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23-09-30DOI: 10.30532/mce.2023.16.2.237
Sookgyeong Shim
시리아는 문명과 제국이 독특하게 융합된 지역이다. 시리아인들은 자신들의 오래되고 풍요로운 역사, 중동에서의 높은 지위, 낮은 문맹율을 근거로 자신들이 아랍세계의 정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들은 자부심이 강하다. 튀르키예내 시리아 난민의 많은 수는 수니 아랍족이지만 시리아가 중동에서 가장 다양한 종교적 종파와 종족 분포를 보이는 국가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사역할 때 시리아인이 어떤 종족, 종파에 속하는지 알고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BR 튀르키예는 역사적으로 많은 난민을 받아들인 국가였고, 2011년 시리아 내전이 발발한 이후 시리아 난민을 계속 받아들였다. 2022년 7월 현재 튀르키예내 시리아 난민은 365만명이 있는데 튀르키예 전역에 퍼져 있으며 튀르키예에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영향을 끼쳤다. 2023년 5월에 시행된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에서 시리아 난민 문제는 가장 중요한 이슈였고, 시리아 난민의 귀환은 시리아 정부를 비롯한 주변국과의 관계 등에 따라 가능한 문제인데 해결이 쉽지 않아 결국 많은 수의 시리아 난민들은 계속 튀르키예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튀르키예내 시리아 난민 선교는 튀르키예 교회와 선교사들에게 중요한 과제로 계속 남을 것이다.
{"title":"Understanding Syrian Refugee in Türkiye","authors":"Sookgyeong Shim","doi":"10.30532/mce.2023.16.2.237","DOIUrl":"https://doi.org/10.30532/mce.2023.16.2.237","url":null,"abstract":"시리아는 문명과 제국이 독특하게 융합된 지역이다. 시리아인들은 자신들의 오래되고 풍요로운 역사, 중동에서의 높은 지위, 낮은 문맹율을 근거로 자신들이 아랍세계의 정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들은 자부심이 강하다. 튀르키예내 시리아 난민의 많은 수는 수니 아랍족이지만 시리아가 중동에서 가장 다양한 종교적 종파와 종족 분포를 보이는 국가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사역할 때 시리아인이 어떤 종족, 종파에 속하는지 알고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BR 튀르키예는 역사적으로 많은 난민을 받아들인 국가였고, 2011년 시리아 내전이 발발한 이후 시리아 난민을 계속 받아들였다. 2022년 7월 현재 튀르키예내 시리아 난민은 365만명이 있는데 튀르키예 전역에 퍼져 있으며 튀르키예에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영향을 끼쳤다. 2023년 5월에 시행된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에서 시리아 난민 문제는 가장 중요한 이슈였고, 시리아 난민의 귀환은 시리아 정부를 비롯한 주변국과의 관계 등에 따라 가능한 문제인데 해결이 쉽지 않아 결국 많은 수의 시리아 난민들은 계속 튀르키예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튀르키예내 시리아 난민 선교는 튀르키예 교회와 선교사들에게 중요한 과제로 계속 남을 것이다.","PeriodicalId":471323,"journ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42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0532/mce.2023.16.2.195
Geon-Hee Park
한류의 전 세계적인 인기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외교 영역에서 한국 문화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아랍 지역에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호감을 보이면서 관련 문화예술행사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여러 이유들로 한국의 아랍권 공공외교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하다.BR 본 논문은 아랍 지역의 주요 국가인 아랍에미리트에서 최근 진행된 한국문화예술행사를 문화공공외교 측면에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공공외교법이 제정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문화예술행사를 통해 소개된 한국 문화를 현대문화와 전통문화 그리고 복합문화 3가지로 분류하고 이후 각 문화 부문들의 확산 과정과 인기 요인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문화예술행사를 활용한 한국의 아랍에미리트 문화공공외교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BR 활성화를 위한 매력적인 문화예술행사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3가지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현지 문화 수요에 민감한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할 것. 둘째, 문화적 공통성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융합 콘텐츠를 제작할 것. 마지막 셋째, 현지 문화코드를 고려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다.
