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南海白花鱼的成熟和产卵

B. Jeon, J. Choi, Yang-Jae Im, Hae-Won Lee, Jae-Won Kim
{"title":"韩国南海白花鱼的成熟和产卵","authors":"B. Jeon, J. Choi, Yang-Jae Im, Hae-Won Lee, Jae-Won Kim","doi":"10.5657/KFAS.2020.0036","DOIUrl":null,"url":null,"abstract":"보구치는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동해 남 부와 서해 및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에서 인도, 태평양까 지 널리 분포하며, 수심 20-140 m의 모래와 개펄 지역의 저층 부에 서식한다. 형태는 몸과 머리는 측편되어 있고, 체고가 약 간 높은 방추형으로 등은 황갈색, 배는 은백색을 띄며 아가미 뚜껑에 크고 검은 반점이 1개 있다(NFRDI, 2004; Kim et al., 2005). 보구치는 주로 외끌이대형기선저인망, 쌍끌이대형기선 저인망, 연안복합, 근해자망 어업 등에 의해 어획되며(NFRDI, 2010), 어획량은 1984년까지 증가하여 10,655톤까지 높은 수 준을 보이다가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3년에는 929톤 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KOSIS, 1996). 이후 다시 소폭의 증가 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2018년 2,700톤 정도의 여전히 낮은 수 준에 머무르고 있다. 보구치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본 근해에 서식하는 보구 치에 대해서 연령과 성장, 지리적 변이에 따른 성장, 생식주기 및 성성숙에 관한 연구(Higuchi et al., 2003; Yamaguchi et al., 2004; Yamaguchi et al., 2006)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후기 자 어의 먹이 선택성 및 식성에 관한 연구(Cha and Park, 2001; Koh et al., 2014) 등이 있으며, 1999년 보구치의 자원생태학적 연구(Baik et al., 1999; Kwon et al., 1999; Kang et al., 1999; Zhang et al., 1999a; Zhang et al., 1999b) 및 한국 연근해 보구 치의 자원변동 예측(Lee and Zhang, 2001)에 관한 일련의 자원 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보구치 자원의 효율적인 이 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구치의 재생산에 관련된 산란생태를 파악 하기 위한 생식소 숙도의 월별 변화, 포란수, 성숙체장 등을 구 명하여, 과거의 연구 자료와 비교 검토하고, 자원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2 1","pages":"36-42"},"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title\":\"Maturity and Spawning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authors\":\"B. Jeon, J. Choi, Yang-Jae Im, Hae-Won Lee, Jae-Won Kim\",\"doi\":\"10.5657/KFAS.2020.0036\",\"DOIUrl\":null,\"url\":null,\"abstract\":\"보구치는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동해 남 부와 서해 및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에서 인도, 태평양까 지 널리 분포하며, 수심 20-140 m의 모래와 개펄 지역의 저층 부에 서식한다. 형태는 몸과 머리는 측편되어 있고, 체고가 약 간 높은 방추형으로 등은 황갈색, 배는 은백색을 띄며 아가미 뚜껑에 크고 검은 반점이 1개 있다(NFRDI, 2004; Kim et al., 2005). 보구치는 주로 외끌이대형기선저인망, 쌍끌이대형기선 저인망, 연안복합, 근해자망 어업 등에 의해 어획되며(NFRDI, 2010), 어획량은 1984년까지 증가하여 10,655톤까지 높은 수 준을 보이다가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3년에는 929톤 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KOSIS, 1996). 이후 다시 소폭의 증가 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2018년 2,700톤 정도의 여전히 낮은 수 준에 머무르고 있다. 보구치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본 근해에 서식하는 보구 치에 대해서 연령과 성장, 지리적 변이에 따른 성장, 생식주기 및 성성숙에 관한 연구(Higuchi et al., 2003; Yamaguchi et al., 2004; Yamaguchi et al., 2006)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후기 자 어의 먹이 선택성 및 식성에 관한 연구(Cha and Park, 2001; Koh et al., 2014) 등이 있으며, 1999년 보구치의 자원생태학적 연구(Baik et al., 1999; Kwon et al., 1999; Kang et al., 1999; Zhang et al., 1999a; Zhang et al., 1999b) 및 한국 연근해 보구 치의 자원변동 예측(Lee and Zhang, 2001)에 관한 일련의 자원 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보구치 자원의 효율적인 이 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구치의 재생산에 관련된 산란생태를 파악 하기 위한 생식소 숙도의 월별 변화, 포란수, 성숙체장 등을 구 명하여, 과거의 연구 자료와 비교 검토하고, 자원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2 1\",\"pages\":\"36-42\"},\"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03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03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摘要

