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mpression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regarding the Japanese concept of \"sasshi(察し)\": Focusing on refusal situations","authors":"Ryoko Matsuki, Masae Shibuya","doi":"10.14817/jlak.2023.77.29","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거절 장면에서 이루어지는 일본어의 “삿시(察し)”에 대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이하, “학습자”)가 가지는 인상에 대해서 학습자가 일본어로 작성한 작문자료를 분석하여 그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는 청자 입장에서 “삿시(察し)”를 생각하며 부정적인 인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낸 학습자는 “거절할 이유를 말하지 않는 것”과 “명확하게 말하지 않는 것”을 이유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자신의 모어인 한국어와 한국문화적 관습을 근거로 일본어의 “삿시(察し)”를 판단하고 부정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거절 등 한일의 언어행동 및 언어표현에 차이가 있는 장면에서는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교재 검토와 충분한 사전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정적인 인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교사가 이러한 주제로 작문 활동을 실시하는 경우, 교사는 수업 중에 사용하는 언어 선택을 포함하여 목적에 부합한 지도 방법을 선택 등 충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더불어 학습자는 모어인 한국어가 아닌 목표언어(일본어)로 자신의 의견을 작문하였기 때문에 주제에 대한 깊은 성찰이 있다 한들 일본어 능력 부족 및 글자 제한 등으로 기술을 회피한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가지는 일본어의 “삿시(察し)”에 대한 인상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모어인 한국어로 인터뷰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PeriodicalId":499542,"journ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volume":"6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17/jlak.2023.77.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고는 거절 장면에서 이루어지는 일본어의 “삿시(察し)”에 대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이하, “학습자”)가 가지는 인상에 대해서 학습자가 일본어로 작성한 작문자료를 분석하여 그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는 청자 입장에서 “삿시(察し)”를 생각하며 부정적인 인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낸 학습자는 “거절할 이유를 말하지 않는 것”과 “명확하게 말하지 않는 것”을 이유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자신의 모어인 한국어와 한국문화적 관습을 근거로 일본어의 “삿시(察し)”를 판단하고 부정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거절 등 한일의 언어행동 및 언어표현에 차이가 있는 장면에서는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교재 검토와 충분한 사전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정적인 인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교사가 이러한 주제로 작문 활동을 실시하는 경우, 교사는 수업 중에 사용하는 언어 선택을 포함하여 목적에 부합한 지도 방법을 선택 등 충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더불어 학습자는 모어인 한국어가 아닌 목표언어(일본어)로 자신의 의견을 작문하였기 때문에 주제에 대한 깊은 성찰이 있다 한들 일본어 능력 부족 및 글자 제한 등으로 기술을 회피한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가지는 일본어의 “삿시(察し)”에 대한 인상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모어인 한국어로 인터뷰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