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构成21世纪韩国社会第三代在日朝鲜人的讨论-以足球选手郑大世为中心","authors":"조영한","doi":"10.17792/KCS.2017.33..2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 월드컵 대회에 북한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스타가 된 정대세 선수에 대한 언론 보도를 분석한다. 정대세는 일본 나고야에서 출생한 제3세대 재일조선인으로서 아버지로부터 한국 국적을 물려받았지만, 월드컵 출전을 위하여 북한 여권을 발급받았다. 2010년 월드컵의 활약으로 정대세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월드컵 이후에는 독일, 한국 그리고 일본에서 프로축구 선수로 뛰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 및 생각을 뚜렷하게 표현하는 정대세는 한국 언론을 통하여 많이 소개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정대세에 대한 한국 언론을 분석하여 주요 담론의 특성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정대세 담론은 유연한 시민권자로서, 살아있는 역사로서, 그리고 이데올로기 분쟁의 장으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을 상징적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정대세에 대한 한국 미디어의 담론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식민과 냉전의 기억, 상처 그리고 구조적인 잔재가 남아있음을 시사해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대표적 개인으로 정대세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을 분석함으로서 한국 사회의 탈식민 및 탈냉전의 가능성을 재고해보고자 하였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1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구성 -축구 선수 정대세를 중심으로-\",\"authors\":\"조영한\",\"doi\":\"10.17792/KCS.2017.33..2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 월드컵 대회에 북한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스타가 된 정대세 선수에 대한 언론 보도를 분석한다. 정대세는 일본 나고야에서 출생한 제3세대 재일조선인으로서 아버지로부터 한국 국적을 물려받았지만, 월드컵 출전을 위하여 북한 여권을 발급받았다. 2010년 월드컵의 활약으로 정대세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월드컵 이후에는 독일, 한국 그리고 일본에서 프로축구 선수로 뛰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 및 생각을 뚜렷하게 표현하는 정대세는 한국 언론을 통하여 많이 소개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정대세에 대한 한국 언론을 분석하여 주요 담론의 특성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정대세 담론은 유연한 시민권자로서, 살아있는 역사로서, 그리고 이데올로기 분쟁의 장으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을 상징적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정대세에 대한 한국 미디어의 담론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식민과 냉전의 기억, 상처 그리고 구조적인 잔재가 남아있음을 시사해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대표적 개인으로 정대세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을 분석함으로서 한국 사회의 탈식민 및 탈냉전의 가능성을 재고해보고자 하였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1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792/KCS.2017.33..2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792/KCS.2017.33..2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 월드컵 대회에 북한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스타가 된 정대세 선수에 대한 언론 보도를 분석한다. 정대세는 일본 나고야에서 출생한 제3세대 재일조선인으로서 아버지로부터 한국 국적을 물려받았지만, 월드컵 출전을 위하여 북한 여권을 발급받았다. 2010년 월드컵의 활약으로 정대세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월드컵 이후에는 독일, 한국 그리고 일본에서 프로축구 선수로 뛰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 및 생각을 뚜렷하게 표현하는 정대세는 한국 언론을 통하여 많이 소개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정대세에 대한 한국 언론을 분석하여 주요 담론의 특성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정대세 담론은 유연한 시민권자로서, 살아있는 역사로서, 그리고 이데올로기 분쟁의 장으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을 상징적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정대세에 대한 한국 미디어의 담론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식민과 냉전의 기억, 상처 그리고 구조적인 잔재가 남아있음을 시사해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대표적 개인으로 정대세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을 분석함으로서 한국 사회의 탈식민 및 탈냉전의 가능성을 재고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