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Diffentiated Values of the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authors":"Jun-Su Kang, Young-Min Song","doi":"10.52892/rikd.2023.62.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댄스를 핵심 콘텐츠로 활용하는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의 경 쟁력, 차별적 가치, 그리고 기능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는 것이다.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은 군사도시 이미지에서 문화도시 이미지로의 전환에 성공하고 있다. 원주 다 이내믹 댄싱 카니발이 지닌 기능과 역할은 댄스를 매개로 주민들의 여가 활동뿐만 아 니라, 관광객들의 문화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은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자긍심 유도, 지역 문화예술 촉진, 관광객의 유입 을 통한 문화도시 이미지 구축, 세계 공연팀들의 참여를 통한 글로벌 이미지를 확대하 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문화적 교류, 협력 계기 마련, 그리고 지역 문화예술 활동의 확대는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삶의 질적 가치 향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의 차별성은 댄스 공연자와 관객이 수평 지향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 호 소통과 공감대를 나누고 있다는 점이다. 무대 위 공연자와 관객의 활발한 소통과 공감대 형성은 축제 콘텐츠에 대한 참여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연 자와 참여 관객 사이의 수평적 관계 지향성은 상호 공동체적 의식을 형성시키면서 지 역주민과 관광객의 참여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원주 다이내 믹 댄싱 카니발의 경쟁력은 공연자와 관객 사이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서 참여자의 자 아실현, 삶의 질적 가치 상승, 그리고 적극적 참여 유도를 통한 축제의 지속적 발전 가 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PeriodicalId":477328,"journal":{"name":"urichum yeon-gu","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urichu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892/rikd.2023.62.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댄스를 핵심 콘텐츠로 활용하는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의 경 쟁력, 차별적 가치, 그리고 기능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는 것이다.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은 군사도시 이미지에서 문화도시 이미지로의 전환에 성공하고 있다. 원주 다 이내믹 댄싱 카니발이 지닌 기능과 역할은 댄스를 매개로 주민들의 여가 활동뿐만 아 니라, 관광객들의 문화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은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자긍심 유도, 지역 문화예술 촉진, 관광객의 유입 을 통한 문화도시 이미지 구축, 세계 공연팀들의 참여를 통한 글로벌 이미지를 확대하 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문화적 교류, 협력 계기 마련, 그리고 지역 문화예술 활동의 확대는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삶의 질적 가치 향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의 차별성은 댄스 공연자와 관객이 수평 지향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 호 소통과 공감대를 나누고 있다는 점이다. 무대 위 공연자와 관객의 활발한 소통과 공감대 형성은 축제 콘텐츠에 대한 참여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연 자와 참여 관객 사이의 수평적 관계 지향성은 상호 공동체적 의식을 형성시키면서 지 역주민과 관광객의 참여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원주 다이내 믹 댄싱 카니발의 경쟁력은 공연자와 관객 사이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서 참여자의 자 아실현, 삶의 질적 가치 상승, 그리고 적극적 참여 유도를 통한 축제의 지속적 발전 가 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