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和日本政治传播话语建构比较研究——以政治选举中的话语结构和主题推进为中心

Ah-Reum Han
{"title":"韩国和日本政治传播话语建构比较研究——以政治选举中的话语结构和主题推进为中心","authors":"Ah-Reum Han","doi":"10.14817/jlak.2023.77.10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선거 연설에 나타난 담화 구조와 전개 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후 양국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담화 구축 태도를 대조 고찰하였다. 선거 연설 장면에서 한일 양국의 정치인들은 다수의 유권자를 청자로 설정하여 지지를 호소하거나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선전 활동을 한다. 이렇듯 청중을 설득한다는 공통된 목적을 가진 한국과 일본의 정치인들이 각각 어떤 방식으로 담화를 구축하고 이야기를 전개하는지에 주목하여 「정치 언어」라는 장르에서의 한일 양 언어의 담화 구축 태도에 대해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BR 분석을 위해 한국과 일본 각 15편씩 총 30편의 연설을 수록 후 문자화하여 담화 분석을 통해 전체 구조를 파악하였다. 각 연설을 도입부, 주요부, 종료부의 세 가지 구조로 나눠 그 안에서 어떤 주제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동기, 배경의 제시》, 《문제 제기》,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 《구체적 해결 방법의 제시》,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의 다섯 가지 전개 구조가 어떤 패턴으로 나타나는지를 도표화하였다.BR 연구의 결과, 도입부에서 청중을 부르거나 인사를 하는 행동은 한일 모두 눈에 띄었으나 연설자의 자기소개 유무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일본의 정치인들은 대부분이 인사와 함께 자기소개로 연설을 시작하는 데 비해 한국의 정치인들은 자기소개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대신 도입부부터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이나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 등의 담화 전개가 나타나는 점이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었다. 주요부의 구성에서도 한일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본은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이 주요 구성요소였으며 《문제 제기》+《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표명》의 패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 한국에서는 구체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의 제시보다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를 통해 감정에 호소하는 담화 전개가 일반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문제제기》의 담화 전개에 나타난 세부 전략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일본은 경제나 생활 전반에 관한 문제를 언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대립하는 인물이나 단체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이나 공격은 한 명의 연설자를 제외하고 찾아볼 수 없었던 것에 비해 한국의 정치 연설에서는 정치인들 대부분이 정책에 대한 언급이나 문제제기보다 특정 인물이나 정당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 및 공격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거 연설이라는 장면에서 일본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정보 전달을 중심으로 한 담화 구축이 이루어지지만 한국의 정치인들은 정책에 대한 안내나 선전보다도 대립 후보에 대한 비판 및 공격으로 유권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감정 공유 중시형의 담화 구축 태도가 우선시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사회, 문화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양국의 정치인들이 가지고 있는 유권자에 대한 태도나 관계 설정, 사회 및 정치적 배경에 의해 공유되는 이데올로기라는 거시적 개념이 각각의 담화 구성 및 특정 언어 행동의 선택이라는 미시적 레벨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사회의 이데올로기 대립이 일본에 비해 확연하다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국의 정치인들이 가지고 있는 담화 구축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한일 이문화간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PeriodicalId":499542,"journ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iscourse in politic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 on discourse structure and thematic progression in political elections\",\"authors\":\"Ah-Reum Han\",\"doi\":\"10.14817/jlak.2023.77.10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선거 연설에 나타난 담화 구조와 전개 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후 양국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담화 구축 태도를 대조 고찰하였다. 선거 연설 장면에서 한일 양국의 정치인들은 다수의 유권자를 청자로 설정하여 지지를 호소하거나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선전 활동을 한다. 