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王夫之의 죽음관에 대한 연구","authors":"이상화","doi":"10.19065/JAPK..47.201707.229","DOIUrl":null,"url":null,"abstract":"죽음과 관련된 정체성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영혼동일성은 개인의 정체성이 영혼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는 영혼이 죽음 이후에도 독립된 개체로 영원히 존재한다고 믿는다. 육체동일성은 개인의 정체성이 육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며, 죽음과 동시에 그 사람의 존재도 끝이 난다고 본다. 왕부지는 생과 사를 처음과 끝이라고 생각한 성리학자들에...","PeriodicalId":297075,"journ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volume":"437-43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7-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065/JAPK..47.201707.2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죽음과 관련된 정체성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영혼동일성은 개인의 정체성이 영혼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는 영혼이 죽음 이후에도 독립된 개체로 영원히 존재한다고 믿는다. 육체동일성은 개인의 정체성이 육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며, 죽음과 동시에 그 사람의 존재도 끝이 난다고 본다. 왕부지는 생과 사를 처음과 끝이라고 생각한 성리학자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