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공화국과 역량강화의 정치

이재승
{"title":"민주공화국과 역량강화의 정치","authors":"이재승","doi":"10.17948/KCS.2017..75.129","DOIUrl":null,"url":null,"abstract":"필자는 민주공화국의 틀 안에서 제도개혁을 영속적으로 수행하려는 정치적 입장을 역동적 공화주의로 정의한다. 한국사회에서 민주공화국이 사회개혁의 엔진이 되기 위해서는 냉전적 자유주의로 고착된 정치체제를 경합적 다원주의로 변형해야 한다. 필자는 웅거와 무페, 추이즈위안의 자유사회주의적 구상을 고려하여 `내가 살고 싶은 나라`로서 민주공화국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원칙을 제시한다. 정치의 영역에서는 대의제의 기본틀에서 직접민주제를 강화하고, 헌법재판 및 입법과정과 나란히 시민배심제를 도입하여 엘리트 정치구조를 견제하자고 제안한다. 다음으로 경제의 영역에서는 세금과 이전지출을 통한 사회민주적 방안 대신에 역량강화의 정치를 제안한다. 그것은 보통사람들에게 교육, 기술, 자본을 제공하여 생산경제의 주체로서 자립성의 획득을 지향한다. 공화제적인 재산질서에서부터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까지 다양한 재산체제를 실험할 수 있다. 사회문화의 원리는 이중적이다. 사회 조직에서 만연한 가부장제나 과두제를 타파하기 위해 민주공화적인 원리가 강화되어야 하고, 소수자 및 정체성과 관련한 영역에서는 대안적인 공동결정제가 필요하다. 인간은 억압과 무력함을 조장하는 사회질서에 대해 대칭성을 회복하기 위해 투쟁을 포기하지 않으므로 정치는 간헐적이지만 분출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써 사회제도들도 혁신의 기회를 맞게 된다. 통제형 정치나 방임형 정치보다는 보통사람들의 잠재력을 일깨우는 역량강화의 정치가 인간향상과 사회진보에 더욱 훌륭하게 기여할 것이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4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948/KCS.2017..75.1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필자는 민주공화국의 틀 안에서 제도개혁을 영속적으로 수행하려는 정치적 입장을 역동적 공화주의로 정의한다. 한국사회에서 민주공화국이 사회개혁의 엔진이 되기 위해서는 냉전적 자유주의로 고착된 정치체제를 경합적 다원주의로 변형해야 한다. 필자는 웅거와 무페, 추이즈위안의 자유사회주의적 구상을 고려하여 `내가 살고 싶은 나라`로서 민주공화국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원칙을 제시한다. 정치의 영역에서는 대의제의 기본틀에서 직접민주제를 강화하고, 헌법재판 및 입법과정과 나란히 시민배심제를 도입하여 엘리트 정치구조를 견제하자고 제안한다. 다음으로 경제의 영역에서는 세금과 이전지출을 통한 사회민주적 방안 대신에 역량강화의 정치를 제안한다. 그것은 보통사람들에게 교육, 기술, 자본을 제공하여 생산경제의 주체로서 자립성의 획득을 지향한다. 공화제적인 재산질서에서부터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까지 다양한 재산체제를 실험할 수 있다. 사회문화의 원리는 이중적이다. 사회 조직에서 만연한 가부장제나 과두제를 타파하기 위해 민주공화적인 원리가 강화되어야 하고, 소수자 및 정체성과 관련한 영역에서는 대안적인 공동결정제가 필요하다. 인간은 억압과 무력함을 조장하는 사회질서에 대해 대칭성을 회복하기 위해 투쟁을 포기하지 않으므로 정치는 간헐적이지만 분출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써 사회제도들도 혁신의 기회를 맞게 된다. 통제형 정치나 방임형 정치보다는 보통사람들의 잠재력을 일깨우는 역량강화의 정치가 인간향상과 사회진보에 더욱 훌륭하게 기여할 것이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民主共和国和加强力量的政治
笔者将想要在民主共和国的框架内永续进行制度改革的政治立场定义为灵活的共和主义。在韩国社会,民主共和国要想成为社会改革的引擎,必须将固定为冷战式自由主义的政治体制转变为竞争式多元主义。笔者考虑到雄居、武佩和崔志远的自由社会主义构想,提出了作为“我想生活的国家”的民主共和国的政治、经济、社会文化的原则。在政治领域,提议在代议制的基本框架下强化直接民主制,在宪法审判及立法过程的同时引进市民陪审制,牵制精英政治结构。其次,在经济领域,提出加强力量的政治,而不是通过税金和转移支出的社会民主方案。它向普通人提供教育,技术,资本,以获得作为生产经济主体的独立性。从共和的财产秩序到小资产阶级社会主义,可以试验多种财产体制。社会文化的原理是双重的。为了打破在社会组织中蔓延的家长制和寡头制,需要强化民主、共和的原理,在少数者及认同感相关的领域,需要替代性的共同决定制。人类不会为了恢复对助长压迫和无力的社会秩序的对称性而放弃斗争,因此,政治虽然是间歇性的,但只能喷发出来,因此,社会制度也迎来了革新的机会。比起统制型政治或放任型政治,唤醒普通人潜力的力量强化政治将对人类的提高和社会进步做出更好的贡献。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조선 중기 『家禮』에 대한 고증과 보정―『家禮輯覽』을 중심으로― SNS에 나타난 은유 표현의 양상―SNS의 새로운 은유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학의 근대성 고찰 ‘한국문학사’의 인식과 서술 체계-『한국문학통사』의 갈래론을 중심으로- 한국의 복장(腹藏), 경전적 의미와 해석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