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y of Nursing Freshmen on College Life Adapt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Contact Frequency
{"title":"The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y of Nursing Freshmen on College Life Adapt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Contact Frequency","authors":"Kyung-Eun Lee","doi":"10.33097/jncta.2023.07.09.143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역량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관계망 접 촉빈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 2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141명 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15일부터 31일까지 수집한 데이터를 2차 자료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 역량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는 대인관계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긍정적 부분매개효과를 가졌다.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의 매개효과 설명력은 3.21%로 유의하게 나타났 다. 따라서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인관계역량과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 강화가 중 요하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신입생들이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 제공과 정 규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한 타 대학학과와의 연계협력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3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역량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관계망 접 촉빈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 2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141명 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15일부터 31일까지 수집한 데이터를 2차 자료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 역량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는 대인관계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긍정적 부분매개효과를 가졌다.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의 매개효과 설명력은 3.21%로 유의하게 나타났 다. 따라서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인관계역량과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 강화가 중 요하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신입생들이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 제공과 정 규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한 타 대학학과와의 연계협력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