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高峰奇,大霹雳中,中国节的意义","authors":"홍성민","doi":"10.19065/JAPK..47.201707.6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中節 개념을 중심으로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론에 내포된 철학적 의의를 조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퇴계와 다른 고봉의 칠정 개념을 분석하였다. 논문에 따르면 퇴계와 고봉의 논쟁은 칠정 개념에 대한 이해 차이에서 비롯되었는데, 고봉은 『중용』의 ‘性發爲情’ 논리에 입각하여 칠정도 사단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선한 것이라고...","PeriodicalId":297075,"journ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7-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高峰 奇大升의 四七論에서 中節의 의미\",\"authors\":\"홍성민\",\"doi\":\"10.19065/JAPK..47.201707.6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中節 개념을 중심으로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론에 내포된 철학적 의의를 조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퇴계와 다른 고봉의 칠정 개념을 분석하였다. 논문에 따르면 퇴계와 고봉의 논쟁은 칠정 개념에 대한 이해 차이에서 비롯되었는데, 고봉은 『중용』의 ‘性發爲情’ 논리에 입각하여 칠정도 사단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선한 것이라고...\",\"PeriodicalId\":297075,\"journ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7-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065/JAPK..47.201707.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065/JAPK..47.201707.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논문은 中節 개념을 중심으로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론에 내포된 철학적 의의를 조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퇴계와 다른 고봉의 칠정 개념을 분석하였다. 논문에 따르면 퇴계와 고봉의 논쟁은 칠정 개념에 대한 이해 차이에서 비롯되었는데, 고봉은 『중용』의 ‘性發爲情’ 논리에 입각하여 칠정도 사단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선한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