济州岛幼鱼的形态描述和分子鉴定(双鱼科)

Seo-Ha Jang, Jin-Koo Kim, H. Yu
{"title":"济州岛幼鱼的形态描述和分子鉴定(双鱼科)","authors":"Seo-Ha Jang, Jin-Koo Kim, H. Yu","doi":"10.5657/KFAS.2020.0794","DOIUrl":null,"url":null,"abstract":"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는 전 세계에 6속 45종이 보고되 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속 2종[황성대(Peristedion orientale, Temminck and Schlegel, 1843); 별성대(Satyrichthys rieffeli, Kaup, 1859)]이 보고되어 있다(Nelson et al., 2016; MABIK, 2019; Fricke et al., 2020). 황성대과 어류는 전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의 50-800 m까지 다양한 수심의 바닥에 서식한다 (Miller and Richard, 2002; Tenda and Kawai, 2012; Kawai, 2013). 황성대과 어류는 몸을 둘러싸는 4열의 골판을 몸의 양쪽 에 가지는 점, 신장된 주둥이를 가지는 점, 양쪽 전안와골이 뒤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 가슴지느러미 하단에 2개의 유리 연 조를 가지는 점, 아래턱에 수염을 가지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다 (Kawai, 2013; Nelson et al., 2016). 외부형태학적 특징 및 골격 형태를 기반으로 한 황성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결과, 황성 대과 어류는 성대과(Triglidae) 어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 으로 밝혀졌으며(Washington et al., 1984; Imamura,1996), 최 근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황성대과의 일부 종이 성대과 내에 위치하는 결과를 보여 두 과 간의 분류학적 위치가 재조명 되고 있다(Portnoy et al., 2017; Smith et al., 2018). 우리나라에서는 Mori (1952)가 황성대를 성대과의 1종으로 기재하였으며, 이후 Chyung (1977)은 Mori (1952)가 성대과로 분류하였던 황성대 를 황성대과로 전과시켰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황성대과에 관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9년 5월 5일 우리나라 제주도 근해 244-6 해구에서 국립 수산과학원 시험조사선(탐구 22호)에 의해 황성대과 치어 1개 체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안상극이 뾰족한 산 모양 을 띠는 점, 후측두극이 매우 길게 발달한 점, 몸통의 흑색소포 형태 등에서 Okiyama (2014)에 기재된 황성대과의 Peristedion sp.와 유사하였으나, 황성대과 자치어의 정보가 부족하여 형태 정보만으로는 종동정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mitochondrial DNA COI 영역을 사용한 DNA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eristedion liorhynchus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P. liorhynchus의 형태학적, 유전학적 특징을 기 한국 제주도 근해에서 출현한 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 1미기록종, Peristedion liorhynchus 치어의 형태기재 및 분자동정 장서하·김진구*·유효재","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9 1","pages":"794-799"},"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Juvenile Peristedion liorhynchus (Peristediidae, Pisces) from Jeju-do Island, Korea\",\"authors\":\"Seo-Ha Jang, Jin-Koo Kim, H. Yu\",\"doi\":\"10.5657/KFAS.2020.0794\",\"DOIUrl\":null,\"url\":null,\"abstract\":\"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는 전 세계에 6속 45종이 보고되 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속 2종[황성대(Peristedion orientale, Temminck and Schlegel, 1843); 별성대(Satyrichthys rieffeli, Kaup, 1859)]이 보고되어 있다(Nelson et al., 2016; MABIK, 2019; Fricke et al., 2020). 황성대과 어류는 전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의 50-800 m까지 다양한 수심의 바닥에 서식한다 (Miller and Richard, 2002; Tenda and Kawai, 2012; Kawai, 2013). 황성대과 어류는 몸을 둘러싸는 4열의 골판을 몸의 양쪽 에 가지는 점, 신장된 주둥이를 가지는 점, 양쪽 전안와골이 뒤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 가슴지느러미 하단에 2개의 유리 연 조를 가지는 점, 아래턱에 수염을 가지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다 (Kawai, 2013; Nelson et al., 2016). 외부형태학적 특징 및 골격 형태를 기반으로 한 황성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결과, 황성 대과 어류는 성대과(Triglidae) 어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 으로 밝혀졌으며(Washington et al., 1984; Imamura,1996), 최 근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황성대과의 일부 종이 성대과 내에 위치하는 결과를 보여 두 과 간의 분류학적 위치가 재조명 되고 있다(Portnoy et al., 2017; Smith et al., 2018). 우리나라에서는 Mori (1952)가 황성대를 성대과의 1종으로 기재하였으며, 이후 Chyung (1977)은 Mori (1952)가 성대과로 분류하였던 황성대 를 황성대과로 전과시켰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황성대과에 관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9년 5월 5일 우리나라 제주도 근해 244-6 해구에서 국립 수산과학원 시험조사선(탐구 22호)에 의해 황성대과 치어 1개 체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안상극이 뾰족한 산 모양 을 띠는 점, 후측두극이 매우 길게 발달한 점, 몸통의 흑색소포 형태 등에서 Okiyama (2014)에 기재된 황성대과의 Peristedion sp.