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패션 사진과 문화적 환상성 이론을 결합하여 팀 워커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패션 이미지 에 나타난 환상성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츠베탕 토도르프 및 로즈메리 잭슨 등이 발전시킨 문화적 환상성 이론의 근본적 고찰을 진행 한 후 이를 토대로 팀 워커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팀 워커의 작품에서 보이는 환상적 경이, 환상적 괴이, 환상적 모방의 세 가지 핵심 특징은 분석하는 이론적 기반이다.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는 분석 대상인 팀 워커의 패션 이미지의 수집 범위는 그가 처음 패션계에 데뷔한 2006년부터 2022년까지의 대표 패션 이미지이다. 워커의 작품을 환상성 이론에 집중하여 그의 세계관 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가지는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팀 워커는 선대 작가들에 대한 경의를 기반으로 한 모방적 장면구사로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오마주했다. 둘 째, 패션 이미지의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형성함에 있어 수공예적인 세트 구성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환상적 공간을 실재적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평범한 모델보다는 특색 있는 모델을 기용하여 화면의 환상적인 분위 기를 더욱 감각적으로 표현하며 인체 본연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보다 두드러지는 신체 왜곡을 통해 환상 적 이미지를 표현했다. 워커의 패션 사진은 기이한 캐릭터와 사물들을 조화시켜 자신이 설계한 환상의 공간 에서 상업적 패션 사진의 경계를 넘고, 많은 담론과 이슈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예술이 가진 신비로움과 환상 에만 집중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복잡한 일상에서 탈피를 주도한다. 팀 워커는 패션 사진을 통해 현실과 상상 을 융합하며 사람들의 인식과 경험을 확장시킨다. 이 연구는 패션 사진의 진화와 예술적 가치를 강조함과 동시에 팀 워커의 작품에 나타나는 환상적인 시각적 경험을 형성하는 방법을 탐구하여 패션 이미지가 예술 분야에서 높이 평가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title":"Tim Walker’s Fashion Image and Fantasy - Centered on the Theory of Cultural Illusion -","authors":"Ye Zy Ko, Bo Rim Joo","doi":"10.18652/2023.23.3.9","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9","url":null,"abstract":"본 논문은 패션 사진과 문화적 환상성 이론을 결합하여 팀 워커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패션 이미지 에 나타난 환상성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츠베탕 토도르프 및 로즈메리 잭슨 등이 발전시킨 문화적 환상성 이론의 근본적 고찰을 진행 한 후 이를 토대로 팀 워커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팀 워커의 작품에서 보이는 환상적 경이, 환상적 괴이, 환상적 모방의 세 가지 핵심 특징은 분석하는 이론적 기반이다.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는 분석 대상인 팀 워커의 패션 이미지의 수집 범위는 그가 처음 패션계에 데뷔한 2006년부터 2022년까지의 대표 패션 이미지이다. 워커의 작품을 환상성 이론에 집중하여 그의 세계관 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가지는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팀 워커는 선대 작가들에 대한 경의를 기반으로 한 모방적 장면구사로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오마주했다. 둘 째, 패션 이미지의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형성함에 있어 수공예적인 세트 구성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환상적 공간을 실재적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평범한 모델보다는 특색 있는 모델을 기용하여 화면의 환상적인 분위 기를 더욱 감각적으로 표현하며 인체 본연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보다 두드러지는 신체 왜곡을 통해 환상 적 이미지를 표현했다. 워커의 패션 사진은 기이한 캐릭터와 사물들을 조화시켜 자신이 설계한 환상의 공간 에서 상업적 패션 사진의 경계를 넘고, 많은 담론과 이슈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예술이 가진 신비로움과 환상 에만 집중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복잡한 일상에서 탈피를 주도한다. 팀 워커는 패션 사진을 통해 현실과 상상 을 융합하며 사람들의 인식과 경험을 확장시킨다. 이 연구는 패션 사진의 진화와 예술적 가치를 강조함과 동시에 팀 워커의 작품에 나타나는 환상적인 시각적 경험을 형성하는 방법을 탐구하여 패션 이미지가 예술 분야에서 높이 평가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본 연구는 1970년대 후반에 발생하여 90년대까지 영국의 축구 팬덤 문화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처음 으로 디자이너 스포츠웨어 트렌드를 주도하였던 캐주얼즈에 관해 하위문화 패션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 구를 위하여 다양한 문헌 연구, 온라인 기사 및 영상자료를 통해 캐주얼즈의 유래와 하위문화적 특성을 고찰 하고, 패션 특성을 도출하였다. 스킨헤드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캐주얼즈는 영국 백인 노동자 계층의 훌리 건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당시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유행을 선도하였다. 