{"title":"The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South Korea’s Cultural Public Diplomacy in the United Arab Emirates : Focusing on Cultural and Artistic Events","authors":"Geon-Hee Park","doi":"10.30532/mce.2023.16.2.195","DOIUrl":"https://doi.org/10.30532/mce.2023.16.2.195","url":null,"abstract":"한류의 전 세계적인 인기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외교 영역에서 한국 문화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아랍 지역에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호감을 보이면서 관련 문화예술행사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여러 이유들로 한국의 아랍권 공공외교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하다.BR 본 논문은 아랍 지역의 주요 국가인 아랍에미리트에서 최근 진행된 한국문화예술행사를 문화공공외교 측면에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공공외교법이 제정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문화예술행사를 통해 소개된 한국 문화를 현대문화와 전통문화 그리고 복합문화 3가지로 분류하고 이후 각 문화 부문들의 확산 과정과 인기 요인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문화예술행사를 활용한 한국의 아랍에미리트 문화공공외교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BR 활성화를 위한 매력적인 문화예술행사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3가지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현지 문화 수요에 민감한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할 것. 둘째, 문화적 공통성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융합 콘텐츠를 제작할 것. 마지막 셋째, 현지 문화코드를 고려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다.","PeriodicalId":471323,"journ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42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0532/mce.2023.16.2.99
Peter T. Lee
이 글은 프랑스의 무슬림 통합에 관련된 사회적 문제와 그 선교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서구 사회의 무슬림 통합은 선교학에 있어서 타당한 탐구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주제이다. 이것은 국제 이주, 디아스포라 공동체, 종교적 다원화 사회, 종족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 같은 중요한 현대의 문제와 교차하고 있다. 이 글은 지난 20년 동안 여러 사회 과학 분야에서 출판된 연구 문헌을 사용하여 프랑스 무슬림이 직면한 도전 및 차별, 정체성 협상의 생생한 경험을 조사하고 있다. 그 다음 유럽과 그 밖의 지역에서 무슬림들과 관계하기 위한 기독교적 대응조치와 선교학적 의미를 도출한다. 저자는 예수의 세가지 주요 명령을 기반으로 한 신학적, 윤리적 틀을 바탕으로 하여, 무슬림 이주민들과 관계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세 가지 차원의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주장한다.
{"title":"THE CHALLENGE OF MUSLIM INTEGRATION IN FRANCE AND ITS MISSIOLOGICAL IMPLICATIONS","authors":"Peter T. Lee","doi":"10.30532/mce.2023.16.2.99","DOIUrl":"https://doi.org/10.30532/mce.2023.16.2.99","url":null,"abstract":"이 글은 프랑스의 무슬림 통합에 관련된 사회적 문제와 그 선교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서구 사회의 무슬림 통합은 선교학에 있어서 타당한 탐구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주제이다. 이것은 국제 이주, 디아스포라 공동체, 종교적 다원화 사회, 종족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 같은 중요한 현대의 문제와 교차하고 있다. 이 글은 지난 20년 동안 여러 사회 과학 분야에서 출판된 연구 문헌을 사용하여 프랑스 무슬림이 직면한 도전 및 차별, 정체성 협상의 생생한 경험을 조사하고 있다. 그 다음 유럽과 그 밖의 지역에서 무슬림들과 관계하기 위한 기독교적 대응조치와 선교학적 의미를 도출한다. 저자는 예수의 세가지 주요 명령을 기반으로 한 신학적, 윤리적 틀을 바탕으로 하여, 무슬림 이주민들과 관계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세 가지 차원의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주장한다.","PeriodicalId":471323,"journ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32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0532/mce.2023.16.2.53
Jihye Jung
