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口腔卫生(专业)预科毕业生和牙科保健师对医疗个性化的认识","authors":"Young-Nam Park","doi":"10.33097/jncta.2023.07.09.1430","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와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예비 졸업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 사의 의료인화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의료인이 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를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인 화 추진에 대한 인식은 치과위생사(69.7%)가 예비졸업생(59.6%) 보다 높았으며 의료인화시 긍정적인 효과로는 치 과위생사는 비용-효용성으로 인한 구강진료비 감소가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취약계층 구강의료 서비스 확대가 가장 높았다. 의료인화를 위한 사회적 선행과제에 대해 치과위생사는 유관 단체 간의 업무적 협력 관계 형성이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치과위생사 간의 공감대 형성이 가장 높았다. 직업적 선행과제에서는 치과위생사는 직업적 윤리의식 이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전문적인 직업 능력에서 가장 높았다. 제도적 선행과제에서는 치과위생사는 치위생학제의 4년제 일원화가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치위생 교육의 질관리 및 표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를 통해 대한치과위생사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인화와 의료기사법의 개정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wareness of Dental Hygiene (Major) Pre-graduates and Dental Hygienists on Medical Personalization\",\"authors\":\"Young-Nam Park\",\"doi\":\"10.33097/jncta.2023.07.09.1430\",\"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와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예비 졸업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 사의 의료인화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의료인이 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를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인 화 추진에 대한 인식은 치과위생사(69.7%)가 예비졸업생(59.6%) 보다 높았으며 의료인화시 긍정적인 효과로는 치 과위생사는 비용-효용성으로 인한 구강진료비 감소가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취약계층 구강의료 서비스 확대가 가장 높았다. 의료인화를 위한 사회적 선행과제에 대해 치과위생사는 유관 단체 간의 업무적 협력 관계 형성이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치과위생사 간의 공감대 형성이 가장 높았다. 직업적 선행과제에서는 치과위생사는 직업적 윤리의식 이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전문적인 직업 능력에서 가장 높았다. 제도적 선행과제에서는 치과위생사는 치위생학제의 4년제 일원화가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치위생 교육의 질관리 및 표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를 통해 대한치과위생사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인화와 의료기사법의 개정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3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3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wareness of Dental Hygiene (Major) Pre-graduates and Dental Hygienists on Medical Personalization
본 연구는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와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예비 졸업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 사의 의료인화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의료인이 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를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인 화 추진에 대한 인식은 치과위생사(69.7%)가 예비졸업생(59.6%) 보다 높았으며 의료인화시 긍정적인 효과로는 치 과위생사는 비용-효용성으로 인한 구강진료비 감소가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취약계층 구강의료 서비스 확대가 가장 높았다. 의료인화를 위한 사회적 선행과제에 대해 치과위생사는 유관 단체 간의 업무적 협력 관계 형성이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치과위생사 간의 공감대 형성이 가장 높았다. 직업적 선행과제에서는 치과위생사는 직업적 윤리의식 이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전문적인 직업 능력에서 가장 높았다. 제도적 선행과제에서는 치과위생사는 치위생학제의 4년제 일원화가 높았고 예비졸업생은 치위생 교육의 질관리 및 표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를 통해 대한치과위생사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인화와 의료기사법의 개정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