실증 연구는 캐주얼즈의 전성기 였던 80년대 전후 영국의 캐주얼즈 하위문화를 다룬 영상 6편을 선정하여 패션이미지를 도출하고, 캐주얼즈 패션을 대표하는 브랜드에서 영화 속 실제 상품이미지를 함께 선별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총 36개의 이미지 를 상의, 하의, 외투, 신발과 액세서리의 네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주요 아이템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 으며, 영화의 주요 내용과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캐주얼즈 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캐주얼즈 패션은 첫째, 80년대 전후 축구 훌리건의 새로운 드레스 코드이자 집단주의 동지애를 나타내는 유 니폼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둘째, 캐주얼즈 패션은 당시 고가의 유럽 디자이너 스포츠웨어에 대한 선호 가 반영된 뉴 테라스 웨어로 유럽 상류층의 물질주의와 스포츠 패션 문화에 대한 동경을 모방과 과시로 표현 하였다. 셋째, 캐주얼즈 패션은 축구 팬덤 문화의 패션 트렌드 확산을 촉진한 최초의 하입 스포츠웨어로 단순 한 운동복이 아닌 당시 이국적 취향의 세련된 스포츠웨어 스타일의 개발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70~80년대 주요 하위문화에 비하여 주목받지 못했던 캐주얼 하위문화를 패션 측면에서 살펴보고, 뉴 테라스 웨어로서 주요 특성과 의미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현대 스포츠 스트리트 패션을 이해하는데 주요한 기초자료가 될 뿐 아니라, 새로운 콘셉트 개발과 디자인 기획에 중요한 문화적 영감이 되리라 기대한다.
{"title":"Fashion Characteristics of the Casual Subculture in the 1970s and 1980s Represented in British Soccer Hooligan Movies","authors":"Doyeon Yoon, Sungeun Suh","doi":"10.18652/2023.23.3.7","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1970년대 후반에 발생하여 90년대까지 영국의 축구 팬덤 문화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처음 으로 디자이너 스포츠웨어 트렌드를 주도하였던 캐주얼즈에 관해 하위문화 패션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 구를 위하여 다양한 문헌 연구, 온라인 기사 및 영상자료를 통해 캐주얼즈의 유래와 하위문화적 특성을 고찰 하고, 패션 특성을 도출하였다. 스킨헤드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캐주얼즈는 영국 백인 노동자 계층의 훌리 건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당시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유행을 선도하였다. 실증 연구는 캐주얼즈의 전성기 였던 80년대 전후 영국의 캐주얼즈 하위문화를 다룬 영상 6편을 선정하여 패션이미지를 도출하고, 캐주얼즈 패션을 대표하는 브랜드에서 영화 속 실제 상품이미지를 함께 선별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총 36개의 이미지 를 상의, 하의, 외투, 신발과 액세서리의 네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주요 아이템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 으며, 영화의 주요 내용과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캐주얼즈 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캐주얼즈 패션은 첫째, 80년대 전후 축구 훌리건의 새로운 드레스 코드이자 집단주의 동지애를 나타내는 유 니폼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둘째, 캐주얼즈 패션은 당시 고가의 유럽 디자이너 스포츠웨어에 대한 선호 가 반영된 뉴 테라스 웨어로 유럽 상류층의 물질주의와 스포츠 패션 문화에 대한 동경을 모방과 과시로 표현 하였다. 셋째, 캐주얼즈 패션은 축구 팬덤 문화의 패션 트렌드 확산을 촉진한 최초의 하입 스포츠웨어로 단순 한 운동복이 아닌 당시 이국적 취향의 세련된 스포츠웨어 스타일의 개발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70~80년대 주요 하위문화에 비하여 주목받지 못했던 캐주얼 하위문화를 패션 측면에서 살펴보고, 뉴 테라스 웨어로서 주요 특성과 의미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현대 스포츠 스트리트 패션을 이해하는데 주요한 기초자료가 될 뿐 아니라, 새로운 콘셉트 개발과 디자인 기획에 중요한 문화적 영감이 되리라 기대한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20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3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본 연구는 해외 패션잡지의 온라인 기사를 중심으로 최근 3년간의 가방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 은 소비자 입장에서 가방의 선호도와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가방의 디자인 기획과 제품개발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패션잡지를 이용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현재 유행하는 가방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해 가방 디자인의 분석 기준을 가방의 착용법과 구조형태, 크기, 소재의 종류와 텍스처 기법, 가방의 디테일로 선정하였다. 대중적으 로 잘 알려진 글로벌 패션잡지인 보그, 엘르, 하퍼스 바자, 마리 끌레르 등을 중심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 지 29개의 온라인 기사를 수집하고, 온라인 기사의 소제목에 언급된 단어와 어구들을 분류하여 빈도와 내용 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년간의 가방 디자인은 클래식하고 레트로한 감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형태는 각진 사각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퀼팅과 모노그램 기법을 활용한 자카드 기법, 프레 임과 손잡이, 다양한 체인 장식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가방 디자인은 무엇보다 기능이 중요해졌다. 