종교 단체들, 그 중에서도 특히 기독교 선교 단체들은, 선교사들이 개인적 위험과 정치적 위험에 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슬림 국가와 같이 문화적으로 위험한 국가로 그들을 왜 파송하는가? 본 논문은 국제 종교(선교) 단체에서 형성되고 확산되는 국제적인 선교 담론(discourse)이 지역 선교 단체들의 목적, 정체성, 가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한다. 즉, 국제적 담론이 기독교 선교사들의 동기를 부여하여 이들이 위험 국가로 파송되며,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이 국제기독교 네트워크에서 비롯되는 담론의 영향을 받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제 기독교 네트워크인 로잔운동 (The Lausanne Movement)과 AD 2000 and Beyond Movement의 문서들을 분석하여 여기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주제와 담론, 개념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전세계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이 운동의 영향으로 ‘미전도 종족’의 개념이 확산되었고, 이 영향으로 많은 선교사들이 위험국가로 선교를 자원하게 되었다. 또한 본 논문은 자료 분석을 통해 기독교인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미전도 종족에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담론을 이끌어내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宗教团体,尤其是基督教传教团体,尽管传教士有个人的危险和政治的危险,为什么要派他们去像穆斯林国家这样有文化危险的国家呢?本论文主张,在国际宗教(传教)团体中形成并扩散的国际性传教讨论(discourse)对地区传教团体的目的、认同感、价值的形成产生很大的影响。也就是说,国际讨论激发基督教传教士的动机,将他们派往危险国家,传教士的传教活动受到来自国际基督教网络的讨论的影响。为此,本论文分析了国际基督教网络“洛桑运动(The Lausanne Movement)”和“AD 2000 and Beyond Movement”的文件,提出了在这里发现的共同主题、讨论和概念。分析结果显示,受该运动的影响,“未传教种族”的概念在全球基督教徒中扩散,许多传教士自愿到危险国家传教。本文还通过分析数据,揭示了基督徒为什么和如何接近美传福音种族的问题。
{"title":"INTERNATIONAL NETWORKS, RELIGIOUS DISCOURSE, AND MISSIONARIES IN HIGH-RISK COUNTRIES","authors":"Jihye Jung","doi":"10.30532/mce.2023.16.2.53","DOIUrl":"https://doi.org/10.30532/mce.2023.16.2.53","url":null,"abstract":"종교 단체들, 그 중에서도 특히 기독교 선교 단체들은, 선교사들이 개인적 위험과 정치적 위험에 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슬림 국가와 같이 문화적으로 위험한 국가로 그들을 왜 파송하는가? 본 논문은 국제 종교(선교) 단체에서 형성되고 확산되는 국제적인 선교 담론(discourse)이 지역 선교 단체들의 목적, 정체성, 가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한다. 즉, 국제적 담론이 기독교 선교사들의 동기를 부여하여 이들이 위험 국가로 파송되며,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이 국제기독교 네트워크에서 비롯되는 담론의 영향을 받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제 기독교 네트워크인 로잔운동 (The Lausanne Movement)과 AD 2000 and Beyond Movement의 문서들을 분석하여 여기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주제와 담론, 개념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전세계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이 운동의 영향으로 ‘미전도 종족’의 개념이 확산되었고, 이 영향으로 많은 선교사들이 위험국가로 선교를 자원하게 되었다. 또한 본 논문은 자료 분석을 통해 기독교인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미전도 종족에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담론을 이끌어내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PeriodicalId":471323,"journ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2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0532/mce.2023.16.2.7
Ishak Ghatas
이슬람 지역에서 살아가는 무슬림들은 가족, 의식주, 제도 등과 관련하여 이슬람 신앙을 기반으로한 생활양식들을 준수하며 살아간다. 그런데 다양한 이유로 비이슬람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는 무슬림들은 이러한 생활 양식을 지켜내기 어려운 상황들에 도전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식생활, 은행거래, 가족 전통, 그리고 비무슬림 들과의 관계 등에 있어 비이슬람적인 관행들에 맞닥뜨려야하는 것이다. 이렇듯 서구에서 살아가는 이주 무슬림들이 겪게 되는 난관들에 대해 이슬람 법학자들이 이슬람 법의 근원들에 대해 재고하여 적절한 적용을 제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학파를 일컬어 “minority jurisprudence”라고 하는데 비이슬람 권에서 소수 종교인으로 살아가는 무슬림들을 위한 법 적용을 의미하는 것이다.BR 그러나 이러한 시도도 모든 상황에 있는 무슬림들에게 적용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고 특별히 가족내의 문제들에 대한 법률적 해석이 학문적이고 전문적이어서 무슬림들이 실생활에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럽에서 이민자로 살아가는 무슬림들이 가족내의 문제와 관련하여 전통적인 이슬람법을 적용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이러한 상황에 놓여 있는 무슬림들을 이해하고 다가가는데 실제적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itle":"MUSLIM DIASPORAS: THE COMPLEXITY OF BEING OUTSIDE ‘THE LAND OF ISLAM’ AN EXAMINATION OF FAMILY MATTERS","authors":"Ishak Ghatas","doi":"10.30532/mce.2023.16.2.7","DOIUrl":"https://doi.org/10.30532/mce.2023.16.2.7","url":null,"abstract":"이슬람 지역에서 살아가는 무슬림들은 가족, 의식주, 제도 등과 관련하여 이슬람 신앙을 기반으로한 생활양식들을 준수하며 살아간다. 