当代舞蹈的戏谑特征研究——以亚历山大·埃克曼的《PLAY》为例

Youn-gjin Jeon
{"title":"当代舞蹈的戏谑特征研究——以亚历山大·埃克曼的《PLAY》为例","authors":"Youn-gjin Jeon","doi":"10.52892/rikd.2023.62.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컨템포러리 댄스에 내재한 놀이의 실현을 분석하고자 알렉산더 에크만의 <PLAY>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놀이와 컨템포러리 댄스의 두 분야 간 접점을 고찰 한다. 작품 분석을 위해서 요한 하위징아와 로제 카이와를 필두로 한 사회학적인 놀이 이 론을 토대로 분석에 접근한다. 놀이를 피력하기 위해 일상에 반하는 놀이를 견주어 서 술하고자 한다. 놀이는 경제적 척도에 있어 무용함으로 비판받는다. 그러나 놀이의 무 용함은 역설적으로 자유, 담대, 쾌, 해방과 같은 긍정적 에너지를 잠재하고 있다. 또한 로제 카이와가 제시한 아곤, 미미크리, 알레아, 일링크스의 네 가지 놀이 분류 를 통해 춤에서의 놀이적 온상을 추적한다. 아울러 <PLAY>의 작품 분석에 있어 일상 과 놀이의 이분법적 대조를 통해 놀이의 원리를 파악한다. 놀이는 다양한 색감과 자유 분방한 움직임으로 혼란스러운 가운데 해방감을 연출한다. 반면 일상은 노동으로 억 압된 환경 안에 갇힌 자아를 표현한다. 여기서 일상은 직선으로 이어진 경직된 프레임 으로 표현되며, 반대로 놀이는 원이라는 순환적 구조 속에서 유기적 흐름을 생성한다. 놀이로 돌아가려는 회귀 의지를 마지막 탈의의 순간을 통해 표명하면서 놀이의 중요 성을 시사한다.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놀이는 단순히 노는 행위로 귀결되지만, 놀이 는 여러 가지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놀이 과정과 놀이 후 휴식에서 창의적 아이 디어가 발생하고 이는 문화 창출의 발단이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삶을 유연한 태도 로 대하기 위해선 놀이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PeriodicalId":477328,"journal":{"name":"urichum yeon-gu","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Research on the Playful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Dance - Focusing on Alexander Ekman’s [PLAY] -\",\"authors\":\"Youn-gjin Jeon\",\"doi\":\"10.52892/rikd.2023.62.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컨템포러리 댄스에 내재한 놀이의 실현을 분석하고자 알렉산더 에크만의 <PLAY>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놀이와 컨템포러리 댄스의 두 분야 간 접점을 고찰 한다. 작품 분석을 위해서 요한 하위징아와 로제 카이와를 필두로 한 사회학적인 놀이 이 론을 토대로 분석에 접근한다. 놀이를 피력하기 위해 일상에 반하는 놀이를 견주어 서 술하고자 한다. 놀이는 경제적 척도에 있어 무용함으로 비판받는다. 그러나 놀이의 무 용함은 역설적으로 자유, 담대, 쾌, 해방과 같은 긍정적 에너지를 잠재하고 있다. 또한 로제 카이와가 제시한 아곤, 미미크리, 알레아, 일링크스의 네 가지 놀이 분류 를 통해 춤에서의 놀이적 온상을 추적한다. 아울러 <PLAY>의 작품 분석에 있어 일상 과 놀이의 이분법적 대조를 통해 놀이의 원리를 파악한다. 놀이는 다양한 색감과 자유 분방한 움직임으로 혼란스러운 가운데 해방감을 연출한다. 반면 일상은 노동으로 억 압된 환경 안에 갇힌 자아를 표현한다. 여기서 일상은 직선으로 이어진 경직된 프레임 으로 표현되며, 반대로 놀이는 원이라는 순환적 구조 속에서 유기적 흐름을 생성한다. 놀이로 돌아가려는 회귀 의지를 마지막 탈의의 순간을 통해 표명하면서 놀이의 중요 성을 시사한다.