이렇듯 청중을 설득한다는 공통된 목적을 가진 한국과 일본의 정치인들이 각각 어떤 방식으로 담화를 구축하고 이야기를 전개하는지에 주목하여 「정치 언어」라는 장르에서의 한일 양 언어의 담화 구축 태도에 대해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BR 분석을 위해 한국과 일본 각 15편씩 총 30편의 연설을 수록 후 문자화하여 담화 분석을 통해 전체 구조를 파악하였다. 각 연설을 도입부, 주요부, 종료부의 세 가지 구조로 나눠 그 안에서 어떤 주제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동기, 배경의 제시》, 《문제 제기》,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 《구체적 해결 방법의 제시》,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의 다섯 가지 전개 구조가 어떤 패턴으로 나타나는지를 도표화하였다.BR 연구의 결과, 도입부에서 청중을 부르거나 인사를 하는 행동은 한일 모두 눈에 띄었으나 연설자의 자기소개 유무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일본의 정치인들은 대부분이 인사와 함께 자기소개로 연설을 시작하는 데 비해 한국의 정치인들은 자기소개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대신 도입부부터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이나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 등의 담화 전개가 나타나는 점이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었다. 주요부의 구성에서도 한일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본은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이 주요 구성요소였으며 《문제 제기》+《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표명》의 패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 한국에서는 구체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의 제시보다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를 통해 감정에 호소하는 담화 전개가 일반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문제제기》의 담화 전개에 나타난 세부 전략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일본은 경제나 생활 전반에 관한 문제를 언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대립하는 인물이나 단체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이나 공격은 한 명의 연설자를 제외하고 찾아볼 수 없었던 것에 비해 한국의 정치 연설에서는 정치인들 대부분이 정책에 대한 언급이나 문제제기보다 특정 인물이나 정당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 및 공격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거 연설이라는 장면에서 일본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정보 전달을 중심으로 한 담화 구축이 이루어지지만 한국의 정치인들은 정책에 대한 안내나 선전보다도 대립 후보에 대한 비판 및 공격으로 유권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감정 공유 중시형의 담화 구축 태도가 우선시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사회, 문화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양국의 정치인들이 가지고 있는 유권자에 대한 태도나 관계 설정, 사회 및 정치적 배경에 의해 공유되는 이데올로기라는 거시적 개념이 각각의 담화 구성 및 특정 언어 행동의 선택이라는 미시적 레벨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사회의 이데올로기 대립이 일본에 비해 확연하다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국의 정치인들이 가지고 있는 담화 구축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한일 이문화간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PeriodicalId\":499542,\"journ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17/jlak.2023.77.1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17/jlak.2023.77.1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分析了韩国和日本选举演讲中出现的谈话结构和展开方式的差异,对照考察了两国政治交流的谈话构建态度。在选举演说场面中,韩日两国的政治人士将多数选民设定为听众,呼吁支持或进行政策宣传及宣传活动。关注具有这样说服听众的共同目的的韩国和日本的政治家们分别以怎样的方式构筑谈话和展开故事,想要明确在“政治语言”这一体裁中韩日两种语言的谈话构筑态度。为进行BR分析,将韩国和日本各15篇,共30篇演说进行文字化,通过谈话分析掌握了整体结构。将各演讲分为开头部分、主要部分、结尾部分三种结构,分析其中的主题如何展开。具体表现了《动机、背景提示》、《提出问题》、《解决问题的意志、态度、立场表明》、《提出具体解决方法》、《呼吁信任和要求支持》五种展开结构的模式。BR研究的结果显示,韩日两国在开头部分邀请听众或打招呼的行为都非常明显,但在演讲者有无自我介绍方面出现了差异。日本的大部分政客都是通过打招呼和自我介绍开始演讲,但韩国的政客大都省略自我介绍。相反,从开头就出现了“为解决问题的意志、态度、立场表明”、“呼吁信任和要求支持”等谈话,这是在日本找不到的特征。在主要部门的构成上也出现了韩日政治交流的差异,日本的主要构成要素是“为解决问题的意志、态度、立场表明”,使用最多的是“提出问题”+“为解决问题的意志、态度、立场表明”的模式。相反,在韩国,比起提出解决具体问题的方法,通过“信任呼吁及支持要求”呼吁感情的谈话更普遍。特别是"提出"的谈话出现在开展战略细节也有差异,但日本经济生活我讲关于整个问题的情况最多,对立的人物或团体对直接的批评或攻击一名演讲者之外,找不到的相比,在韩国的政治演说,政客对大部分政策的发言或提出问题比直接对特定人物或政党通过批评和攻击展开故事情节。你们这种综合的分析结果来看,竞选演说的场景中称:“日本政治交流是实现信息传递为中心构建的谈话,但韩国政治家们对政策及宣传介绍比对立选民对候选人的批评和攻击,诉诸感情感情共享型的谈话态度建立优先重视这一点,才能知道了。这样的差异可以理解为是受到了韩国和日本两国的社会、文化因素的影响。两国的政治家们对选民的态度有关系,我被社会及政治背景共享的意识形态宏观概念分别组成的谈话及特定语言的选择这一微观级行动,影响,考虑到这一点,韩国社会的意识形态对立的日本相比,明显这一点可以类推。