투갈, 네덜란드, 영국이 식민지배할 때도 토착신앙, 불교, 힌두, 이슬람 그리고 기독교가 공존하는 다민족사회였다.BR 말레이시아에서 이슬람은 연방의 종교이며 헌법에서 무슬림으로 규정된 말레이인이 정치 권력을 움켜쥐고 있다. 두 말레이정당인 통일말레이국민기구(UMNO)와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이 정치 권력을 두고 경쟁하면서 이슬람은 핵심 주제가 되었고, 지속적인 이슬람화가 진행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생존과 공존을 위해서 종교적 혼종성을 핵심요소로 한 지역신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화해의 사자로서 교회는 기독교인이 화해의 대리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일상의 삶에서 화해를 만드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PeriodicalId\":471323,\"journ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532/mce.2023.16.2.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532/mce.2023.16.2.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1874年签署《面包科条约》后,英国为本国经济利益在英属马拉亚实行了殖民政策。华人和印度人移居锡矿山和橡胶农场的结果,在马来西亚形成了种族和宗教相关的多民族社会。但是,西马来西亚的宗教混宗性历史更悠久。1400年建立的穆拉卡王国接受伊斯兰为国教,土著信仰、佛教、印度教和伊斯兰共存。1511年穆拉卡王国灭亡,葡萄牙、荷兰、英国殖民统治时,也是土著信仰、佛教、印度教、伊斯兰以及基督教共存的多民族社会。BR在马来西亚,伊斯兰是联邦的宗教,在宪法上被规定为穆斯林的马来人掌握着政治权力。随着两个马来西亚政党——统一马来西亚国民组织(UMNO)和泛马来西亚伊斯兰党(PAS)争夺政治权力,伊斯兰成为核心主题,持续进行伊斯兰化。在这种情况下,教会为了生存和共存,有必要探索以宗教混杂性为核心要素的地区神学。作为和解的使者,教会意味着基督教徒以和解的代理人的身份,在日常生活中成为和解的人。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The Religious Hybridity of West Malaysia and The Church as a Messenger of Reconciliation
1874년 빵꼬르조약 이후 영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식민정책을 영국령 말라야에서 실행했다. 화인과 인도인을 주석광산과 고무농장으로 이주시킨 결과로 말레이시아에 종족과 종교가 연관된 다민족사회가 형성됐다. 그런데 서말레이시아의 종교적 혼종성은 더 오랜 역사를 지녔다. 1400년에 세워진 멀라까왕국에서 이슬람을 국교로 받아들이면서 토착신앙, 불교, 힌두 그리고 이슬람이 공존했다. 1511년 멀라까왕국이 멸망하고 포루투갈, 네덜란드, 영국이 식민지배할 때도 토착신앙, 불교, 힌두, 이슬람 그리고 기독교가 공존하는 다민족사회였다.BR 말레이시아에서 이슬람은 연방의 종교이며 헌법에서 무슬림으로 규정된 말레이인이 정치 권력을 움켜쥐고 있다. 두 말레이정당인 통일말레이국민기구(UMNO)와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이 정치 권력을 두고 경쟁하면서 이슬람은 핵심 주제가 되었고, 지속적인 이슬람화가 진행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생존과 공존을 위해서 종교적 혼종성을 핵심요소로 한 지역신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화해의 사자로서 교회는 기독교인이 화해의 대리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일상의 삶에서 화해를 만드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THE CHALLENGE OF MUSLIM INTEGRATION IN FRANCE AND ITS MISSIOLOGICAL IMPLICATIONS MUSLIM DIASPORAS: THE COMPLEXITY OF BEING OUTSIDE ‘THE LAND OF ISLAM’ AN EXAMINATION OF FAMILY MATTERS The Religious Hybridity of West Malaysia and The Church as a Messenger of Reconciliation INTERNATIONAL NETWORKS, RELIGIOUS DISCOURSE, AND MISSIONARIES IN HIGH-RISK COUNTRIES Understanding Syrian Refugee in Türkiye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