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놀이는 단순히 노는 행위로 귀결되지만, 놀이 는 여러 가지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놀이 과정과 놀이 후 휴식에서 창의적 아이 디어가 발생하고 이는 문화 창출의 발단이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삶을 유연한 태도 로 대하기 위해선 놀이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PeriodicalId\":477328,\"journal\":{\"name\":\"urichum yeon-gu\",\"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urichu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892/rikd.2023.6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urichu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892/rikd.2023.6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篇文章为了分析现代舞蹈内在的游戏的实现,让我们来看看亚历山大·艾克曼。以此来考察游戏和现代舞蹈两个领域之间的交点。为了分析作品,以约翰·豪希亚和罗塞·凯为首的社会学游戏以理论为基础接近分析。为了表达游戏,我想比较一下与日常生活相反的游戏。游戏在经济尺度上被批评为无用。但是游戏的无容却潜在着自由、大胆、痛快、解放等正能量。另外,通过罗杰·凯伊提出的阿贡、米米·克里、阿莱亚、伊林克斯四种游戏分类,追踪舞蹈中的游戏温床。在分析《玩耍》的作品时,通过日常生活和游戏的二分法对照,掌握游戏原理。游戏以多样的色彩和自由奔放的动作,在混乱中表现出解放感。相反,日常生活表现的是被劳动压抑的环境中的自我。在这里,日常生活表现为直线连接的僵硬的框架,相反,游戏在圆圈的循环结构中生成有机的流动。通过最后脱义的瞬间表明想要回归游戏的意志,暗示了游戏的重要性。从作品中可以看出,游戏可以归结为单纯的游戏行为,但游戏却包含着多种可能性。在游戏过程和游戏后的休息中,会产生创意性的id,这也是创造文化的开端。他指出,为了以灵活的态度对待生活,游戏是必要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Research on the Playful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Dance - Focusing on Alexander Ekman’s [PLAY] -
이 글은 컨템포러리 댄스에 내재한 놀이의 실현을 분석하고자 알렉산더 에크만의 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놀이와 컨템포러리 댄스의 두 분야 간 접점을 고찰 한다. 작품 분석을 위해서 요한 하위징아와 로제 카이와를 필두로 한 사회학적인 놀이 이 론을 토대로 분석에 접근한다. 놀이를 피력하기 위해 일상에 반하는 놀이를 견주어 서 술하고자 한다. 놀이는 경제적 척도에 있어 무용함으로 비판받는다. 그러나 놀이의 무 용함은 역설적으로 자유, 담대, 쾌, 해방과 같은 긍정적 에너지를 잠재하고 있다. 또한 로제 카이와가 제시한 아곤, 미미크리, 알레아, 일링크스의 네 가지 놀이 분류 를 통해 춤에서의 놀이적 온상을 추적한다. 아울러 의 작품 분석에 있어 일상 과 놀이의 이분법적 대조를 통해 놀이의 원리를 파악한다. 놀이는 다양한 색감과 자유 분방한 움직임으로 혼란스러운 가운데 해방감을 연출한다. 반면 일상은 노동으로 억 압된 환경 안에 갇힌 자아를 표현한다. 여기서 일상은 직선으로 이어진 경직된 프레임 으로 표현되며, 반대로 놀이는 원이라는 순환적 구조 속에서 유기적 흐름을 생성한다. 놀이로 돌아가려는 회귀 의지를 마지막 탈의의 순간을 통해 표명하면서 놀이의 중요 성을 시사한다.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놀이는 단순히 노는 행위로 귀결되지만, 놀이 는 여러 가지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놀이 과정과 놀이 후 휴식에서 창의적 아이 디어가 발생하고 이는 문화 창출의 발단이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삶을 유연한 태도 로 대하기 위해선 놀이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A Study on the Concept of ‘Becoming’ as a Posthuman in Eun Young Jung’s Yeoseong Gukgeuk Project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Art Theater’ using Metaverse Platform on Interest and Attitude in Dance The Nature and Idea of Jakbeopmu Research on the Playful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Dance - Focusing on Alexander Ekman’s [PLAY] - A Study on the Diffentiated Values of the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