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k-Won Yoon, Hye-Jung Woo, Bong-Jun Ghang, Yoon-Ho Kim
{"title":"Needs Analysis Case Using Key Competencie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authors":"Duk-Won Yoon, Hye-Jung Woo, Bong-Jun Ghang, Yoon-Ho Kim","doi":"10.5392/JKCA.2016.16.12.38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기업이 인적자원의 요구역량을 조사 분석함에 있어 각 현장의 특성화된 요구를 반영하여 최우선 영역을 도출하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확산하는 정책강화 시점에 기업이 능동적으로 NCS 영역을 요구분석 도구로 활용하는데 응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안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A사의 신입사원에 대한 직군별 요구 역량과 현재 수준 분석에 NCS 직업기초능력 34개 영역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후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비교하여 최우선순위 영역을 도출하였다. 전체 34개 영역 중 32개 영역에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 A사 신입사원의 최우선 직업기초능력으로 문서작성능력, 도표작성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시간관 리능력, 기술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의 총 7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또한 직군별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우선순위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A기업의 HRD/HRM 및 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5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392/JKCA.2016.16.12.3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기업이 인적자원의 요구역량을 조사 분석함에 있어 각 현장의 특성화된 요구를 반영하여 최우선 영역을 도출하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확산하는 정책강화 시점에 기업이 능동적으로 NCS 영역을 요구분석 도구로 활용하는데 응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안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A사의 신입사원에 대한 직군별 요구 역량과 현재 수준 분석에 NCS 직업기초능력 34개 영역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후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비교하여 최우선순위 영역을 도출하였다. 전체 34개 영역 중 32개 영역에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 A사 신입사원의 최우선 직업기초능력으로 문서작성능력, 도표작성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시간관 리능력, 기술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의 총 7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또한 직군별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우선순위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A기업의 HRD/HRM 및 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本研究的目的是个别企业人力资源的要求力量进行调查分析,反映各现场的特性化的要求,优先领域提出的案例,得出了,最近国家职业能力标准(ncs)扩散的政策,加强试点企业主动要求ncs领域作为分析工具,可应用的启示》的提案。为此,本研究在分析大企业A公司新职员的职群要求能力和目前水平时,利用34个NCS职业基础能力领域进行了问卷调查。共对189人的资料进行了分析,并将Borich的要求与The Locus for Focus模型进行了比较,得出了最优先领域。在全部34个领域中,在32个领域中,目前水平和期待水平之间在统计上存在有意义的差异。作为A公司新职员的最优先职业基础能力,导出了文件制作能力、图表制作能力、思考能力、问题处理能力、时间管理能力、技术理解能力、业务理解能力等7个领域。另外,还确认了职业群所要求的职业基础能力的优先顺序之间存在差异。通过本研究的结果,提出了A企业的HRD/HRM及其他企业的启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