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水域黑喉海参的成熟

H. Kim, D. Kwon, Jeong-Ho Park, Yeonghye Kim
{"title":"韩国水域黑喉海参的成熟","authors":"H. Kim, D. Kwon, Jeong-Ho Park, Yeonghye Kim","doi":"10.5657/KFAS.2020.0103","DOIUrl":null,"url":null,"abstract":"눈볼대(Doederleinia berycoides)는 농어목(Perciformes) 반 딧불게르치과(Acropomatidae)에 속하는 어류로 약 40 cm까지 성장하며, 중, 대형외끌이 어업을 비롯한 기선저인망어업에 어 획되는 대표 어종으로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 중 하나이 다(Cha et al., 2010; Huh et al., 2011). 특히 한국, 일본 등지에서 수산 식품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며, 눈볼대의 생산량은 2004 년 처음으로 3,000 톤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후 2018년 까지의 추이를 살펴보면, 2006년 2,044톤으로 가장 적게 생산 되었고, 2018년에 3,949톤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KOSIS, 2019). 생산 금액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생산금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다(KOSIS, 2019). 2000년대 들어서 눈볼대를 비롯한 대부분의 자원량이 감소했 다고 알려져 있지만 눈볼대의 생산량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Choi et al., 2019). 수산 식품으로써 지속된 높은 선호도와 생 산량 증가 및 생산 금액 증가 양상으로 볼 때 눈볼대의 가치는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눈볼대의 높은 상업적 가치에 비해 이와 관련된 연구 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눈볼대에 대한 연구로는 분포 위치, 회유 경로 및 성장 양상에 관한 연구(Lee, 1965; Park, 1970), 연 령과 성장에 관한 연구(Kojima, 1976; Choi et al., 2012), 산란 기와 성숙생태에 관련한 연구(Cha et al., 2010), 주 먹이생물에 관한 연구(Oh, 2009; Huh et al., 2011), 자원학특성치(Choi et al., 2014)와 같은 연구가 일부 진행 되었지만,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신뢰도 높은 평가 지표를 위해 현재 생물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전 연구와의 산란기, 성숙도 등과 같 은 변동 사항을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눈볼대 의 생식소숙도지수, 성숙도와 같은 변화하는 눈볼대 자원의 성 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9 1","pages":"103-106"},"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aturation of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in Waters of Southern Korea\",\"authors\":\"H. Kim, D. Kwon, Jeong-Ho Park, Yeonghye Kim\",\"doi\":\"10.5657/KFAS.2020.0103\",\"DOIUrl\":null,\"url\":null,\"abstract\":\"눈볼대(Doederleinia berycoides)는 농어목(Perciformes) 반 딧불게르치과(Acropomatidae)에 속하는 어류로 약 40 cm까지 성장하며, 중, 대형외끌이 어업을 비롯한 기선저인망어업에 어 획되는 대표 어종으로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 중 하나이 다(Cha et al., 2010; Huh et al., 2011). 특히 한국, 일본 등지에서 수산 식품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며, 눈볼대의 생산량은 2004 년 처음으로 3,000 톤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후 2018년 까지의 추이를 살펴보면, 2006년 2,044톤으로 가장 적게 생산 되었고, 2018년에 3,949톤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KOSIS, 2019). 생산 금액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생산금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다(KOSIS, 2019). 2000년대 들어서 눈볼대를 비롯한 대부분의 자원량이 감소했 다고 알려져 있지만 눈볼대의 생산량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Choi et al., 2019). 수산 식품으로써 지속된 높은 선호도와 생 산량 증가 및 생산 금액 증가 양상으로 볼 때 눈볼대의 가치는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눈볼대의 높은 상업적 가치에 비해 이와 관련된 연구 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눈볼대에 대한 연구로는 분포 위치, 회유 경로 및 성장 양상에 관한 연구(Lee, 1965; Park, 1970), 연 령과 성장에 관한 연구(Kojima, 1976; Choi et al., 2012), 산란 기와 성숙생태에 관련한 연구(Cha et al., 2010), 주 먹이생물에 관한 연구(Oh, 2009; Huh et al., 2011), 자원학특성치(Choi et al., 2014)와 같은 연구가 일부 진행 되었지만,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신뢰도 높은 평가 지표를 위해 현재 생물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전 