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hooting Time of Elite Archers and Athletic Performance : Case Study of the Korean National Team in Women’s Archery at the 2020 Tokyo Olympics
{"title":"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hooting Time of Elite Archers and Athletic Performance : Case Study of the Korean National Team in Women’s Archery at the 2020 Tokyo Olympics","authors":"Ji-Yeon Moon, Eui Chul Lee","doi":"10.33097/jncta.2023.07.09.139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2020 도쿄올림픽에서 9연패를 이뤄낸 한국 여자 양궁 대표 선수들의 올림픽 라운드 개 인전 64강부터 결승전까지, 단체전 8강부터 결승전까지 경기의 슈팅타임을 측정하고, 이를 화살 발사 순서, 선수 개인별, 경기 분류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여 경기 요인으로서의 점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개인전 및 단체전 중계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슈팅 타임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살 발사 순서에 따른 슈팅타임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점수와 표적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선수 개인별 슈팅타임은 통계적 신뢰수준 99%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점수는 95%, 표적점수는 90%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슈팅타임의 표준편차가 가장 적게 나타난 선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셋째, 경기 분류에 따라 슈팅타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점수와 표적 점수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단체전 경기보다 개인전 경기에서 슈팅타임이 일관성 있 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여자 엘리트 양궁 선수들은 화살 발사 순서, 선수 개인별, 경기 분류에 따라 슈팅타임에 영향이 있었으나, 선수 개인별 슈팅타임의 일관성 이외에는 경기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3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20 도쿄올림픽에서 9연패를 이뤄낸 한국 여자 양궁 대표 선수들의 올림픽 라운드 개 인전 64강부터 결승전까지, 단체전 8강부터 결승전까지 경기의 슈팅타임을 측정하고, 이를 화살 발사 순서, 선수 개인별, 경기 분류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여 경기 요인으로서의 점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개인전 및 단체전 중계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슈팅 타임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살 발사 순서에 따른 슈팅타임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점수와 표적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선수 개인별 슈팅타임은 통계적 신뢰수준 99%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점수는 95%, 표적점수는 90%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슈팅타임의 표준편차가 가장 적게 나타난 선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셋째, 경기 분류에 따라 슈팅타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점수와 표적 점수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단체전 경기보다 개인전 경기에서 슈팅타임이 일관성 있 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여자 엘리트 양궁 선수들은 화살 발사 순서, 선수 개인별, 경기 분류에 따라 슈팅타임에 영향이 있었으나, 선수 개인별 슈팅타임의 일관성 이외에는 경기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