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发育性障碍青少年性教育项目的系统回顾","authors":"Yu Ri Kim","doi":"10.18541/SER.2018.08.17.3.77","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성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외 선행연구 총 18편을 선정하고, 선정된 논문의 전반적 연구동향 및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성교육 프로그램은 자폐성장애 청소년보다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해 더 많이 개발되었다.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양한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지만 통제집단의 부재, 자체개발검사도구 사용 등의 제한점이 있었다. 국내외 연구는 7개의 주제(해부학, 사춘기 및 청소년 발달, 정체성, 임신과 생식, 성병과 에이즈, 건강한 관계, 개인안전)를 다루었지만 그 내용의 범위는 다양하였으며, 강의, 토의, 역할극을 주로 활용하여 그 내용을 전달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였다.","PeriodicalId":49697,"journ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volume":"4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A Systematic Review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authors\":\"Yu Ri Kim\",\"doi\":\"10.18541/SER.2018.08.17.3.77\",\"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성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외 선행연구 총 18편을 선정하고, 선정된 논문의 전반적 연구동향 및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성교육 프로그램은 자폐성장애 청소년보다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해 더 많이 개발되었다.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양한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지만 통제집단의 부재, 자체개발검사도구 사용 등의 제한점이 있었다. 국내외 연구는 7개의 주제(해부학, 사춘기 및 청소년 발달, 정체성, 임신과 생식, 성병과 에이즈, 건강한 관계, 개인안전)를 다루었지만 그 내용의 범위는 다양하였으며, 강의, 토의, 역할극을 주로 활용하여 그 내용을 전달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였다.\",\"PeriodicalId\":49697,\"journ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volume\":\"4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541/SER.2018.08.17.3.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541/SER.2018.08.17.3.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ystematic Review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성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외 선행연구 총 18편을 선정하고, 선정된 논문의 전반적 연구동향 및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성교육 프로그램은 자폐성장애 청소년보다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해 더 많이 개발되었다.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양한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지만 통제집단의 부재, 자체개발검사도구 사용 등의 제한점이 있었다. 국내외 연구는 7개의 주제(해부학, 사춘기 및 청소년 발달, 정체성, 임신과 생식, 성병과 에이즈, 건강한 관계, 개인안전)를 다루었지만 그 내용의 범위는 다양하였으며, 강의, 토의, 역할극을 주로 활용하여 그 내용을 전달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期刊介绍: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 - Physics Education Research (PRST-PER) is a peer reviewed electronic-only journal sponsored by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 (AAPT) and the APS Forum on Education. The journal covers the full range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earch on the teaching and/or learning of physics. PRST-PER is distributed without charge and financed by publication charges to the authors or to the authors" institutions. The criteria for acceptance of articles include the high scholarly and technical standards of our other Physical Review jour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