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对自动驾驶汽车伦理准则的认识调查研究","authors":"황용섭","doi":"10.34143/jtr.2019.26.1.47","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이다. 또한 무장애 디자인과 같은 개념이 비슷한 시기에 학술연구를 통해서 활발하게 시작되었다. 이는 한국이 가진 다양한 문제점과 비전에 대한 통찰로부터 시작된 중요한 변화의 시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니버설디자인과 관련한 다양한 학술 연구들이 발표되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을 우리나라 유니버설디자인 논의의 기점으로 파악한다면, 우리나라의 유니버설디자인은 20여 년의 역사를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기간 동안 유니버설디자인은 지방자치 단체를 중심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 동안 진행 되어온 유니버설디자인은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이 결여된 채 유행의 하나로 그치고 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를 자아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지는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의식을 확인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하여 대중들의 유니버설디자인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기본 현황과 개념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고, 수용자 인식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연구의 방법 및 절차는, 가장 먼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문헌자료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유니버설디자인의 현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인식의 판별 기준 마련을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학술적 개념의 범주를 정의한다. 실제 조사 단계에서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 중심의 텍스트 마이닝을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파악한다. (결과)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중요한 사항들은, 첫째, 우리 나라 SNS 사용자들은 유니버설디자인이 장애인과 관련한 디자인 활동의 하나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공모전을 중심으로 관심의 초점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유니버설디자인의 실천적 사례가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들과 그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술 연구자들의 유니버설디자인과 관련한 관심은 주로 노인 및 고령화 사회를 대상으로 한다. 이는 우리사화가 고령화사회를 지나오는 과정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대상이 노인 문제에 집중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결론) SNS 사용자와 학술 연구자 모두 유니버설디자인은 공공디자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전통적 디자인이 추구하던 상업적 마케팅의 영역을 벗어나 공동체의 삶과 복지에 이바지하는 사회적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디자인의 전통적 분야와 관련하여서는 환경이나 공간 디자인과 같은 분야에 대한 관심에 범위가 높고, 제품디자인에 대해서는 관심의 초점이 명확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시각디자인 분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의 정도가 약하다. 이는 주로 신체적 활동과 관련한 디자인 사례들이 주로 부각되기 때문으로 이해되며, 시각디자인 분야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필요성과 이해를 높이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PeriodicalId":46721,"journal":{"name":"European Journal of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Research","volume":"23 1","pages":""},"PeriodicalIF":2.1000,"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자율주행자동차 윤리 가이드라인 인식 조사 연구\",\"authors\":\"황용섭\",\"doi\":\"10.34143/jtr.2019.26.1.47\",\"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이다. 또한 무장애 디자인과 같은 개념이 비슷한 시기에 학술연구를 통해서 활발하게 시작되었다. 이는 한국이 가진 다양한 문제점과 비전에 대한 통찰로부터 시작된 중요한 변화의 시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니버설디자인과 관련한 다양한 학술 연구들이 발표되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을 우리나라 유니버설디자인 논의의 기점으로 파악한다면, 우리나라의 유니버설디자인은 20여 년의 역사를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기간 동안 유니버설디자인은 지방자치 단체를 중심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 동안 진행 되어온 유니버설디자인은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이 결여된 채 유행의 하나로 그치고 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를 자아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지는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의식을 확인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하여 대중들의 유니버설디자인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기본 현황과 개념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고, 수용자 인식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연구의 방법 및 절차는, 가장 먼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문헌자료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유니버설디자인의 현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인식의 판별 기준 마련을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학술적 개념의 범주를 정의한다. 실제 조사 단계에서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 중심의 텍스트 마이닝을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파악한다. (결과)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중요한 사항들은, 첫째, 우리 나라 SNS 사용자들은 유니버설디자인이 장애인과 관련한 디자인 활동의 하나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공모전을 중심으로 관심의 초점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유니버설디자인의 실천적 사례가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들과 그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술 연구자들의 유니버설디자인과 관련한 관심은 주로 노인 및 고령화 사회를 대상으로 한다. 