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家庭特征和家庭素养环境对多元文化儿童韩语能力的影响——以中国婚姻移民家庭学龄前儿童为研究对象","authors":"Minwha Yang, Xinxiu Chu, Bobae Kim","doi":"10.18541/SER.2018.11.17.4.29","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 가정의 물리적 특성이나 가정언어 및 가정문해환경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인인 아버지와 중국인인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의 유아기 자녀였다. 어머니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 아동의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문해환경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상․하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카이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수입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아동이 엄마에게 사용하는 언어, 가정 내 도서의 수, 도서관 활용 빈도, 쓰기도구의 수, 부모가 아동에게 한글을 써 주는 시간과 스스로 한글을 쓰는 데 할애하는 시간에서 한국어 능력 상 · 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TV나 컴퓨터 등 디지털 언어 · 문해환경의 활용 및 노출정도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능력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 언어, 읽기, 쓰기, 디지털 환경중에 쓰기환경만이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정 언어 및 가정문해환경에서도 특정 요인들이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들은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타난 쓰기환경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9697,"journ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volume":"15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Differences of Family Characteristics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for Multi-cultural Children’s Korean Language Abilities: Focused on the Pre-school Children from the Chinese Marriage Immigrant Families\",\"authors\":\"Minwha Yang, Xinxiu Chu, Bobae Kim\",\"doi\":\"10.18541/SER.2018.11.17.4.29\",\"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 가정의 물리적 특성이나 가정언어 및 가정문해환경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인인 아버지와 중국인인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의 유아기 자녀였다. 어머니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 아동의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문해환경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상․하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카이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수입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아동이 엄마에게 사용하는 언어, 가정 내 도서의 수, 도서관 활용 빈도, 쓰기도구의 수, 부모가 아동에게 한글을 써 주는 시간과 스스로 한글을 쓰는 데 할애하는 시간에서 한국어 능력 상 · 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TV나 컴퓨터 등 디지털 언어 · 문해환경의 활용 및 노출정도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능력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 언어, 읽기, 쓰기, 디지털 환경중에 쓰기환경만이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정 언어 및 가정문해환경에서도 특정 요인들이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들은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타난 쓰기환경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9697,\"journ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volume\":\"15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541/SER.2018.11.17.4.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541/SER.2018.11.17.4.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Differences of Family Characteristics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for Multi-cultural Children’s Korean Language Abilities: Focused on the Pre-school Children from the Chines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 가정의 물리적 특성이나 가정언어 및 가정문해환경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인인 아버지와 중국인인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의 유아기 자녀였다. 어머니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 아동의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문해환경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상․하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카이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수입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아동이 엄마에게 사용하는 언어, 가정 내 도서의 수, 도서관 활용 빈도, 쓰기도구의 수, 부모가 아동에게 한글을 써 주는 시간과 스스로 한글을 쓰는 데 할애하는 시간에서 한국어 능력 상 · 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TV나 컴퓨터 등 디지털 언어 · 문해환경의 활용 및 노출정도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능력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 언어, 읽기, 쓰기, 디지털 환경중에 쓰기환경만이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정 언어 및 가정문해환경에서도 특정 요인들이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들은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타난 쓰기환경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期刊介绍: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 - Physics Education Research (PRST-PER) is a peer reviewed electronic-only journal sponsored by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 (AAPT) and the APS Forum on Education. The journal covers the full range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earch on the teaching and/or learning of physics. PRST-PER is distributed without charge and financed by publication charges to the authors or to the authors" institutions. The criteria for acceptance of articles include the high scholarly and technical standards of our other Physical Review jour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