普口鱼属于鲈鱼目民鱼科,广泛分布在韩国东海南部和包括西海及济州岛的南海、日本到印度、太平洋,栖息在水深20-140米的沙子和泥滩地区的低层。身体和头部侧侧,体高约为纺锤形,背部黄褐色,腹部银白色,鳃盖上有1个大黑斑(NFRDI, 2004;kim et al, 2005)。看着奇主要是外吸引大型轮船拖网,双拖网吸引大型轮船,延安被复合、刺网近海渔业捕捞,捕捞(nfrdi, 2010), 1984年,增加到10,655吨表现出较高的水平,此后开始减少,1993年929吨急剧减少(kosis, 1996)。之后又出现小幅增加和减少,2018年仍停留在2700吨左右的低水平。从宝口鱼的研究来看,对栖息在日本近海的宝口鱼,根据年龄和生长、地理变异的生长、生殖周期及性成熟的研究(Higuchi et al., 2003;yamaguchi et al ., 2004;Yamaguchi et al., 2006)等。Cha and Park, 2001;Koh et al., 2014年)等,1999年Baik et al., 1999年kwon et al ., 1999;kang et al ., 1999;张豫et al ., 1999a;Zhang et al., 1999b)和Lee and Zhang(2001)进行了一系列资源生物学研究。此后,为了有效利用和管理宝口资源,有必要进行周期性、持续性的研究。因此,本研究是看着有关价值的再生产的散射,为掌握生态生殖小肃的月度变化、炮란수,成熟体章责令等区,过去的研究资料和比较研究,资源的合理利用和管理方案为基础,提供有关的资料。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Maturity and Spawning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보구치는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동해 남 부와 서해 및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에서 인도, 태평양까 지 널리 분포하며, 수심 20-140 m의 모래와 개펄 지역의 저층 부에 서식한다. 형태는 몸과 머리는 측편되어 있고, 체고가 약 간 높은 방추형으로 등은 황갈색, 배는 은백색을 띄며 아가미 뚜껑에 크고 검은 반점이 1개 있다(NFRDI, 2004; Kim et al., 2005). 보구치는 주로 외끌이대형기선저인망, 쌍끌이대형기선 저인망, 연안복합, 근해자망 어업 등에 의해 어획되며(NFRDI, 2010), 어획량은 1984년까지 증가하여 10,655톤까지 높은 수 준을 보이다가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3년에는 929톤 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KOSIS, 1996). 이후 다시 소폭의 증가 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2018년 2,700톤 정도의 여전히 낮은 수 준에 머무르고 있다. 보구치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본 근해에 서식하는 보구 치에 대해서 연령과 성장, 지리적 변이에 따른 성장, 생식주기 및 성성숙에 관한 연구(Higuchi et al., 2003; Yamaguchi et al., 2004; Yamaguchi et al., 2006)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후기 자 어의 먹이 선택성 및 식성에 관한 연구(Cha and Park, 2001; Koh et al., 2014) 등이 있으며, 1999년 보구치의 자원생태학적 연구(Baik et al., 1999; Kwon et al., 1999; Kang et al., 1999; Zhang et al., 1999a; Zhang et al., 1999b) 및 한국 연근해 보구 치의 자원변동 예측(Lee and Zhang, 2001)에 관한 일련의 자원 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보구치 자원의 효율적인 이 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구치의 재생산에 관련된 산란생태를 파악 하기 위한 생식소 숙도의 월별 변화, 포란수, 성숙체장 등을 구 명하여, 과거의 연구 자료와 비교 검토하고, 자원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The Mass Production of Fertilized Eggs for Industrial Aquaculture of the Convict Grouper Hyporthodus septemfasicatus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teolytic Enzyme Stability of Extract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Effect of Shell-type,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Shell Infiltration of Free-living Conchocelis of Three Pyropia Species Effect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to Soy Protein Concentrate as a Fishmeal Replacement in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West Coast of Yellow Sea of Korea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