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讨论学习在日韩翻译中的效果分析:通过小组讨论的共识建立过程","authors":"Eun-Sim Kwak","doi":"10.14817/jlak.2023.77.1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에서는 일한번역과정의 그룹디스커션에 나타나는 합의형성 프로세스를 분석함으로써 번역교육과 토론학습의 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합의형성 프로세스가 짧은 경우에는 차례차례로 ‘제안/주장’이 나타나며, 각자의 의견을 겹쳐 쌓는 방식으로 합의형성에 이르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합의형성 프로세스가 긴 경우에는 발화 카테고리의 연쇄가 많이 보이고 토론이 깊어질수록 연쇄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BR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번역교육에 있어서 토론학습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다.BR 1) 토론학습은 합의형성까지의 프로세스가 긴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며 토론을 함으로써 학생간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발생한다.BR 2) 각자의 기존지식과 경험을 토론함으로써 ‘언어적으로 삽입된 의미’뿐만 아니라 ‘언어외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메타인지능력’ 및 ‘메타언어능력’을 기를 수 있다.BR 3) 토론 학습에 있어서 교사는 합의형성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어드바이저, 중재자, 서포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배움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PeriodicalId":499542,"journ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alysis on the effects of learning through discussion in Japanese-Korean translation: Through the consensus building process of group discussion\",\"authors\":\"Eun-Sim Kwak\",\"doi\":\"10.14817/jlak.2023.77.1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에서는 일한번역과정의 그룹디스커션에 나타나는 합의형성 프로세스를 분석함으로써 번역교육과 토론학습의 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합의형성 프로세스가 짧은 경우에는 차례차례로 ‘제안/주장’이 나타나며, 각자의 의견을 겹쳐 쌓는 방식으로 합의형성에 이르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합의형성 프로세스가 긴 경우에는 발화 카테고리의 연쇄가 많이 보이고 토론이 깊어질수록 연쇄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BR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번역교육에 있어서 토론학습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다.BR 1) 토론학습은 합의형성까지의 프로세스가 긴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며 토론을 함으로써 학생간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발생한다.BR 2) 각자의 기존지식과 경험을 토론함으로써 ‘언어적으로 삽입된 의미’뿐만 아니라 ‘언어외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메타인지능력’ 및 ‘메타언어능력’을 기를 수 있다.BR 3) 토론 학습에 있어서 교사는 합의형성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어드바이저, 중재자, 서포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배움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PeriodicalId\":499542,\"journ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17/jlak.2023.77.1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17/jlak.2023.77.1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alysis on the effects of learning through discussion in Japanese-Korean translation: Through the consensus building process of group discussion
본고에서는 일한번역과정의 그룹디스커션에 나타나는 합의형성 프로세스를 분석함으로써 번역교육과 토론학습의 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합의형성 프로세스가 짧은 경우에는 차례차례로 ‘제안/주장’이 나타나며, 각자의 의견을 겹쳐 쌓는 방식으로 합의형성에 이르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합의형성 프로세스가 긴 경우에는 발화 카테고리의 연쇄가 많이 보이고 토론이 깊어질수록 연쇄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BR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번역교육에 있어서 토론학습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다.BR 1) 토론학습은 합의형성까지의 프로세스가 긴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며 토론을 함으로써 학생간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발생한다.BR 2) 각자의 기존지식과 경험을 토론함으로써 ‘언어적으로 삽입된 의미’뿐만 아니라 ‘언어외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메타인지능력’ 및 ‘메타언어능력’을 기를 수 있다.BR 3) 토론 학습에 있어서 교사는 합의형성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어드바이저, 중재자, 서포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배움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