연구와의 산란기, 성숙도 등과 같 은 변동 사항을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눈볼대 의 생식소숙도지수, 성숙도와 같은 변화하는 눈볼대 자원의 성 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9 1\",\"pages\":\"103-106\"},\"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1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1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雪带(Doederleinia berycoides)是Perciformes、Acropomatidae(英语:Acropomatidae)、中、大型拖网渔业及其他拖网渔业的代表性鱼种之一,具有很高的商业价值(Cha et al., 2010;huh et al ., 2011)。特别是在韩国、日本等地水产食品,喜好度很高,大家看到眼睛架产量在2004年首次出现3 000吨以上,此后到2018年的翠纵观2006年2 044吨,生产得最少的,2018年生产最多的3 949吨(kosis、2019)。从2006年到2018年,每年的生产金额都在持续增加(KOSIS, 2019)。据悉,进入21世纪以后,包括雪球台在内的大部分资源量都有所减少,但雪球台的生产量并没有大幅减少(Choi et al., 2019)。作为水产食品,从持续的较高的喜好度和产生量的增加及生产金额的增加来看,可以判断出“眼罩”的价值将会更高。但是,与眼睛的高度商业价值相比,与此相关的研究相对不足。眼睛带的研究包括分布位置、洄游路径和生长情况(Lee, 1965;帕克,1970),年龄与成长研究(Kojima, 1976;Choi et al., 2012),产卵期和成熟生态研究(Cha et al., 2010),主要食物生物研究(Oh, 2009;huh et al ., 2011),资源学特性值(choi et al ., 2014)和相同的部分进行了研究,但是持续的管理为可信度较高的评价指标为目前需要,为了掌握生物学特性的研究,与之前研究的产卵期,成熟度等变动事项,有必要研究。因此,本研究将提供眼睛带的生殖小成熟度指数、成熟度等变化的眼睛带资源的成熟相关信息。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Maturation of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in Waters of Southern Korea
눈볼대(Doederleinia berycoides)는 농어목(Perciformes) 반 딧불게르치과(Acropomatidae)에 속하는 어류로 약 40 cm까지 성장하며, 중, 대형외끌이 어업을 비롯한 기선저인망어업에 어 획되는 대표 어종으로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 중 하나이 다(Cha et al., 2010; Huh et al., 2011). 특히 한국, 일본 등지에서 수산 식품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며, 눈볼대의 생산량은 2004 년 처음으로 3,000 톤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후 2018년 까지의 추이를 살펴보면, 2006년 2,044톤으로 가장 적게 생산 되었고, 2018년에 3,949톤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KOSIS, 2019). 생산 금액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생산금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다(KOSIS, 2019). 2000년대 들어서 눈볼대를 비롯한 대부분의 자원량이 감소했 다고 알려져 있지만 눈볼대의 생산량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Choi et al., 2019). 수산 식품으로써 지속된 높은 선호도와 생 산량 증가 및 생산 금액 증가 양상으로 볼 때 눈볼대의 가치는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눈볼대의 높은 상업적 가치에 비해 이와 관련된 연구 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눈볼대에 대한 연구로는 분포 위치, 회유 경로 및 성장 양상에 관한 연구(Lee, 1965; Park, 1970), 연 령과 성장에 관한 연구(Kojima, 1976; Choi et al., 2012), 산란 기와 성숙생태에 관련한 연구(Cha et al., 2010), 주 먹이생물에 관한 연구(Oh, 2009; Huh et al., 2011), 자원학특성치(Choi et al., 2014)와 같은 연구가 일부 진행 되었지만,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신뢰도 높은 평가 지표를 위해 현재 생물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전 연구와의 산란기, 성숙도 등과 같 은 변동 사항을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눈볼대 의 생식소숙도지수, 성숙도와 같은 변화하는 눈볼대 자원의 성 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The Mass Production of Fertilized Eggs for Industrial Aquaculture of the Convict Grouper Hyporthodus septemfasicatus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teolytic Enzyme Stability of Extract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Effect of Shell-type,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Shell Infiltration of Free-living Conchocelis of Three Pyropia Species Effect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to Soy Protein Concentrate as a Fishmeal Replacement in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West Coast of Yellow Sea of Korea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