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制定反映协商调解性质的《新加坡调解公约实施法》的必要性研究","authors":"Young Joo Ham","doi":"10.35505/slj.2023.10.12.3.217","DOIUrl":null,"url":null,"abstract":"국문초록<BR>Ⅰ. 서론:협상과 조정에 대한 기본 개념 설정의 필요성<BR>Ⅱ. 조정과 협상의 개념<BR>Ⅲ. 당사자 간의 합의를 의미하는 ‘화해’에 대한 다양한 개념 정의와 국내 재판상 화해 효력의 문제점<BR>Ⅳ. 협상/조정 군(群)과 중재/재판 군(群)의 본질적 차이에 대한 검토<BR>Ⅴ. 조정 모델법을 별도로 마련한 이유와 그 영향<BR>Ⅵ. 결론<BR>참고문헌<BR>Abstract<BR","PeriodicalId":498243,"journal":{"name":"Seogang beomnyul nonchong","volume":"197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need to Enact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Implementation Act which Reflects the Nature of Negotiation-based Mediation\",\"authors\":\"Young Joo Ham\",\"doi\":\"10.35505/slj.2023.10.12.3.217\",\"DOIUrl\":null,\"url\":null,\"abstract\":\"국문초록<BR>Ⅰ. 서론:협상과 조정에 대한 기본 개념 설정의 필요성<BR>Ⅱ. 조정과 협상의 개념<BR>Ⅲ. 당사자 간의 합의를 의미하는 ‘화해’에 대한 다양한 개념 정의와 국내 재판상 화해 효력의 문제점<BR>Ⅳ. 협상/조정 군(群)과 중재/재판 군(群)의 본질적 차이에 대한 검토<BR>Ⅴ. 조정 모델법을 별도로 마련한 이유와 그 영향<BR>Ⅵ. 결론<BR>참고문헌<BR>Abstract<BR\",\"PeriodicalId\":498243,\"journal\":{\"name\":\"Seogang beomnyul nonchong\",\"volume\":\"197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eogang beomnyul nonch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505/slj.2023.10.12.3.2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eogang beomnyul nonch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505/slj.2023.10.12.3.2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need to Enact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Implementation Act which Reflects the Nature of Negotiation-based Mediation
국문초록 Ⅰ. 서론:협상과 조정에 대한 기본 개념 설정의 필요성 Ⅱ. 조정과 협상의 개념 Ⅲ. 당사자 간의 합의를 의미하는 ‘화해’에 대한 다양한 개념 정의와 국내 재판상 화해 효력의 문제점 Ⅳ. 협상/조정 군(群)과 중재/재판 군(群)의 본질적 차이에 대한 검토 Ⅴ. 조정 모델법을 별도로 마련한 이유와 그 영향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