손을 사용하지 않고 허리, 몸, 어깨에 맬 수 있는 디자인이 많아지고 하나의 가방에 여러 수납공 간이 가능한 디자인이 등장하였으며, 아주 크거나 아주 작은 가방 크기의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셋째, 최근 가방 디자인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였다. 착용하는 방식에 따라 가방의 형태가 변하고, 천연가죽의 대 체재로서 인조가죽, 재생가죽, 방수와 세탁이 용이한 고무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가방 디자인에 적용되었 다. 넷째, 가방의 형태가 단순해지는 반면에 디테일에 있어서 스터드 장식이나 버클, 체인 등 금속 부속품들 이 강조된 디자인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방 디자인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디자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내 가방브랜드의 제품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itle":"Analysis of Bag Designs Using Online Articles in Fashion Magazines","authors":"Seung Yeon Ha","doi":"10.18652/2023.23.3.2","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2","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해외 패션잡지의 온라인 기사를 중심으로 최근 3년간의 가방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 은 소비자 입장에서 가방의 선호도와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가방의 디자인 기획과 제품개발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패션잡지를 이용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현재 유행하는 가방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해 가방 디자인의 분석 기준을 가방의 착용법과 구조형태, 크기, 소재의 종류와 텍스처 기법, 가방의 디테일로 선정하였다. 대중적으 로 잘 알려진 글로벌 패션잡지인 보그, 엘르, 하퍼스 바자, 마리 끌레르 등을 중심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 지 29개의 온라인 기사를 수집하고, 온라인 기사의 소제목에 언급된 단어와 어구들을 분류하여 빈도와 내용 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년간의 가방 디자인은 클래식하고 레트로한 감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형태는 각진 사각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퀼팅과 모노그램 기법을 활용한 자카드 기법, 프레 임과 손잡이, 다양한 체인 장식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가방 디자인은 무엇보다 기능이 중요해졌다. 손을 사용하지 않고 허리, 몸, 어깨에 맬 수 있는 디자인이 많아지고 하나의 가방에 여러 수납공 간이 가능한 디자인이 등장하였으며, 아주 크거나 아주 작은 가방 크기의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셋째, 최근 가방 디자인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였다. 착용하는 방식에 따라 가방의 형태가 변하고, 천연가죽의 대 체재로서 인조가죽, 재생가죽, 방수와 세탁이 용이한 고무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가방 디자인에 적용되었 다. 넷째, 가방의 형태가 단순해지는 반면에 디테일에 있어서 스터드 장식이나 버클, 체인 등 금속 부속품들 이 강조된 디자인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방 디자인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디자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내 가방브랜드의 제품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4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 기반 환경에 새로운 패션산업의 형태와 이에 따른 트렌드 작용 기제가 어떻 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소비자 대상 양적 연구와 생산자 대상 질적 연구를 통합하여 패션 트렌드 인식 및 활용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된 인식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패션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트렌드 지속성 단축을 인식 하고 있다. 둘째, 트렌드에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셋째, 소비자 참여 시스템 도입을 긍정 적으로 생각한다. 넷째, 대규모 브랜드 운영 방식의 미래에 대해 소비자는 희망적으로 전망하지만, 생산자는 부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섯째, 친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지만, 걸맞은 대응은 미비한 것으로 보여 진다. 