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韩国军事战略传播研究趋势分析与建议:以2008 - 2023年研究成果为重点","authors":"JeongHoon Lee","doi":"10.33097/jncta.2023.07.09.1541","DOIUrl":null,"url":null,"abstract":"2001년 9.11 테러사태이후 미군은 자신들의 선한 의도와 활동이 세계인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 다는 문제의식에서 전략커뮤니케이션(Strategic Communiction:SC)이라는 개념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우리 한국군 에게는 2008년에 도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최초 도입된지 16년이 지난 지금 우리 한국군의 SC는 제대로 자 리잡고 있는지 변화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 나아갈 방향 제시를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전략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산물을 중심으로 RISS, 스콜라 등 총 5개의 학술정보 DB를 활용하여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방법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SC관련 논문의 부족한 현실을 체감할 수 있었고 개념이 도입되어 연구가 활발하던 초기에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 또한 개념설명과 국방부 수준의 SC에 한정되어 있어 변화하는 SC 환경에 대한 고려와 정부차원의 SC로 통합시의 효과성과 파급력을 고려할 때 국가수준의 SC에 대한 연구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방법면에서는 문헌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전문가 인터뷰, 설문, 빅데이터등을 활용한 양적연구 등의 필요성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정책적 제언이 SC의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길 바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6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alysis and Suggestion of ROK Military Strategic Communication Research Trends : Focused on Research Products from 2008 to 2023\",\"authors\":\"JeongHoon Lee\",\"doi\":\"10.33097/jncta.2023.07.09.1541\",\"DOIUrl\":null,\"url\":null,\"abstract\":\"2001년 9.11 테러사태이후 미군은 자신들의 선한 의도와 활동이 세계인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 다는 문제의식에서 전략커뮤니케이션(Strategic Communiction:SC)이라는 개념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우리 한국군 에게는 2008년에 도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최초 도입된지 16년이 지난 지금 우리 한국군의 SC는 제대로 자 리잡고 있는지 변화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 나아갈 방향 제시를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전략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산물을 중심으로 RISS, 스콜라 등 총 5개의 학술정보 DB를 활용하여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방법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SC관련 논문의 부족한 현실을 체감할 수 있었고 개념이 도입되어 연구가 활발하던 초기에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 또한 개념설명과 국방부 수준의 SC에 한정되어 있어 변화하는 SC 환경에 대한 고려와 정부차원의 SC로 통합시의 효과성과 파급력을 고려할 때 국가수준의 SC에 대한 연구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방법면에서는 문헌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전문가 인터뷰, 설문, 빅데이터등을 활용한 양적연구 등의 필요성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정책적 제언이 SC의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길 바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6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5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5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alysis and Suggestion of ROK Military Strategic Communication Research Trends : Focused on Research Products from 2008 to 2023
2001년 9.11 테러사태이후 미군은 자신들의 선한 의도와 활동이 세계인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 다는 문제의식에서 전략커뮤니케이션(Strategic Communiction:SC)이라는 개념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우리 한국군 에게는 2008년에 도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최초 도입된지 16년이 지난 지금 우리 한국군의 SC는 제대로 자 리잡고 있는지 변화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 나아갈 방향 제시를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전략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산물을 중심으로 RISS, 스콜라 등 총 5개의 학술정보 DB를 활용하여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방법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SC관련 논문의 부족한 현실을 체감할 수 있었고 개념이 도입되어 연구가 활발하던 초기에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 또한 개념설명과 국방부 수준의 SC에 한정되어 있어 변화하는 SC 환경에 대한 고려와 정부차원의 SC로 통합시의 효과성과 파급력을 고려할 때 국가수준의 SC에 대한 연구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방법면에서는 문헌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전문가 인터뷰, 설문, 빅데이터등을 활용한 양적연구 등의 필요성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정책적 제언이 SC의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