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Searching for the Direction of Fragrance that Matches Personal Color","authors":"Yoon-Yeong Park, Yeon-Ja Jung","doi":"10.33097/jncta.2023.07.10.176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18가지 향 계열의 후각 감성을 통하여 따뜻한 이미지의 향과 차가운 이미지의 향을 분석 하고, 퍼스널컬러 따뜻한 유형과 차가운 유형에 따른 향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20대 이상 성인 중 향에 대한 전 문적 특성을 가진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V.28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 하였다. 연구 결과 퍼스널컬러에 따른 향 선호도는 개인적인 요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향에 대한 형용사와 색채에 대한 형용사의 분포 영역이 중첩되어 후각과 색채 사이의 연상 작용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각자의 개성 을 중요시하는 이 시대에 퍼스널컬러에 어울리는 향 이미지를 체계화시키며, 향 선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 에 의의를 지닌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1 10","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10.176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8가지 향 계열의 후각 감성을 통하여 따뜻한 이미지의 향과 차가운 이미지의 향을 분석 하고, 퍼스널컬러 따뜻한 유형과 차가운 유형에 따른 향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20대 이상 성인 중 향에 대한 전 문적 특성을 가진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V.28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 하였다. 연구 결과 퍼스널컬러에 따른 향 선호도는 개인적인 요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향에 대한 형용사와 색채에 대한 형용사의 분포 영역이 중첩되어 후각과 색채 사이의 연상 작용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각자의 개성 을 중요시하는 이 시대에 퍼스널컬러에 어울리는 향 이미지를 체계화시키며, 향 선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 에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