여섯째, 새로운 기술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소비자는 긍정적인 반면, 생산자는 부정적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첫째, 소비자의 생산자로서의 역할 확대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둘째, 젠더리스, 시즌리스 트렌드 반영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소비자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 및 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3D 스캐닝의 부분적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패션 렌털의 친환경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양쪽의 관점에서 새로운 패션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침체기를 겪고 있는 국내 패션업계에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문적인 관점에서는 변화된 패션업계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 하는데 초석이 될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title":"Evolution of Trend Perception in the Fashion Industry - Within a Digital Technology-Driven Landscape -","authors":"Sung Eun Kim, Dawn Jung, Jisoo Ha","doi":"10.18652/2023.23.3.8","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8","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 기반 환경에 새로운 패션산업의 형태와 이에 따른 트렌드 작용 기제가 어떻 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소비자 대상 양적 연구와 생산자 대상 질적 연구를 통합하여 패션 트렌드 인식 및 활용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된 인식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패션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트렌드 지속성 단축을 인식 하고 있다. 둘째, 트렌드에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셋째, 소비자 참여 시스템 도입을 긍정 적으로 생각한다. 넷째, 대규모 브랜드 운영 방식의 미래에 대해 소비자는 희망적으로 전망하지만, 생산자는 부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섯째, 친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지만, 걸맞은 대응은 미비한 것으로 보여 진다. 여섯째, 새로운 기술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소비자는 긍정적인 반면, 생산자는 부정적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첫째, 소비자의 생산자로서의 역할 확대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둘째, 젠더리스, 시즌리스 트렌드 반영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소비자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 및 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3D 스캐닝의 부분적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패션 렌털의 친환경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양쪽의 관점에서 새로운 패션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침체기를 겪고 있는 국내 패션업계에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문적인 관점에서는 변화된 패션업계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 하는데 초석이 될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2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최근 신한복은 전통한복에 현대적인 디자인과 신소재를 결합하여 일상생활에서 입을 수 있는 옷으로 K-pop 스타들을 비롯해 젊은 층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한복은 근대 이후 서구세력의 외압, 일본의 식민지, 미국의 문화 종속이라는 한국의 특수한 근・현대화를 통해 다양하게 변화한 양상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 간 충돌을 통한 문화의 변화를 다루는 문화 간 관계이론과 비 서구 식민지 국가의 문화이론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화 과정을 살펴보고 근・현대 한복 문화를 분석하였다. 한국은 일본에 의해 서구 문화를 접촉 하였으며, 미국의 영향 아래 자발적으로 서구 문화를 모방하고 수용한 특수한 근대화를 보냈다. 한국은 전지 구화 현상에 합류하면서 근대사회의 주체를 자각하고 정체성을 찾는 포스트 모더니티 속 포스트 콜로니얼리 티의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신한복은 MZ세대 중심의 디지털 네트워크 속에서 저항과 비판보다는 전통 문화와 한복에 대해 객관적인 거리를 두고 다양성과 현대성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포스트 콜로니얼리티보다 는 현재성과 글로벌리티를 강조하며 새로운 K-culture를 창조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근・ 현대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한 한복 연구의 학문적인 토대를 마련하고 한복을 비롯한 한국문화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title":"Analysis of Chang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anbok according to Culture Theory - Focused on the Theory of Intercultural Relations and the Cultural Theory of Non-Western Colonial Countries –","authors":"Juhee Kim, Hyunzin Ko","doi":"10.18652/2023.23.3.3","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3","url":null,"abstract":"최근 신한복은 전통한복에 현대적인 디자인과 신소재를 결합하여 일상생활에서 입을 수 있는 옷으로 K-pop 스타들을 비롯해 젊은 층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한복은 근대 이후 서구세력의 외압, 일본의 식민지, 미국의 문화 종속이라는 한국의 특수한 근・현대화를 통해 다양하게 변화한 양상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 간 충돌을 통한 문화의 변화를 다루는 문화 간 관계이론과 비 서구 식민지 국가의 문화이론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화 과정을 살펴보고 근・현대 한복 문화를 분석하였다. 