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한국 근대 행정구역 사전 : 1895-1963년』 편찬 방법과 의의","authors":"이송순","doi":"10.17948/kcs.2017..75.91","DOIUrl":null,"url":null,"abstract":"사전(事典)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적 지식의 체계적 심화와 함께 지식의 정확한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행정구역은 국가통치의 중요한 기제로서 거주민의 생활과 인식을 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n『한국 근대 행정구역 사전』은 1895년부터 1963년까지 한국의 근대 행정구역에 대해 전국을 대상으로 군(郡) 단위로 면까지의 변동 상황을 정리하였다. 대상 시기는 1895년 23부제 개혁으로부터 1963년 1월 1일자로 단행된 대대적인 지방행정구역 변동까지이다. 1895-1963년까지의 행정구역은 일제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근간이 마련된 지방행정구역을 바탕으로 아직 본격적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기 전 한국 근대의 행정구역의 궤적을 살펴볼 수 있다. \n이 글에서는 『한국 근대 행정구역 사전』 편찬에 근거가 된 자료에 대한 해제, 행정구역을 도 - 군 - 면 단위로 시계열적 변동을 추적하는 작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1895년 조선정부로부터 시작된 근대 행정구역의 연원과 역사적 변천 과정을 정확히 정리하는 것은 “근대로의 이행 - 식민지배 - 독립과 분단”이라는 한국 근대사의 특성을 이해하는 기제가 될 수 있고, 지명에 대한 억측과 과도한 해석을 지양하고 현재와 미래 한국인의 삶을 담을 수 있는 지명으로의 전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7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948/kcs.2017..75.9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사전(事典)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적 지식의 체계적 심화와 함께 지식의 정확한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행정구역은 국가통치의 중요한 기제로서 거주민의 생활과 인식을 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한국 근대 행정구역 사전』은 1895년부터 1963년까지 한국의 근대 행정구역에 대해 전국을 대상으로 군(郡) 단위로 면까지의 변동 상황을 정리하였다. 대상 시기는 1895년 23부제 개혁으로부터 1963년 1월 1일자로 단행된 대대적인 지방행정구역 변동까지이다. 1895-1963년까지의 행정구역은 일제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근간이 마련된 지방행정구역을 바탕으로 아직 본격적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기 전 한국 근대의 행정구역의 궤적을 살펴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 근대 행정구역 사전』 편찬에 근거가 된 자료에 대한 해제, 행정구역을 도 - 군 - 면 단위로 시계열적 변동을 추적하는 작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1895년 조선정부로부터 시작된 근대 행정구역의 연원과 역사적 변천 과정을 정확히 정리하는 것은 “근대로의 이행 - 식민지배 - 독립과 분단”이라는 한국 근대사의 특성을 이해하는 기제가 될 수 있고, 지명에 대한 억측과 과도한 해석을 지양하고 현재와 미래 한국인의 삶을 담을 수 있는 지명으로의 전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