그런데 다양한 이유로 비이슬람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는 무슬림들은 이러한 생활 양식을 지켜내기 어려운 상황들에 도전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식생활, 은행거래, 가족 전통, 그리고 비무슬림 들과의 관계 등에 있어 비이슬람적인 관행들에 맞닥뜨려야하는 것이다. 이렇듯 서구에서 살아가는 이주 무슬림들이 겪게 되는 난관들에 대해 이슬람 법학자들이 이슬람 법의 근원들에 대해 재고하여 적절한 적용을 제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학파를 일컬어 “minority jurisprudence”라고 하는데 비이슬람 권에서 소수 종교인으로 살아가는 무슬림들을 위한 법 적용을 의미하는 것이다.BR 그러나 이러한 시도도 모든 상황에 있는 무슬림들에게 적용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고 특별히 가족내의 문제들에 대한 법률적 해석이 학문적이고 전문적이어서 무슬림들이 실생활에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럽에서 이민자로 살아가는 무슬림들이 가족내의 문제와 관련하여 전통적인 이슬람법을 적용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이러한 상황에 놓여 있는 무슬림들을 이해하고 다가가는데 실제적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71323,"journ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volume":"6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33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0532/mce.2023.16.2.151
JONG-CHUN KIM
1874년 빵꼬르조약 이후 영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식민정책을 영국령 말라야에서 실행했다. 화인과 인도인을 주석광산과 고무농장으로 이주시킨 결과로 말레이시아에 종족과 종교가 연관된 다민족사회가 형성됐다. 그런데 서말레이시아의 종교적 혼종성은 더 오랜 역사를 지녔다. 1400년에 세워진 멀라까왕국에서 이슬람을 국교로 받아들이면서 토착신앙, 불교, 힌두 그리고 이슬람이 공존했다. 1511년 멀라까왕국이 멸망하고 포루투갈, 네덜란드, 영국이 식민지배할 때도 토착신앙, 불교, 힌두, 이슬람 그리고 기독교가 공존하는 다민족사회였다.BR 말레이시아에서 이슬람은 연방의 종교이며 헌법에서 무슬림으로 규정된 말레이인이 정치 권력을 움켜쥐고 있다. 두 말레이정당인 통일말레이국민기구(UMNO)와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이 정치 권력을 두고 경쟁하면서 이슬람은 핵심 주제가 되었고, 지속적인 이슬람화가 진행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생존과 공존을 위해서 종교적 혼종성을 핵심요소로 한 지역신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화해의 사자로서 교회는 기독교인이 화해의 대리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일상의 삶에서 화해를 만드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title":"The Religious Hybridity of West Malaysia and The Church as a Messenger of Reconciliation","authors":"JONG-CHUN KIM","doi":"10.30532/mce.2023.16.2.151","DOIUrl":"https://doi.org/10.30532/mce.2023.16.2.151","url":null,"abstract":"1874년 빵꼬르조약 이후 영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식민정책을 영국령 말라야에서 실행했다. 화인과 인도인을 주석광산과 고무농장으로 이주시킨 결과로 말레이시아에 종족과 종교가 연관된 다민족사회가 형성됐다. 그런데 서말레이시아의 종교적 혼종성은 더 오랜 역사를 지녔다. 1400년에 세워진 멀라까왕국에서 이슬람을 국교로 받아들이면서 토착신앙, 불교, 힌두 그리고 이슬람이 공존했다. 1511년 멀라까왕국이 멸망하고 포루투갈, 네덜란드, 영국이 식민지배할 때도 토착신앙, 불교, 힌두, 이슬람 그리고 기독교가 공존하는 다민족사회였다.BR 말레이시아에서 이슬람은 연방의 종교이며 헌법에서 무슬림으로 규정된 말레이인이 정치 권력을 움켜쥐고 있다. 두 말레이정당인 통일말레이국민기구(UMNO)와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이 정치 권력을 두고 경쟁하면서 이슬람은 핵심 주제가 되었고, 지속적인 이슬람화가 진행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생존과 공존을 위해서 종교적 혼종성을 핵심요소로 한 지역신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화해의 사자로서 교회는 기독교인이 화해의 대리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일상의 삶에서 화해를 만드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PeriodicalId":471323,"journal":{"name":"Muslim-Christian encounter","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3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