한국은 일본에 의해 서구 문화를 접촉 하였으며, 미국의 영향 아래 자발적으로 서구 문화를 모방하고 수용한 특수한 근대화를 보냈다. 한국은 전지 구화 현상에 합류하면서 근대사회의 주체를 자각하고 정체성을 찾는 포스트 모더니티 속 포스트 콜로니얼리 티의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신한복은 MZ세대 중심의 디지털 네트워크 속에서 저항과 비판보다는 전통 문화와 한복에 대해 객관적인 거리를 두고 다양성과 현대성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포스트 콜로니얼리티보다 는 현재성과 글로벌리티를 강조하며 새로운 K-culture를 창조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근・ 현대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한 한복 연구의 학문적인 토대를 마련하고 한복을 비롯한 한국문화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2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최근 의류의 사용과 사용 후 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은 의류 수명 주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패션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실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차원의 자발 적인 의생활인 캡슐 옷장의 실천을 분석함으로써, 캡슐 옷장 실천자들의 동기와 실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 였다. 캡슐 옷장의 실천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국내외에서 공유되고 있었는데, 그 중 캡슐 옷장의 실천을 자세 히 살펴볼 수 있는 동영상 형식의 소셜미디어인 유튜브 콘텐츠를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슐 옷장 콘텐츠는 ‘의류 선택의 팁’, ‘의류 관리·보관 팁’, ‘스타일링 팁’, ‘캡슐 옷장 실천 기록’, ‘캡슐 옷장 구성 과정’, ‘노하우·깨달음’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캡슐 옷장의 실천에서 의류 수명 주기 중 소비자의 의복 사용과 처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국내 캡슐 옷장 실천자들의 주요 실천 동기로는 ‘미니멀리즘 라이프스타일의 실천’으로 나타났으며, 해외 실 천자들의 동기로는 ‘미니멀리즘 라이프스타일의 실천’뿐만 아니라, ‘스타일링의 편리성’, ‘의복에 대한 종합 적인 불만’,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실천’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캡슐 옷장의 실천 결과로 ‘심리 적 만족감’, ‘개성 강화’, ‘경제성’, ‘지속가능성’이 언급되었으며, 캡슐 옷장의 초기 실천자들에게서 반복에 의한 지루함, 예상치 못한 변수에 대한 대처 부족 등이 제한점으로 언급됐다. 본 연구는 유튜브에 나타난 소비자 차원의 자발적인 의생활인 캡슐 옷장의 실천을 분석함으로써, 미니멀리즘 라이프스타일과 지속가능 한 의생활의 연관성을 밝히고, 소비자 차원의 지속가능한 의생활의 실천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itle":"Capsule Wardrobe Practices on YouTube","authors":"Heajin Choi, Jaehoon Chun","doi":"10.18652/2023.23.3.10","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10","url":null,"abstract":"최근 의류의 사용과 사용 후 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은 의류 수명 주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패션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실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차원의 자발 적인 의생활인 캡슐 옷장의 실천을 분석함으로써, 캡슐 옷장 실천자들의 동기와 실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 였다. 캡슐 옷장의 실천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국내외에서 공유되고 있었는데, 그 중 캡슐 옷장의 실천을 자세 히 살펴볼 수 있는 동영상 형식의 소셜미디어인 유튜브 콘텐츠를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슐 옷장 콘텐츠는 ‘의류 선택의 팁’, ‘의류 관리·보관 팁’, ‘스타일링 팁’, ‘캡슐 옷장 실천 기록’, ‘캡슐 옷장 구성 과정’, ‘노하우·깨달음’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캡슐 옷장의 실천에서 의류 수명 주기 중 소비자의 의복 사용과 처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국내 캡슐 옷장 실천자들의 주요 실천 동기로는 ‘미니멀리즘 라이프스타일의 실천’으로 나타났으며, 해외 실 천자들의 동기로는 ‘미니멀리즘 라이프스타일의 실천’뿐만 아니라, ‘스타일링의 편리성’, ‘의복에 대한 종합 적인 불만’,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실천’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캡슐 옷장의 실천 결과로 ‘심리 적 만족감’, ‘개성 강화’, ‘경제성’, ‘지속가능성’이 언급되었으며, 캡슐 옷장의 초기 실천자들에게서 반복에 의한 지루함, 예상치 못한 변수에 대한 대처 부족 등이 제한점으로 언급됐다. 