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水稻甲烷气体实时监测系统的设计","authors":"Min Soo Kim, Young-Woong Kim, Young Chang Cho","doi":"10.33097/jncta.2023.07.10.1600","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 사용된 MOS 타입의 가스센서는 저전력, 높은 감도특성과 응답속도 및 소자의 가격이 저렴 하고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벼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검출이 가능한 센서 어레이를 설계, 제작하여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가능한 장치를 제작하였다. 센서 어레이는 25개로 구성 되어있으며, 어레이 보드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는 Labview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모니터링 운영 가능한 GUI 시스템 이다. GUI 개발시스템은 8단계의 메탄가스 농도를 측정 가능하여 벼 모종의 성장환경의 개선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향후, 농업 분야에서 메탄 배출에 대한 규제와 배출 저감 대책연구에서 메탄 발생량의 정확한 평가과제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36 3","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Desig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Methane Gas Generated from Rice Plants\",\"authors\":\"Min Soo Kim, Young-Woong Kim, Young Chang Cho\",\"doi\":\"10.33097/jncta.2023.07.10.1600\",\"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 사용된 MOS 타입의 가스센서는 저전력, 높은 감도특성과 응답속도 및 소자의 가격이 저렴 하고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벼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검출이 가능한 센서 어레이를 설계, 제작하여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가능한 장치를 제작하였다. 센서 어레이는 25개로 구성 되어있으며, 어레이 보드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는 Labview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모니터링 운영 가능한 GUI 시스템 이다. GUI 개발시스템은 8단계의 메탄가스 농도를 측정 가능하여 벼 모종의 성장환경의 개선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향후, 농업 분야에서 메탄 배출에 대한 규제와 배출 저감 대책연구에서 메탄 발생량의 정확한 평가과제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36 3\",\"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10.160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10.160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Desig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Methane Gas Generated from Rice Plants
본 연구에서 사용된 MOS 타입의 가스센서는 저전력, 높은 감도특성과 응답속도 및 소자의 가격이 저렴 하고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벼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검출이 가능한 센서 어레이를 설계, 제작하여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가능한 장치를 제작하였다. 센서 어레이는 25개로 구성 되어있으며, 어레이 보드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는 Labview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모니터링 운영 가능한 GUI 시스템 이다. GUI 개발시스템은 8단계의 메탄가스 농도를 측정 가능하여 벼 모종의 성장환경의 개선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향후, 농업 분야에서 메탄 배출에 대한 규제와 배출 저감 대책연구에서 메탄 발생량의 정확한 평가과제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