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信息通信技术的独居老年人社会福利服务体验质性研究——以人工智能护理服务质量为中心","authors":"So-Yun Choi","doi":"10.33097/jncta.2023.07.10.171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AI돌봄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독거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긍정적 이용 경 험과 부정적 이용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반복적비교분석법을 통해 질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AI돌봄서비스의 긍정적 경험은 4개의 범주화(‘고마운 존재’, ‘의미있는 존재’, ‘유용한 정보제공자’, ‘무료함을 달래주는 재능꾼’)로, 부정적 경험은 5개의 범주화(‘원활한 상호작용의 한계’, ‘조작에 의존하는 불편함’, ‘상황판단력 부재’, ‘비용부담’, ‘익숙치 않은 업데이트’)로 도출되었다. 개선점은 3개의 범주화(‘이용자 중심의 용이성’, ‘상황에 맞는 반응’, ‘취약계 층 지원’)가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ICT기반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이해관계자의 협업, 평가시스템 개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제언하였으며, 인간관계로부터의 소외문제와 개인성 상실의 문제를 논의하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41 2","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ICT-Based Social Welfare Services : Focusing on the Quality of AI Care Services\",\"authors\":\"So-Yun Choi\",\"doi\":\"10.33097/jncta.2023.07.10.171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AI돌봄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독거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긍정적 이용 경 험과 부정적 이용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반복적비교분석법을 통해 질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AI돌봄서비스의 긍정적 경험은 4개의 범주화(‘고마운 존재’, ‘의미있는 존재’, ‘유용한 정보제공자’, ‘무료함을 달래주는 재능꾼’)로, 부정적 경험은 5개의 범주화(‘원활한 상호작용의 한계’, ‘조작에 의존하는 불편함’, ‘상황판단력 부재’, ‘비용부담’, ‘익숙치 않은 업데이트’)로 도출되었다. 개선점은 3개의 범주화(‘이용자 중심의 용이성’, ‘상황에 맞는 반응’, ‘취약계 층 지원’)가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ICT기반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이해관계자의 협업, 평가시스템 개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제언하였으며, 인간관계로부터의 소외문제와 개인성 상실의 문제를 논의하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41 2\",\"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10.17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10.17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ICT-Based Social Welfare Services : Focusing on the Quality of AI Care Services
본 연구는 AI돌봄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독거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긍정적 이용 경 험과 부정적 이용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반복적비교분석법을 통해 질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AI돌봄서비스의 긍정적 경험은 4개의 범주화(‘고마운 존재’, ‘의미있는 존재’, ‘유용한 정보제공자’, ‘무료함을 달래주는 재능꾼’)로, 부정적 경험은 5개의 범주화(‘원활한 상호작용의 한계’, ‘조작에 의존하는 불편함’, ‘상황판단력 부재’, ‘비용부담’, ‘익숙치 않은 업데이트’)로 도출되었다. 개선점은 3개의 범주화(‘이용자 중심의 용이성’, ‘상황에 맞는 반응’, ‘취약계 층 지원’)가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ICT기반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이해관계자의 협업, 평가시스템 개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제언하였으며, 인간관계로부터의 소외문제와 개인성 상실의 문제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