본 연구는 유튜브에 나타난 소비자 차원의 자발적인 의생활인 캡슐 옷장의 실천을 분석함으로써, 미니멀리즘 라이프스타일과 지속가능 한 의생활의 연관성을 밝히고, 소비자 차원의 지속가능한 의생활의 실천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현재 이륜이동수단의 유형은 자전거와 모터사이클, 퍼스널모빌리티로 다양화되고 있음과 동시에 사용인 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륜이동수단은 운동성이 높고 전면 및 배면 투영 면적이 일반적인 성인의 신체투영 면적과 유사하여 거리가 충분치 않을 경우 타 차량이나 보행자가 빠르게 접근하는 이들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륜이동수단 사용자와 타인의 안전을 위해 이륜이동수단은 높은 시인성이 확보되어야 할 필요 성이 있으나, 각 이륜이동수단별 구조와 크기의 한계로 인해 충분한 장비를 설치하기 어려운 한계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 유형별 이륜이동수단 이용자 모두가 사용 가능한 시인성 강화 기능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이미 착용 한 의복 위에 편하게 착용 가능한 구조 및 의복만으로 최소한의 시인성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색과 소재, 의복에서 손쉽게 디지털 모듈을 탈부착 가능한 거치 구조가 적용된 의복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둘째, 고휘도 RGB LED 광원 및 가속도-자이로 센싱,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이나 UI 조작 없이 머리 움직임만으로 주행과 좌, 우진로방향표시, 정지, 비상 등의 운행상황 표시 기능을 제어 가능한 직관적 동작 인식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헬멧과 의복의 연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범용 적인 사용성을 실험하기 위해, 성인 남녀 5인을 대상으로 실제 주행 시 기능 사용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실험 인원별 성별과 신장, 체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제스처 명령 인터페이스와 LED 제어 기능의 정상 작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륜이동수단 사용자 본인은 물론 함께 도로를 운행하는 타 차량 운전자들 및 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들의 주의를 시각적으로 환기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줄임으로써 공공안 전 측면에서 사회적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title":"Development of a Wearable System for Two-wheeled Vehicle Users - Focusing on the Gesture Command Interface and Driving Direction-situation Indicating Function -","authors":"Hyunseung Lee","doi":"10.18652/2023.23.3.6","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6","url":null,"abstract":"현재 이륜이동수단의 유형은 자전거와 모터사이클, 퍼스널모빌리티로 다양화되고 있음과 동시에 사용인 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륜이동수단은 운동성이 높고 전면 및 배면 투영 면적이 일반적인 성인의 신체투영 면적과 유사하여 거리가 충분치 않을 경우 타 차량이나 보행자가 빠르게 접근하는 이들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륜이동수단 사용자와 타인의 안전을 위해 이륜이동수단은 높은 시인성이 확보되어야 할 필요 성이 있으나, 각 이륜이동수단별 구조와 크기의 한계로 인해 충분한 장비를 설치하기 어려운 한계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 유형별 이륜이동수단 이용자 모두가 사용 가능한 시인성 강화 기능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이미 착용 한 의복 위에 편하게 착용 가능한 구조 및 의복만으로 최소한의 시인성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색과 소재, 의복에서 손쉽게 디지털 모듈을 탈부착 가능한 거치 구조가 적용된 의복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둘째, 고휘도 RGB LED 광원 및 가속도-자이로 센싱,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이나 UI 조작 없이 머리 움직임만으로 주행과 좌, 우진로방향표시, 정지, 비상 등의 운행상황 표시 기능을 제어 가능한 직관적 동작 인식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헬멧과 의복의 연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범용 적인 사용성을 실험하기 위해, 성인 남녀 5인을 대상으로 실제 주행 시 기능 사용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실험 인원별 성별과 신장, 체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제스처 명령 인터페이스와 LED 제어 기능의 정상 작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륜이동수단 사용자 본인은 물론 함께 도로를 운행하는 타 차량 운전자들 및 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들의 주의를 시각적으로 환기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줄임으로써 공공안 전 측면에서 사회적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의류 폐기물 매립으로 인한 환경 문제의 대안으로서 3R이 주장되었는데, 최근 들어 생분해 섬유 사용 등 을 통한 에너지 순환 개념의 해결방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과 2050 탄소중립 실현 을 위한 전 세계적인 대책의 실행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바이오·재생 기반의 생분해 소재에 대한 수요는 계속 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서 지속가능한 패션의 개념과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지속가능 패션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한 뒤 그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지속가능 