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学学生参与“动作艺术剧场”使用Metaverse平台对舞蹈兴趣与态度的影响

Hye-Jeon Hong
{"title":"小学学生参与“动作艺术剧场”使用Metaverse平台对舞蹈兴趣与态度的影响","authors":"Hye-Jeon Hong","doi":"10.52892/rikd.2023.62.6","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움직임 예술극장’ 참여가 무용에 대한 흥미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충북 소 재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40명이며, 메타버스 플랫폼 ‘움직임 예술극 장’에 참여한 실험군(21명)과 동일기간 동영상 ‘움직임 예술극장’에 참여한 대조군(19 명)을 대상으로 주1회 40분씩 총 10주간 2022년 10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을 통해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ANOVA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무용에 대 한 흥미 및 태도가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군의 대응 비교에서도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무용에 대한 흥미 및 태도를 높이 는 데 있어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을 추천하는 바이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무용 에 대한 흥미 및 태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매체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 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77328,"journal":{"name":"urichum yeon-gu","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Art Theater’ using Metaverse Platform on Interest and Attitude in Dance\",\"authors\":\"Hye-Jeon Hong\",\"doi\":\"10.52892/rikd.2023.62.6\",\"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움직임 예술극장’ 참여가 무용에 대한 흥미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충북 소 재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40명이며, 메타버스 플랫폼 ‘움직임 예술극 장’에 참여한 실험군(21명)과 동일기간 동영상 ‘움직임 예술극장’에 참여한 대조군(19 명)을 대상으로 주1회 40분씩 총 10주간 2022년 10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을 통해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ANOVA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무용에 대 한 흥미 및 태도가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군의 대응 비교에서도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무용에 대한 흥미 및 태도를 높이 는 데 있어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을 추천하는 바이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무용 에 대한 흥미 및 태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매체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 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77328,\"journal\":{\"name\":\"urichum yeon-gu\",\"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urichu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892/rikd.2023.62.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urichu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892/rikd.2023.62.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该研究的目的是验证小学生利用元大巴平台参与“动作艺术剧场”对舞蹈的兴趣和态度产生的效果。研究对象字忠北小斋正读小学六年级小学生40人,梅塔巴士平台“动态艺术剧章和실험군(21名)参与同一期间参与视频“动态艺术剧场”的控制组(19名)为对象,每周40分钟,共10周2022年10月5日至12月7日进行了研究。数据处理采用独立标本t-test、对应标本t-test、ANOVA,统计注意水平为p<。设定为05。结果,实验群对舞蹈的兴趣和态度有显著的差异,实验群的对应比较也有显著的差异。因此,在该研究中,为了提高小学生对舞蹈的兴趣和态度,推荐使用元大巴平台。这样的结果有望成为为提高小学生对舞蹈的兴趣及态度,探索多种媒体活用方案的基础资料。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Art Theater’ using Metaverse Platform on Interest and Attitude in Dance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움직임 예술극장’ 참여가 무용에 대한 흥미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충북 소 재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40명이며, 메타버스 플랫폼 ‘움직임 예술극 장’에 참여한 실험군(21명)과 동일기간 동영상 ‘움직임 예술극장’에 참여한 대조군(19 명)을 대상으로 주1회 40분씩 총 10주간 2022년 10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을 통해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ANOVA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무용에 대 한 흥미 및 태도가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군의 대응 비교에서도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무용에 대한 흥미 및 태도를 높이 는 데 있어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을 추천하는 바이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무용 에 대한 흥미 및 태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매체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 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A Study on the Concept of ‘Becoming’ as a Posthuman in Eun Young Jung’s Yeoseong Gukgeuk Project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Art Theater’ using Metaverse Platform on Interest and Attitude in Dance The Nature and Idea of Jakbeopmu Research on the Playful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Dance - Focusing on Alexander Ekman’s [PLAY] - A Study on the Diffentiated Values of the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