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mplementation of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Utilizing Fingernail Feature Points","authors":"Da Geom Hong, Jung Kyu Park","doi":"10.33097/jncta.2023.07.10.1570","DOIUrl":null,"url":null,"abstract":"생체 인식 시스템에서 개인 별 생체 정보 정확히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손톱 정보를 기 반으로 한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사람의 손톱의 구조 를 분석했다. 취합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손톱마다 손톱의 길이와 너비, 반월이 사람별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연구에서는 오른쪽 다른 손가락에 비해서 엄지손가락의 손톱 크기가 크고 손톱의 정확성과 선명도가 뛰어나 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네일 베드 및 반월 상부의 지시점을 찾아 오각형 구조를 형성하고 관심영역으로 사용하였다. 시스템에서는 분석을 위해서 독립 성분 분석, 주성분 분석, haar 웨이블릿 및 SIFT 알고리즘을 활용 하였다. 서포트 벡터 머신과 Naive Bayes 기법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제 사람의 손톱 데 이터를 사용한 실험을 통해서 손톱 기반의 생체 인식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27 3","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10.157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생체 인식 시스템에서 개인 별 생체 정보 정확히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손톱 정보를 기 반으로 한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사람의 손톱의 구조 를 분석했다. 취합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손톱마다 손톱의 길이와 너비, 반월이 사람별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연구에서는 오른쪽 다른 손가락에 비해서 엄지손가락의 손톱 크기가 크고 손톱의 정확성과 선명도가 뛰어나 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네일 베드 및 반월 상부의 지시점을 찾아 오각형 구조를 형성하고 관심영역으로 사용하였다. 시스템에서는 분석을 위해서 독립 성분 분석, 주성분 분석, haar 웨이블릿 및 SIFT 알고리즘을 활용 하였다. 서포트 벡터 머신과 Naive Bayes 기법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제 사람의 손톱 데 이터를 사용한 실험을 통해서 손톱 기반의 생체 인식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