패션 유형으 로서 제시되는 친환경 소재인 생분해 섬유의 개념, 종류와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국내외 패션시장에서의 텍스타일 개발과 패션디자인 사례로 나누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cradle to cradle’ 방법론을 적용하여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여 현 생분해 섬유시장의 한계점과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 연구와 문헌 연구를 사용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학적 순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생분해 섬유는 지속가능 패션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국내 생분해 섬유시장은 해외 시장과 비교할 때 기술 부족과 높은 수입 의존도, 인식 부족 등의 원인으로 활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cradle to cradle’ 인 증 방법론으로 분석해본 결과, 원료 안정성, 재활용 가능성, 재생에너지 사용 및 탄소 관리 항목에서 지속가 능성 기준에 부합하였으나, 용수 관리 항목에서는 산업 전반적으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생분 해 섬유에 대한 많은 시장의 수요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관련 후속 연구의 촉발과 함께 앞으로의 패션디자인 기획 및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제공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作为服装废弃物填埋引起的环境问题的替代方案,提出了3R。最近,通过生物分解纤维的使用等能源循环概念的解决方案备受关注。受第26届联合国气候变化框架公约和旨在实现2050碳中和的全球对策实施的影响,全球对生物、再生基础生物分解材料的需求可能会持续增加。本研究的目的第一,作为理论背景,观察可持续服装的概念和形成背景,将可持续服装类型分为3种后,理解其特性。第二,考察可持续服装类型提出的环保材料生物分解纤维的概念、种类和特性。第三,将生物分解纤维的使用事例分为国内外服装市场上的纺织开发和服装设计事例来分析一下。最后,运用“cradle to cradle”方法论,分析生物分解纤维使用事例的可持续性,看看目前生物分解纤维市场的局限性和改善的可能性。研究的方法使用案例研究和文献研究。研究结果表明:第一,由于生物循环的特性,生物分解纤维可以成为可持续时尚的根本替代方案。第二,国内生物分解纤维市场与海外市场相比,由于技术不足、进口依赖度高、认识不足等原因,相对缺乏活力。第三,生分解纤维使用案例为“cradle to cradle”症方法论分析结果,原料的稳定性,可再利用,可再生能源使用和碳管理项目中持续符合多能性标准,但在用水管理项目,产业整体上有改善的必要性。本研究的意义在于,虽然市场对生分解纤维的需求很大,但在先行研究不足的情况下,随着相关后续研究的触发,为今后的服装设计企划及开发提供了理论依据。
{"title":"An Analysis on the Use of Biodegradable Fibers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 Applying C2C Methodology -","authors":"Hyo Rin Kim, Hannah Shin, Seung Ik Lee","doi":"10.18652/2023.23.3.4","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4","url":null,"abstract":"의류 폐기물 매립으로 인한 환경 문제의 대안으로서 3R이 주장되었는데, 최근 들어 생분해 섬유 사용 등 을 통한 에너지 순환 개념의 해결방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과 2050 탄소중립 실현 을 위한 전 세계적인 대책의 실행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바이오·재생 기반의 생분해 소재에 대한 수요는 계속 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서 지속가능한 패션의 개념과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지속가능 패션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한 뒤 그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지속가능 패션 유형으 로서 제시되는 친환경 소재인 생분해 섬유의 개념, 종류와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국내외 패션시장에서의 텍스타일 개발과 패션디자인 사례로 나누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cradle to cradle’ 방법론을 적용하여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여 현 생분해 섬유시장의 한계점과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 연구와 문헌 연구를 사용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학적 순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생분해 섬유는 지속가능 패션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국내 생분해 섬유시장은 해외 시장과 비교할 때 기술 부족과 높은 수입 의존도, 인식 부족 등의 원인으로 활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cradle to cradle’ 인 증 방법론으로 분석해본 결과, 원료 안정성, 재활용 가능성, 재생에너지 사용 및 탄소 관리 항목에서 지속가 능성 기준에 부합하였으나, 용수 관리 항목에서는 산업 전반적으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생분 해 섬유에 대한 많은 시장의 수요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관련 후속 연구의 촉발과 함께 앞으로의 패션디자인 기획 및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제공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59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본 연구는 패션 제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건 인증마크가 제시되기 전과 제시된 후의 두 상황에서 지각된 혜택과 위험에 대한 인식 차이, 제품에 대한 신뢰수준의 차이, 그리고 행동 의도의 