이는 우리사화가 고령화사회를 지나오는 과정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대상이 노인 문제에 집중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결론) SNS 사용자와 학술 연구자 모두 유니버설디자인은 공공디자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전통적 디자인이 추구하던 상업적 마케팅의 영역을 벗어나 공동체의 삶과 복지에 이바지하는 사회적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디자인의 전통적 분야와 관련하여서는 환경이나 공간 디자인과 같은 분야에 대한 관심에 범위가 높고, 제품디자인에 대해서는 관심의 초점이 명확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시각디자인 분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의 정도가 약하다. 이는 주로 신체적 활동과 관련한 디자인 사례들이 주로 부각되기 때문으로 이해되며, 시각디자인 분야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필요성과 이해를 높이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PeriodicalId\":46721,\"journal\":{\"name\":\"European Journal of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Research\",\"volume\":\"23 1\",\"pages\":\"\"},\"PeriodicalIF\":2.1000,\"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uropean Journal of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Research\",\"FirstCategoryId\":\"5\",\"ListUrlMain\":\"https://doi.org/10.34143/jtr.2019.26.1.47\",\"RegionNum\":4,\"RegionCategory\":\"工程技术\",\"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TRANSPORTATION\",\"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uropean Journal of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Research","FirstCategoryId":"5","ListUrlMain":"https://doi.org/10.34143/jtr.2019.26.1.47","RegionNum":4,"RegionCategory":"工程技术","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TRANSPORTATION","Score":null,"Total":0}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이다. 또한 무장애 디자인과 같은 개념이 비슷한 시기에 학술연구를 통해서 활발하게 시작되었다. 이는 한국이 가진 다양한 문제점과 비전에 대한 통찰로부터 시작된 중요한 변화의 시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니버설디자인과 관련한 다양한 학술 연구들이 발표되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을 우리나라 유니버설디자인 논의의 기점으로 파악한다면, 우리나라의 유니버설디자인은 20여 년의 역사를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기간 동안 유니버설디자인은 지방자치 단체를 중심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 동안 진행 되어온 유니버설디자인은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이 결여된 채 유행의 하나로 그치고 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를 자아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지는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의식을 확인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하여 대중들의 유니버설디자인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기본 현황과 개념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고, 수용자 인식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연구의 방법 및 절차는, 가장 먼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문헌자료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유니버설디자인의 현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인식의 판별 기준 마련을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학술적 개념의 범주를 정의한다. 실제 조사 단계에서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 중심의 텍스트 마이닝을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파악한다. (결과)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중요한 사항들은, 첫째, 우리 나라 SNS 사용자들은 유니버설디자인이 장애인과 관련한 디자인 활동의 하나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공모전을 중심으로 관심의 초점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유니버설디자인의 실천적 사례가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들과 그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술 연구자들의 유니버설디자인과 관련한 관심은 주로 노인 및 고령화 사회를 대상으로 한다. 이는 우리사화가 고령화사회를 지나오는 과정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대상이 노인 문제에 집중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결론) SNS 사용자와 학술 연구자 모두 유니버설디자인은 공공디자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전통적 디자인이 추구하던 상업적 마케팅의 영역을 벗어나 공동체의 삶과 복지에 이바지하는 사회적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디자인의 전통적 분야와 관련하여서는 환경이나 공간 디자인과 같은 분야에 대한 관심에 범위가 높고, 제품디자인에 대해서는 관심의 초점이 명확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시각디자인 분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의 정도가 약하다. 이는 주로 신체적 활동과 관련한 디자인 사례들이 주로 부각되기 때문으로 이해되며, 시각디자인 분야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필요성과 이해를 높이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期刊介绍:
The European Journal of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Research (EJTIR) is a peer-reviewed scholarly journal, freely accessible through the internet. EJTIR aims to present the results of high-quality scientific research to a readership of academic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It is our ambition to be the journal of choice in the field of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both for readers and authors. To achieve this ambition, EJTIR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journals in its field, both through its scope and the way it is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