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Exploring the Value of Using Dance Films in Dance Education","authors":"Yeon-Jae Kim","doi":"10.52892/rikd.2023.62.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무용 교육 안에서 댄스 필름의 활용 가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 회문화적 맥락에서의 교육적 가치와 예술적 맥락에서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담론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댄스 필름 작품 분석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는 젠더/인종 과 환경의 담론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젠더는 몸이 주는 권력(성별, 인종, 계급, 자본 등)과 연관되어 정치적, 역사적, 문화적 관점으로 논의될 수 있다. 이는 댄스 필름 안 에서 ‘식별되지 않은 몸’으로 움직임과 이미지를 표현하여 우리에게 새로운 감각과 관 점을 제공해 준다. 다음으로 환경은 생태 담론을 통해 자연이 우리와 상생, 공존의 관 계로서 인식하게 하거나, 문제에 대한 경고적 메시지를 담아내는 등의 표현으로 논의 된다. 이는 댄스 필름에서는 ‘대지의 몸’에 대한 의미로서 우리는 일상적 움직임과 소 리, 공간 등을 활용하여 몸과 관계 맺어 새로운 움직임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일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받는다. 마지막으로 무용 교육에서 댄스 필름 제안하 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는 개념이해, 창작, 제작, 발표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 분된다. 개념이해와 창작의 영역에서 댄스 필름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담론에 관한 논 의를 제안한다. 사회문화적 담론에 관한 논의를 통해 창작의 과정을 구체화하고, 영상 을 통한 새로운 표현 방식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방식의 창작, 안 무 과정을 제안함과 동시에 향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 개발 등 실천적 연구를 제안한다.","PeriodicalId":477328,"journal":{"name":"urichum yeon-gu","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urichu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892/rikd.2023.6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 교육 안에서 댄스 필름의 활용 가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 회문화적 맥락에서의 교육적 가치와 예술적 맥락에서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담론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댄스 필름 작품 분석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는 젠더/인종 과 환경의 담론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젠더는 몸이 주는 권력(성별, 인종, 계급, 자본 등)과 연관되어 정치적, 역사적, 문화적 관점으로 논의될 수 있다. 이는 댄스 필름 안 에서 ‘식별되지 않은 몸’으로 움직임과 이미지를 표현하여 우리에게 새로운 감각과 관 점을 제공해 준다. 다음으로 환경은 생태 담론을 통해 자연이 우리와 상생, 공존의 관 계로서 인식하게 하거나, 문제에 대한 경고적 메시지를 담아내는 등의 표현으로 논의 된다. 이는 댄스 필름에서는 ‘대지의 몸’에 대한 의미로서 우리는 일상적 움직임과 소 리, 공간 등을 활용하여 몸과 관계 맺어 새로운 움직임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일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받는다. 마지막으로 무용 교육에서 댄스 필름 제안하 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는 개념이해, 창작, 제작, 발표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 분된다. 개념이해와 창작의 영역에서 댄스 필름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담론에 관한 논 의를 제안한다. 사회문화적 담론에 관한 논의를 통해 창작의 과정을 구체화하고, 영상 을 통한 새로운 표현 방식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방식의 창작, 안 무 과정을 제안함과 동시에 향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 개발 등 실천적 연구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