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17~18세기 백자원호(白磁圓壺)의 조형과 성격

김규림
{"title":"조선 17~18세기 백자원호(白磁圓壺)의 조형과 성격","authors":"김규림","doi":"10.17792/KCS.2019.36..153","DOIUrl":null,"url":null,"abstract":"17세기 이후 상부와 하부를 접합해 제작한 백자원호는 동체의 단면이 옆으로 벌어진 주판알 형태부터 장원형까지 다양하다. 이 항아리들은 모두 백자 달항아리라고 불리는 달과 같은 원형 항아리와 동일한 제작방법을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유사한 조형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근대기 이후 백자 달항아리로 지칭되는 백자원호는 주로 심미적 측면에 대한 논의만이 이루어졌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백자원호의 조형 특징과 제작 당시의 성격을 살펴 기존에 확립된 범위를 확장하고, 제작 당시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했다.\n17세기 이후 제작된 백자원호는 동일한 크기의 발 두 개를 위·아래로 이어 붙여 제작하였다. 이 기술은 이미 15~16세기부터 조선에서 항아리를 제작할때 활용하였는데, 반드시 대형 기물을 만들 때만 사용하지는 않았다. 백자원호는 두 개의 발을 이어 붙인 뒤, 굽과 구연을 따로 깎아낸다. 그래서 구연의 내측선은 모두 사선으로 외반하며, 외측선은 각이 지거나 곧게 직립한다. 주로 각이 진 구연은 무문백자와 철화로 시문한 것이 함께 나타나는데 이는 17세기 전반부터 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직립한 구연은 모두 무문백자로 이루어졌으며, 대체로 18세기 전반기 이후에 나타나는 조형 특징을 보인다.\n한편 현재 전해지는 백자원호 중에는 「웃밧쇼」, 「연령군 겻쥬방」과 같이 왕실 주방을 의미하는 한글 명문이 바닥면에 새겨진 것도 있다. 이를 통해 추정만 이루어지던 백자원호의 용도와 성격을 좀 더 명확히 규명하였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792/KCS.2019.36..1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17세기 이후 상부와 하부를 접합해 제작한 백자원호는 동체의 단면이 옆으로 벌어진 주판알 형태부터 장원형까지 다양하다. 이 항아리들은 모두 백자 달항아리라고 불리는 달과 같은 원형 항아리와 동일한 제작방법을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유사한 조형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근대기 이후 백자 달항아리로 지칭되는 백자원호는 주로 심미적 측면에 대한 논의만이 이루어졌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백자원호의 조형 특징과 제작 당시의 성격을 살펴 기존에 확립된 범위를 확장하고, 제작 당시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했다. 17세기 이후 제작된 백자원호는 동일한 크기의 발 두 개를 위·아래로 이어 붙여 제작하였다. 이 기술은 이미 15~16세기부터 조선에서 항아리를 제작할때 활용하였는데, 반드시 대형 기물을 만들 때만 사용하지는 않았다. 백자원호는 두 개의 발을 이어 붙인 뒤, 굽과 구연을 따로 깎아낸다. 그래서 구연의 내측선은 모두 사선으로 외반하며, 외측선은 각이 지거나 곧게 직립한다. 주로 각이 진 구연은 무문백자와 철화로 시문한 것이 함께 나타나는데 이는 17세기 전반부터 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직립한 구연은 모두 무문백자로 이루어졌으며, 대체로 18세기 전반기 이후에 나타나는 조형 특징을 보인다. 한편 현재 전해지는 백자원호 중에는 「웃밧쇼」, 「연령군 겻쥬방」과 같이 왕실 주방을 의미하는 한글 명문이 바닥면에 새겨진 것도 있다. 이를 통해 추정만 이루어지던 백자원호의 용도와 성격을 좀 더 명확히 규명하였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朝鲜17~18世纪白瓷圆形壶的造型与性质
17世纪以后,将上部和下部连接在一起制作的白瓷圆弧从机身的断面向旁边延伸的算盘粒形态到长圆形,多种多样。这些坛子都使用了与被称为“白瓷月缸”的月亮一样的圆形坛子相同的制作方法,并具有相似的造型特征。但是近代以后,被称为“白瓷达缸”的白瓷圆号主要只是对审美方面进行了讨论。因此,这篇文章分析了白瓷圆弧的造型特征和制作当时的性质,扩大了之前确立的范围,试图接近制作当时的实体。17世纪以后制作的白瓷圆弧由两个相同大小的脚上下连接而成。该技术早在15~16世纪朝鲜就开始在制作坛子时使用,但并不一定只在制作大型器物时使用。白瓷圆弧是两只脚连在一起后,将鞋跟和球缘分开削去。因此球缘的内侧线都是斜线的外半线,外侧线是有角或直立的。主要有棱角的口缘是用无文白瓷和铁画诗文同时出现的,这可能是从17世纪上半叶开始制作的。直立的球缘全部由无文白瓷组成,大体表现为18世纪前半期以后出现的造型特征。另外,在现在流传下来的白瓷圆号中,地板上还刻着像《笑巴特show》、《年龄群小厨房》一样意味着王室厨房的韩文铭文。这进一步明确了白瓷圆弧的用途和性质。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조선 중기 『家禮』에 대한 고증과 보정―『家禮輯覽』을 중심으로― SNS에 나타난 은유 표현의 양상―SNS의 새로운 은유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학의 근대성 고찰 ‘한국문학사’의 인식과 서술 체계-『한국문학통사』의 갈래론을 중심으로- 한국의 복장(腹藏), 경전적 의미와 해석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