基于性别和曝光频率的厌恶女性言论限制支持度差异:信息的反女性视角和影响力感知为中心

IF 1.5 4区 文学 Q2 COMMUNICATION 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Pub Date : 2016-08-01 DOI:10.22174/JCR.2016.53.2.265
이은주, 박준모
{"title":"基于性别和曝光频率的厌恶女性言论限制支持度差异:信息的反女性视角和影响力感知为中心","authors":"이은주, 박준모","doi":"10.22174/JCR.2016.53.2.26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최근 급증한 인터넷 상의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태도에 집단적, 개인적 수준의 차이가 있음에 주목, 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여성 혐오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역할을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수용자의 성별과 여성 혐오 발언 노출 빈도에 따라 여성 혐오 발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달라지고, 이는 해당 발언의 규제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웹기반 설문 조사를 통해 탐색했다. 응답자들은(N = 323) 4가지 유형의 여성 혐오 발언을 읽은 뒤 각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 관련 규제에 대한 지지정도를 묻는 문항에 답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에 비해 해당 발언이 더 부정적인 여성관을 드러내는 것으로 인식했다. 둘째, 발언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긴 했으나, 여성 응답자의 경우 대체로 다른 여성보다는 일반 성인, 일반 성인보다는 다른 남성들이 여성 혐오 발언에 더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남성 응답자들은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제3자 편향 지각의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는 해당 발언이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생각할수록, 여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나타낸다고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성별에 관계없이, 평소 여성 혐오 발언 접촉 경험이 많을 수록 여성 혐오 발언이 다른 사람들, 특히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더 많이 미칠 것으로 추정했고, 이는 해당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반면, 접촉 경험이 많을수록 여성 혐오 발언의 부정적 여성관에 대한 인식이 둔감해질 것이라는 가설(desensitization)은 지지되지 않았다.","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19 1","pages":"265-304"},"PeriodicalIF":1.5000,"publicationDate":"2016-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성별과 노출 빈도에 따른 여성 혐오 발언 규제 지지도의 차이: 메시지의 반여성적 시각 및 영향력 지각을 중심으로\",\"authors\":\"이은주, 박준모\",\"doi\":\"10.22174/JCR.2016.53.2.26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최근 급증한 인터넷 상의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태도에 집단적, 개인적 수준의 차이가 있음에 주목, 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여성 혐오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역할을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수용자의 성별과 여성 혐오 발언 노출 빈도에 따라 여성 혐오 발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달라지고, 이는 해당 발언의 규제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웹기반 설문 조사를 통해 탐색했다. 응답자들은(N = 323) 4가지 유형의 여성 혐오 발언을 읽은 뒤 각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 관련 규제에 대한 지지정도를 묻는 문항에 답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에 비해 해당 발언이 더 부정적인 여성관을 드러내는 것으로 인식했다. 둘째, 발언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긴 했으나, 여성 응답자의 경우 대체로 다른 여성보다는 일반 성인, 일반 성인보다는 다른 남성들이 여성 혐오 발언에 더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남성 응답자들은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제3자 편향 지각의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는 해당 발언이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생각할수록, 여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나타낸다고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성별에 관계없이, 평소 여성 혐오 발언 접촉 경험이 많을 수록 여성 혐오 발언이 다른 사람들, 특히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더 많이 미칠 것으로 추정했고, 이는 해당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반면, 접촉 경험이 많을수록 여성 혐오 발언의 부정적 여성관에 대한 인식이 둔감해질 것이라는 가설(desensitization)은 지지되지 않았다.\",\"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19 1\",\"pages\":\"265-304\"},\"PeriodicalIF\":1.5000,\"publicationDate\":\"2016-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98\",\"ListUrlMain\":\"https://doi.org/10.22174/JCR.2016.53.2.265\",\"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COMMUNICATION\",\"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98","ListUrlMain":"https://doi.org/10.22174/JCR.2016.53.2.265","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COMMUNICATION","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本研究注意到最近剧增的网络上对厌恶女性发言的限制态度存在集体、个人水平的差异,作为说明这一点的要素,验证了厌恶女性发言所表现出的反女性视角及其对社会影响力的认识作用。具体来说,根据信息受受者的性别和厌恶女性发言的暴露频率,对厌恶女性发言的认识会发生怎样的变化,这对相关发言的限制态度会产生怎样的影响,通过以网络为基础的问卷调查进行了探索。回答者们读完(N = 323) 4种类型的“厌恶女性”发言后,回答了各发言所表现出的反女性视角及对其社会影响力的认识、对相关规制的支持程度等问题。研究结果表明,第一,女性与男性相比,相关发言表现出更加否定的女性观。第二,根据发言种类有所差异,但在女性受访者情况大体上比其他女性一般成年人,一般比成人不同男性厌恶女性的发言受到的影响更大的,而男性回答者们表示,将根据社会距离第三者偏向迟到的差异几乎不见了。第三,越是认为该发言对其他男性产生负面影响,越认为对女性表现出负面看法。最后,不管本人的性别,平时接触厌恶女性发言的经验越多,厌恶女性的发言对其他人,特别是对其他男性的负面影响就会越大,这也支持了对相关发言的限制。相反,“接触经验越多,对厌恶女性发言的否定性女性观的认识就会变得迟钝”的假设(desensitization)却没有得到支持。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성별과 노출 빈도에 따른 여성 혐오 발언 규제 지지도의 차이: 메시지의 반여성적 시각 및 영향력 지각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한 인터넷 상의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태도에 집단적, 개인적 수준의 차이가 있음에 주목, 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여성 혐오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역할을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수용자의 성별과 여성 혐오 발언 노출 빈도에 따라 여성 혐오 발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달라지고, 이는 해당 발언의 규제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웹기반 설문 조사를 통해 탐색했다. 응답자들은(N = 323) 4가지 유형의 여성 혐오 발언을 읽은 뒤 각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 관련 규제에 대한 지지정도를 묻는 문항에 답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에 비해 해당 발언이 더 부정적인 여성관을 드러내는 것으로 인식했다. 둘째, 발언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긴 했으나, 여성 응답자의 경우 대체로 다른 여성보다는 일반 성인, 일반 성인보다는 다른 남성들이 여성 혐오 발언에 더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남성 응답자들은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제3자 편향 지각의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는 해당 발언이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생각할수록, 여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나타낸다고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성별에 관계없이, 평소 여성 혐오 발언 접촉 경험이 많을 수록 여성 혐오 발언이 다른 사람들, 특히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더 많이 미칠 것으로 추정했고, 이는 해당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반면, 접촉 경험이 많을수록 여성 혐오 발언의 부정적 여성관에 대한 인식이 둔감해질 것이라는 가설(desensitization)은 지지되지 않았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CiteScore
2.20
自引率
0.00%
发文量
45
期刊介绍: The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is an established forum for scholarship and academic debate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 and research from a European perspective. Communication science is concerned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munication processes and their impact on society, social groups and individuals. The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highlights the concerns of this discipline through the publication of articles, research reports, review essays and book reviews o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s considered from a European perspective. Communications seeks new and original European research material in the field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mass communication.
期刊最新文献
Titelseiten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ounter)publics between tradition and reorientation: Social democracy and its media in the Cold War era With time comes trust? The development of misinformation perceptions related to COVID-19 over a six-month period: Evidence from a five-wave panel survey study in the Netherlands Titelseiten Titelseiten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