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산업구조조정이 고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mployment and Growth)","authors":"Byeong-Hun Seo","doi":"10.2139/ssrn.3633617","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산업구조조정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산업구조의 변화가 한국 경제의 고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Lilien (1982)의 부문 이동가설에 의하면 산업구조의 변화는 노동시장에서 마찰적 실업을 발생하고 실업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그런데 마찰적 실업은 동시에 경기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구조조정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경기변동과의 의존성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산업구조조정이 GDP 증가에 긍정적이라고 보는 Kuznets 가설과 이에 대립되는 Baumol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산업구조조정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제활동조사, 사업체노동력조사, 그리고 거시경제자료를 사용하여 실시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n \n첫째, 산업구조의 변화가 실업을 증가시키는 단기적 효과가 있으며 경기 수축 국면에서 구조조정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Lilien의 부문 이동가설이 실증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산업구조조정은 구직과 구인(또는 실업과 빈 일자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베버리지 곡선을 이동시킴으로써 일자리 매칭의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경기변동에 따라 수축 국면에서 매칭 비효율성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셋째, 산업구조의 변화가 GDP 성장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산업구조조정과 함께 자원의 재배치가 이루어지는데 생산성이 높은 부문으로 자원의 재배치가 이루어지면서 GDP 성장을 제고시킴으로써 Kuznets 가설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었다. \n \n이러한 결과를 감안할 때,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수 있는 신산업중심으 로 빠르게 산업구조를 재편하는 정책을 추진할 경우 자원의 효율적 배분, 기술혁신 등을 통해 우리 경제의 성장세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다만 이러한 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유발되는 고용감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노동의 유연‧안전성과 일자리 매 칭 효율성 증대 등의 정책을 모색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n \n \nEnglish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explored the effects of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due to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mployment and growth in the Korean economy. To that end, we first checked the impact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mployment through Lilien’s sectoral shift hypothesis, considering the dependence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business cyc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had a short-term effect of increasing unemployment, and that the effects of industrial restructuring were even greater during the economic downturn. In light of these points, Lilien’s sectoral shift hypothesis seems to be valid in Korea. Next, we examined the effect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conomic growth in Korea by analyzing which one between Kuznetz hypothesis and Baumol effect is dominan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medium- to long-term effects of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n the GDP growth rate were revealed to be significant. This shows that Kuznetz hypothesis that the growth rate will improve as the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through industrial restructuring increases holds good in case of the Korean economy.","PeriodicalId":251645,"journal":{"name":"Bank of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Research Paper Series","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6-23","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ank of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Research Paper Ser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6336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산업구조조정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산업구조의 변화가 한국 경제의 고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Lilien (1982)의 부문 이동가설에 의하면 산업구조의 변화는 노동시장에서 마찰적 실업을 발생하고 실업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그런데 마찰적 실업은 동시에 경기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구조조정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경기변동과의 의존성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산업구조조정이 GDP 증가에 긍정적이라고 보는 Kuznets 가설과 이에 대립되는 Baumol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산업구조조정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제활동조사, 사업체노동력조사, 그리고 거시경제자료를 사용하여 실시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구조의 변화가 실업을 증가시키는 단기적 효과가 있으며 경기 수축 국면에서 구조조정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Lilien의 부문 이동가설이 실증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산업구조조정은 구직과 구인(또는 실업과 빈 일자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베버리지 곡선을 이동시킴으로써 일자리 매칭의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경기변동에 따라 수축 국면에서 매칭 비효율성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셋째, 산업구조의 변화가 GDP 성장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산업구조조정과 함께 자원의 재배치가 이루어지는데 생산성이 높은 부문으로 자원의 재배치가 이루어지면서 GDP 성장을 제고시킴으로써 Kuznets 가설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감안할 때,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수 있는 신산업중심으 로 빠르게 산업구조를 재편하는 정책을 추진할 경우 자원의 효율적 배분, 기술혁신 등을 통해 우리 경제의 성장세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다만 이러한 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유발되는 고용감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노동의 유연‧안전성과 일자리 매 칭 효율성 증대 등의 정책을 모색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English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explored the effects of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due to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mployment and growth in the Korean economy. To that end, we first checked the impact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mployment through Lilien’s sectoral shift hypothesis, considering the dependence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business cyc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had a short-term effect of increasing unemployment, and that the effects of industrial restructuring were even greater during the economic downturn. In light of these points, Lilien’s sectoral shift hypothesis seems to be valid in Korea. Next, we examined the effect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conomic growth in Korea by analyzing which one between Kuznetz hypothesis and Baumol effect is dominan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medium- to long-term effects of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n the GDP growth rate were revealed to be significant. This shows that Kuznetz hypothesis that the growth rate will improve as the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through industrial restructuring increases holds good in case of the Korean economy.
产业结构调整对雇佣及增长的影响(The Effects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mployment and Growth)
Korean Abstract:本研究将探讨与产业结构调整相关的产业结构变化对韩国经济的雇佣及增长产生的影响。根据Lilien(1982)的部门移动假设,产业结构的变化是劳动市场上发生摩擦性失业,增加失业的主要因素。但是,摩擦性失业同时也会受到经济状况的影响。本研究考虑了产业结构调整对雇佣产生的效果与经济变动的依赖性。通过分析认为产业结构调整对GDP增长有积极影响的Kuznets假说和与之相对的Baumol效果,还观察了产业结构调整对经济增长的影响。利用我国的经济活动调查、企业劳动力调查以及宏观经济资料实施的分析结果如下。第一,产业结构的变化具有增加失业的短期效果,在经济萎缩的局面下,结构调整的效果更大,在我国,Lilien的部门移动假设被判断为实证有效。第二,产业结构调整移动了体现求职和招聘(或失业和空工作岗位)关系的“贝弗里奇曲线”,从而降低了工作岗位配对的效率性。特别是,随着经济的变动,在萎缩局面中对配效率更大。第三,产业结构的变化对gdp增长的中长期效果留意地出现了,产业结构调整和资源的重新部署,生产率高的部门,形成资源的重新部署,形成提高gdp增长,使符合kuznets假说得到了。考虑到这样的结果,如果推进以能够带动第四次产业革命的新产业为中心迅速重组产业结构的政策,可以通过资源的有效分配、技术革新等,有助于提高韩国经济的增长势头。但据判断,在产业结构调整过程中,为缓解短期内雇用减少带来的冲击,有必要探索提高劳动灵活性、安全性和工作岗位分配效率等政策。English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explored of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due to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mployment and growth In the Korean economy。To that end, we first checked the impact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mployment through Lilien ' s sectoral shift hypothis;considering the dependence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business cycles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had a short-term effect of increasing unemployment;and that the effects of industrial restructuring were even greater during the economic downturn。In light of these points, Lilien ' s sectoral shift hypothesis seems to be valid In Korea。Next,我们examined the effect of industrial restructuring on economic growth in Korea by analyzing which one between Kuznetz hypothesis and Baumol effect is dominant。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medium- to long-term effects of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n the GDP growth rate were revealed to be significant。This shows that Kuznetz hypothesis that the growth rate will improve as the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through industrial restructuring increases holds good in case of the Korean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