차이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위해 237명의 표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제품의 비건 인증마크 제시 전·후의 지각된 혜택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피부 건강 혜택', '친환경 혜택', '윤리 소비 혜택 ', 그리고 '건강 유지 혜택'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비건 인증된 패션 제품이 비건 미인증 제품보다 피부 건강, 환경 친화성, 윤리적 소비, 그리고 건강 유지 측면에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는 인식 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지각된 위험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심미성 위험'과 '유행성 위험'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재무 위험'과 '사회심리 위험'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건 인증마 크가 제시될 때, 미인증 제품에 비교하여 심미성과 유행성과 관련된 위험이 감소한다는 인식이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셋째, 비건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 신뢰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안정성'과 '신뢰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넷째, 비건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 의도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구매 의도'와 '추천의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비건 인증마크를 인지할 때, 패션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와 추천의향이 높아지며, 이는 비건 인증마크의 후광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 제품 생산·판매 업체들에 비건 인증마크 부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또한, 비건 인증 된 친환경 패션 제품의 후광효과 제시에 연구 의의가 있다.
{"title":"Analysis of Differences in Consumers’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s before and after Presenting the Vegan Certification Mark of Fashion Products","authors":"Yu Been Kim","doi":"10.18652/2023.23.3.5","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패션 제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건 인증마크가 제시되기 전과 제시된 후의 두 상황에서 지각된 혜택과 위험에 대한 인식 차이, 제품에 대한 신뢰수준의 차이, 그리고 행동 의도의 차이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위해 237명의 표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제품의 비건 인증마크 제시 전·후의 지각된 혜택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피부 건강 혜택', '친환경 혜택', '윤리 소비 혜택 ', 그리고 '건강 유지 혜택'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비건 인증된 패션 제품이 비건 미인증 제품보다 피부 건강, 환경 친화성, 윤리적 소비, 그리고 건강 유지 측면에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는 인식 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지각된 위험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심미성 위험'과 '유행성 위험'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재무 위험'과 '사회심리 위험'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건 인증마 크가 제시될 때, 미인증 제품에 비교하여 심미성과 유행성과 관련된 위험이 감소한다는 인식이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셋째, 비건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 신뢰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안정성'과 '신뢰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넷째, 비건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 의도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구매 의도'와 '추천의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비건 인증마크를 인지할 때, 패션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와 추천의향이 높아지며, 이는 비건 인증마크의 후광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 제품 생산·판매 업체들에 비건 인증마크 부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또한, 비건 인증 된 친환경 패션 제품의 후광효과 제시에 연구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9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ctivism for Animal Protection against the Fashion Industry - Focused on PETA -","authors":"Jiwoon Jeong, Jaehoon Chun","doi":"10.18652/2023.23.3.1","DOIUrl":"https://doi.org/10.18652/2023.23.3.1","url":null,"abstract":"","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7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