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可生物降解纤维在可持续服装设计中的应用分析-应用C2C方法","authors":"Hyo Rin Kim, Hannah Shin, Seung Ik Lee","doi":"10.18652/2023.23.3.4","DOIUrl":null,"url":null,"abstract":"의류 폐기물 매립으로 인한 환경 문제의 대안으로서 3R이 주장되었는데, 최근 들어 생분해 섬유 사용 등 을 통한 에너지 순환 개념의 해결방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과 2050 탄소중립 실현 을 위한 전 세계적인 대책의 실행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바이오·재생 기반의 생분해 소재에 대한 수요는 계속 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서 지속가능한 패션의 개념과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지속가능 패션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한 뒤 그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지속가능 패션 유형으 로서 제시되는 친환경 소재인 생분해 섬유의 개념, 종류와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국내외 패션시장에서의 텍스타일 개발과 패션디자인 사례로 나누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cradle to cradle’ 방법론을 적용하여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여 현 생분해 섬유시장의 한계점과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 연구와 문헌 연구를 사용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학적 순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생분해 섬유는 지속가능 패션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국내 생분해 섬유시장은 해외 시장과 비교할 때 기술 부족과 높은 수입 의존도, 인식 부족 등의 원인으로 활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cradle to cradle’ 인 증 방법론으로 분석해본 결과, 원료 안정성, 재활용 가능성, 재생에너지 사용 및 탄소 관리 항목에서 지속가 능성 기준에 부합하였으나, 용수 관리 항목에서는 산업 전반적으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생분 해 섬유에 대한 많은 시장의 수요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관련 후속 연구의 촉발과 함께 앞으로의 패션디자인 기획 및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제공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 Analysis on the Use of Biodegradable Fibers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 Applying C2C Methodology -\",\"authors\":\"Hyo Rin Kim, Hannah Shin, Seung Ik Lee\",\"doi\":\"10.18652/2023.23.3.4\",\"DOIUrl\":null,\"url\":null,\"abstract\":\"의류 폐기물 매립으로 인한 환경 문제의 대안으로서 3R이 주장되었는데, 최근 들어 생분해 섬유 사용 등 을 통한 에너지 순환 개념의 해결방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과 2050 탄소중립 실현 을 위한 전 세계적인 대책의 실행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바이오·재생 기반의 생분해 소재에 대한 수요는 계속 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서 지속가능한 패션의 개념과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지속가능 패션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한 뒤 그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지속가능 패션 유형으 로서 제시되는 친환경 소재인 생분해 섬유의 개념, 종류와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국내외 패션시장에서의 텍스타일 개발과 패션디자인 사례로 나누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cradle to cradle’ 방법론을 적용하여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여 현 생분해 섬유시장의 한계점과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 연구와 문헌 연구를 사용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학적 순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생분해 섬유는 지속가능 패션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국내 생분해 섬유시장은 해외 시장과 비교할 때 기술 부족과 높은 수입 의존도, 인식 부족 등의 원인으로 활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cradle to cradle’ 인 증 방법론으로 분석해본 결과, 원료 안정성, 재활용 가능성, 재생에너지 사용 및 탄소 관리 항목에서 지속가 능성 기준에 부합하였으나, 용수 관리 항목에서는 산업 전반적으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생분 해 섬유에 대한 많은 시장의 수요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관련 후속 연구의 촉발과 함께 앞으로의 패션디자인 기획 및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제공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6091,\"journ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652/2023.23.3.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pae'syeon di'jain haghoeji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652/2023.23.3.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作为服装废弃物填埋引起的环境问题的替代方案,提出了3R。最近,通过生物分解纤维的使用等能源循环概念的解决方案备受关注。受第26届联合国气候变化框架公约和旨在实现2050碳中和的全球对策实施的影响,全球对生物、再生基础生物分解材料的需求可能会持续增加。本研究的目的第一,作为理论背景,观察可持续服装的概念和形成背景,将可持续服装类型分为3种后,理解其特性。第二,考察可持续服装类型提出的环保材料生物分解纤维的概念、种类和特性。第三,将生物分解纤维的使用事例分为国内外服装市场上的纺织开发和服装设计事例来分析一下。最后,运用“cradle to cradle”方法论,分析生物分解纤维使用事例的可持续性,看看目前生物分解纤维市场的局限性和改善的可能性。研究的方法使用案例研究和文献研究。研究结果表明:第一,由于生物循环的特性,生物分解纤维可以成为可持续时尚的根本替代方案。第二,国内生物分解纤维市场与海外市场相比,由于技术不足、进口依赖度高、认识不足等原因,相对缺乏活力。第三,生分解纤维使用案例为“cradle to cradle”症方法论分析结果,原料的稳定性,可再利用,可再生能源使用和碳管理项目中持续符合多能性标准,但在用水管理项目,产业整体上有改善的必要性。本研究的意义在于,虽然市场对生分解纤维的需求很大,但在先行研究不足的情况下,随着相关后续研究的触发,为今后的服装设计企划及开发提供了理论依据。
An Analysis on the Use of Biodegradable Fibers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 Applying C2C Methodology -
의류 폐기물 매립으로 인한 환경 문제의 대안으로서 3R이 주장되었는데, 최근 들어 생분해 섬유 사용 등 을 통한 에너지 순환 개념의 해결방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과 2050 탄소중립 실현 을 위한 전 세계적인 대책의 실행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바이오·재생 기반의 생분해 소재에 대한 수요는 계속 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서 지속가능한 패션의 개념과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지속가능 패션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한 뒤 그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지속가능 패션 유형으 로서 제시되는 친환경 소재인 생분해 섬유의 개념, 종류와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국내외 패션시장에서의 텍스타일 개발과 패션디자인 사례로 나누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cradle to cradle’ 방법론을 적용하여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여 현 생분해 섬유시장의 한계점과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 연구와 문헌 연구를 사용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학적 순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생분해 섬유는 지속가능 패션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국내 생분해 섬유시장은 해외 시장과 비교할 때 기술 부족과 높은 수입 의존도, 인식 부족 등의 원인으로 활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셋째, 생분해 섬유 사용 사례를 ‘cradle to cradle’ 인 증 방법론으로 분석해본 결과, 원료 안정성, 재활용 가능성, 재생에너지 사용 및 탄소 관리 항목에서 지속가 능성 기준에 부합하였으나, 용수 관리 항목에서는 산업 전반적으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생분 해 섬유에 대한 많은 시장의 수요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관련 후속 연구의 촉발과 함께 앞으로의 패션디자인 기획 및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제공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