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urrent trends and prospects of studies on the history of Japanese language","authors":"Seon-Ok Park","doi":"10.14817/jlak.2023.76.7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일본어사 논문 97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과 전망을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2021~2022년 사이에 발표된 일본어 관련 논문은 1,906편이었는데, 그중 일본어사 논문은 97편(5.1%)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 조사(2019~2020년)와 비교하면 6편이나 증가했다.BR 둘째, 연구 분야는 문법(25편)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음운(23편), 어휘(19편), 문자·표기(18편), 기타(12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조사에 비교하여 「문자·표기, 어휘, 문법」 연구는 증가했지만, 「음운, 기타」 연구는 감소했다.BR 셋째, 연구의 관점에서는 통시적 관점에 근거한 연구(12.4%)보다는 공시적 관점에 근거한 연구(87.6%)가 압도적으로 많았다.BR 넷째, 연구성과의 시대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근대 일본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특히 당시 어휘의 양상을 실증적・이론적으로 해명하는 연구가 현저하게 많았다.BR 다섯째, 논문 작성 언어는 한국어, 일본어, 영어의 3개 언어로 작성되었지만, 한국어가 72.2%로 압도적으로 많았다.BR 여섯째, 일본의 국립국어연구소는 「일본어 역사 코퍼스(CHJ)」에 매년 자료를 추가해 갱신하고 있다. 이러한 코퍼스 자료의 확대는 향후 한국에서의 일본어사 연구에도 영향을 미쳐, 더욱 다양한 연구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9542,"journ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17/jlak.2023.76.7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일본어사 논문 97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과 전망을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2021~2022년 사이에 발표된 일본어 관련 논문은 1,906편이었는데, 그중 일본어사 논문은 97편(5.1%)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 조사(2019~2020년)와 비교하면 6편이나 증가했다.BR 둘째, 연구 분야는 문법(25편)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음운(23편), 어휘(19편), 문자·표기(18편), 기타(12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조사에 비교하여 「문자·표기, 어휘, 문법」 연구는 증가했지만, 「음운, 기타」 연구는 감소했다.BR 셋째, 연구의 관점에서는 통시적 관점에 근거한 연구(12.4%)보다는 공시적 관점에 근거한 연구(87.6%)가 압도적으로 많았다.BR 넷째, 연구성과의 시대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근대 일본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특히 당시 어휘의 양상을 실증적・이론적으로 해명하는 연구가 현저하게 많았다.BR 다섯째, 논문 작성 언어는 한국어, 일본어, 영어의 3개 언어로 작성되었지만, 한국어가 72.2%로 압도적으로 많았다.BR 여섯째, 일본의 국립국어연구소는 「일본어 역사 코퍼스(CHJ)」에 매년 자료를 추가해 갱신하고 있다. 이러한 코퍼스 자료의 확대는 향후 한국에서의 일본어사 연구에도 영향을 미쳐, 더욱 다양한 연구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