如上所述,本研究确认了韩日两国政治人士具有的谈话构筑态度的差异,并试图提高韩日文化间政治交流的理解。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iscourse in politic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 on discourse structure and thematic progression in political elections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선거 연설에 나타난 담화 구조와 전개 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후 양국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담화 구축 태도를 대조 고찰하였다. 선거 연설 장면에서 한일 양국의 정치인들은 다수의 유권자를 청자로 설정하여 지지를 호소하거나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선전 활동을 한다. 이렇듯 청중을 설득한다는 공통된 목적을 가진 한국과 일본의 정치인들이 각각 어떤 방식으로 담화를 구축하고 이야기를 전개하는지에 주목하여 「정치 언어」라는 장르에서의 한일 양 언어의 담화 구축 태도에 대해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BR 분석을 위해 한국과 일본 각 15편씩 총 30편의 연설을 수록 후 문자화하여 담화 분석을 통해 전체 구조를 파악하였다. 각 연설을 도입부, 주요부, 종료부의 세 가지 구조로 나눠 그 안에서 어떤 주제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동기, 배경의 제시》, 《문제 제기》,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 《구체적 해결 방법의 제시》,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의 다섯 가지 전개 구조가 어떤 패턴으로 나타나는지를 도표화하였다.BR 연구의 결과, 도입부에서 청중을 부르거나 인사를 하는 행동은 한일 모두 눈에 띄었으나 연설자의 자기소개 유무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일본의 정치인들은 대부분이 인사와 함께 자기소개로 연설을 시작하는 데 비해 한국의 정치인들은 자기소개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대신 도입부부터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이나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 등의 담화 전개가 나타나는 점이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었다. 주요부의 구성에서도 한일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본은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 표명》이 주요 구성요소였으며 《문제 제기》+《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 태도, 입장표명》의 패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 한국에서는 구체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의 제시보다 《신뢰 호소 및 지지 요구》를 통해 감정에 호소하는 담화 전개가 일반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문제제기》의 담화 전개에 나타난 세부 전략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일본은 경제나 생활 전반에 관한 문제를 언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대립하는 인물이나 단체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이나 공격은 한 명의 연설자를 제외하고 찾아볼 수 없었던 것에 비해 한국의 정치 연설에서는 정치인들 대부분이 정책에 대한 언급이나 문제제기보다 특정 인물이나 정당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 및 공격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거 연설이라는 장면에서 일본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정보 전달을 중심으로 한 담화 구축이 이루어지지만 한국의 정치인들은 정책에 대한 안내나 선전보다도 대립 후보에 대한 비판 및 공격으로 유권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감정 공유 중시형의 담화 구축 태도가 우선시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사회, 문화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양국의 정치인들이 가지고 있는 유권자에 대한 태도나 관계 설정, 사회 및 정치적 배경에 의해 공유되는 이데올로기라는 거시적 개념이 각각의 담화 구성 및 특정 언어 행동의 선택이라는 미시적 레벨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사회의 이데올로기 대립이 일본에 비해 확연하다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국의 정치인들이 가지고 있는 담화 구축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한일 이문화간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A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A study of "ねぎらい" behavior: Reconsideration including Japan-Korea comparison Impression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regarding the Japanese concept of "sasshi(察し)": Focusing on refusal situations Analysis on the effects of learning through discussion in Japanese-Korean translation: Through the consensus building process of group discussion Analysis of topic development in first-time free conversation: Focusing on document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living in Korea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