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Evolution of Trend Perception in the Fashion Industry - Within a Digital Technology-Driven Landscape -","authors":"Sung Eun Kim, Dawn Jung, Jisoo Ha","doi":"10.18652/2023.23.3.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 기반 환경에 새로운 패션산업의 형태와 이에 따른 트렌드 작용 기제가 어떻 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소비자 대상 양적 연구와 생산자 대상 질적 연구를 통합하여 패션 트렌드 인식 및 활용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된 인식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패션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트렌드 지속성 단축을 인식 하고 있다. 둘째, 트렌드에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셋째, 소비자 참여 시스템 도입을 긍정 적으로 생각한다. 넷째, 대규모 브랜드 운영 방식의 미래에 대해 소비자는 희망적으로 전망하지만, 생산자는 부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섯째, 친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지만, 걸맞은 대응은 미비한 것으로 보여 진다. 여섯째, 새로운 기술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소비자는 긍정적인 반면, 생산자는 부정적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첫째, 소비자의 생산자로서의 역할 확대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둘째, 젠더리스, 시즌리스 트렌드 반영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소비자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 및 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3D 스캐닝의 부분적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패션 렌털의 친환경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양쪽의 관점에서 새로운 패션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침체기를 겪고 있는 국내 패션업계에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문적인 관점에서는 변화된 패션업계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 하는데 초석이 될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652/2023.23.3.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 기반 환경에 새로운 패션산업의 형태와 이에 따른 트렌드 작용 기제가 어떻 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소비자 대상 양적 연구와 생산자 대상 질적 연구를 통합하여 패션 트렌드 인식 및 활용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된 인식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패션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트렌드 지속성 단축을 인식 하고 있다. 둘째, 트렌드에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셋째, 소비자 참여 시스템 도입을 긍정 적으로 생각한다. 넷째, 대규모 브랜드 운영 방식의 미래에 대해 소비자는 희망적으로 전망하지만, 생산자는 부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섯째, 친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지만, 걸맞은 대응은 미비한 것으로 보여 진다. 여섯째, 새로운 기술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소비자는 긍정적인 반면, 생산자는 부정적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첫째, 소비자의 생산자로서의 역할 확대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둘째, 젠더리스, 시즌리스 트렌드 반영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소비자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 및 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3D 스캐닝의 부분적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패션 렌털의 친환경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양쪽의 관점에서 새로운 패션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침체기를 겪고 있는 국내 패션업계에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문적인 관점에서는 변화된 패션업계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 하는데 초석이 될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