와 유사하였으나, 황성대과 자치어의 정보가 부족하여 형태 정보만으로는 종동정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mitochondrial DNA COI 영역을 사용한 DNA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eristedion liorhynchus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P. liorhynchus의 형태학적, 유전학적 특징을 기 한국 제주도 근해에서 출현한 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 1미기록종, Peristedion liorhynchus 치어의 형태기재 및 분자동정 장서하·김진구*·유효재\",\"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9 1\",\"pages\":\"794-799\"},\"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79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79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黄城大科(Peristediidae)鱼类在全世界有6属45种,我国有2属2种[Peristedion orientale, Temminck and Schlegel, 1843);Satyrichthys rieffeli, Kaup, 1859)] (Nelson et al., 2016;mabik, 2019;fricke et al ., 2020)。黄城大科鱼类栖息在全世界温带及热带海域50-800米水深的海底(Miller and Richard, 2002;tenda and kawai, 2012;kawai, 2013)。围绕皇城鱼类身体记大过4身体两旁有干劲骨板的分,新疆有嘴的分,双方前伸人安和的进球后,分,胸鳍下方2个玻璃具有延条分,下巴上有胡子的分等具有的特征(kawai, 2013;nelson et al ., 2016)。基于外部形态学特征和骨骼形态的黄成大科系统分类学研究表明,黄成大科鱼类与声带(Triglidae)鱼类有着密切的联系(Washington et al., 1984;Imamura,1996),在最根分子系统的研究中,黄成大科的部分物种位于声带内,重新揭示了两科之间的分类学位置(Portnoy et al., 2017;史密斯et al ., 2018)。在我国,Mori(1952)将黄成大记载为声带科的一种,之后Chyung(1977)将Mori(1952)分类为声带科的黄成大转为黄成大科。此后,我国几乎没有进行过有关皇城大果的研究。2019年5月5日,在我国济州岛近海244-6海口,国立水产科学院试验调查船(探索22号)首次采集到了黄城大瓜鱼苗1个体。本个体类似于Okiyama(2014)记载的黄城大科的Peristedion sp.,里面的眼相克呈尖尖的山状,后颞极很长,身体的黑色小布形态等,但由于黄城大科的信息不足,仅靠形态信息是无法进行物种动态的。因此,使用mitochondrial DNA COI区域进行了DNA分析,并被鉴定为Peristedion liorhynchus。在本研究中,我国首次出现的P. liorhynchus的形态学、遗传学特征是在韩国济州岛近海出现的黄成大科(Peristediidae)鱼类未记录种,Peristedion liorhynchus鱼苗的形态记载及分子动态章书河、金镇九*、有效材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Juvenile Peristedion liorhynchus (Peristediidae, Pisces) from Jeju-do Island, Korea
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는 전 세계에 6속 45종이 보고되 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속 2종[황성대(Peristedion orientale, Temminck and Schlegel, 1843); 별성대(Satyrichthys rieffeli, Kaup, 1859)]이 보고되어 있다(Nelson et al., 2016; MABIK, 2019; Fricke et al., 2020). 황성대과 어류는 전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의 50-800 m까지 다양한 수심의 바닥에 서식한다 (Miller and Richard, 2002; Tenda and Kawai, 2012; Kawai, 2013). 황성대과 어류는 몸을 둘러싸는 4열의 골판을 몸의 양쪽 에 가지는 점, 신장된 주둥이를 가지는 점, 양쪽 전안와골이 뒤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 가슴지느러미 하단에 2개의 유리 연 조를 가지는 점, 아래턱에 수염을 가지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다 (Kawai, 2013; Nelson et al., 2016). 외부형태학적 특징 및 골격 형태를 기반으로 한 황성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결과, 황성 대과 어류는 성대과(Triglidae) 어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 으로 밝혀졌으며(Washington et al., 1984; Imamura,1996), 최 근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황성대과의 일부 종이 성대과 내에 위치하는 결과를 보여 두 과 간의 분류학적 위치가 재조명 되고 있다(Portnoy et al., 2017; Smith et al., 2018). 우리나라에서는 Mori (1952)가 황성대를 성대과의 1종으로 기재하였으며, 이후 Chyung (1977)은 Mori (1952)가 성대과로 분류하였던 황성대 를 황성대과로 전과시켰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황성대과에 관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9년 5월 5일 우리나라 제주도 근해 244-6 해구에서 국립 수산과학원 시험조사선(탐구 22호)에 의해 황성대과 치어 1개 체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안상극이 뾰족한 산 모양 을 띠는 점, 후측두극이 매우 길게 발달한 점, 몸통의 흑색소포 형태 등에서 Okiyama (2014)에 기재된 황성대과의 Peristedion sp.와 유사하였으나, 황성대과 자치어의 정보가 부족하여 형태 정보만으로는 종동정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mitochondrial DNA COI 영역을 사용한 DNA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eristedion liorhynchus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P. liorhynchus의 형태학적, 유전학적 특징을 기 한국 제주도 근해에서 출현한 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 1미기록종, Peristedion liorhynchus 치어의 형태기재 및 분자동정 장서하·김진구*·유효재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The Mass Production of Fertilized Eggs for Industrial Aquaculture of the Convict Grouper Hyporthodus septemfasicatus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teolytic Enzyme Stability of Extract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Effect of Shell-type,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Shell Infiltration of Free-living Conchocelis of Three Pyropia Species Effect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to Soy Protein Concentrate as a Fishmeal Replacement in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West Coast of Yellow Sea of Korea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