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ing Seongjong\"s Ritual and System and its Polit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in Goryeo Dynasty","authors":"Jung Soo Han","doi":"10.31335/hpts.2023.08.81.5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먼저 성종대를 중심으로 의제 정비 방향과 대송 관계를 파악하려 했다. 이어 성종이 어떻게 국가 의제 정비를 전개했는가와 그 특징 등을 살펴보면서 그 정치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BR 성종은 태조 이래 대왕 의식을 주목했다. 그리고 중국 고제 및 당․송 예제, 태조 유풍과 광종의 칭제건원 개혁, 신라 관련 토풍을 참작했다. 그 결과 다방면에 걸친 의례 및 제도 정비의 성과를 이뤄냈다. 이를 볼 때 성종을 ‘교화 군주(敎化君主)’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성종은 새로운 길이라 할 ‘제왕’의 나라로서의 예제 정비를 했다. 이러한 고려를 송은 유교 예제 면에서 송과 같은 서계동문(書契同文)을 이룬 나라라 보았다.BR 이상과 같이 성종은 양국 관계를 적극 활용했다. 사대라는 명분을 행하면서 예제 정비라는 실리를 이뤘다. 그 정치 문화적 의미는 성종이 제왕에 입각한 의제 정비를 추구한 것이었다. 이는 이후 화풍 추구라는 면에 있어 고려왕조에 새로운 길을 열어 주었다.","PeriodicalId":471717,"journal":{"name":"Yeogsa wa silhag","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eogsa wa sil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35/hpts.2023.08.81.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성종대를 중심으로 의제 정비 방향과 대송 관계를 파악하려 했다. 이어 성종이 어떻게 국가 의제 정비를 전개했는가와 그 특징 등을 살펴보면서 그 정치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BR 성종은 태조 이래 대왕 의식을 주목했다. 그리고 중국 고제 및 당․송 예제, 태조 유풍과 광종의 칭제건원 개혁, 신라 관련 토풍을 참작했다. 그 결과 다방면에 걸친 의례 및 제도 정비의 성과를 이뤄냈다. 이를 볼 때 성종을 ‘교화 군주(敎化君主)’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성종은 새로운 길이라 할 ‘제왕’의 나라로서의 예제 정비를 했다. 이러한 고려를 송은 유교 예제 면에서 송과 같은 서계동문(書契同文)을 이룬 나라라 보았다.BR 이상과 같이 성종은 양국 관계를 적극 활용했다. 사대라는 명분을 행하면서 예제 정비라는 실리를 이뤘다. 그 정치 문화적 의미는 성종이 제왕에 입각한 의제 정비를 추구한 것이었다. 이는 이후 화풍 추구라는 면에 있어 고려왕조에 새로운 길을 열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