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between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and Depression in Late School-Aged Children

Su Won Song, Jeeyeon Hong, Ju Hee Park
{"title":"A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between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and Depression in Late School-Aged Children","authors":"Su Won Song, Jeeyeon Hong, Ju Hee Park","doi":"10.28972/kjec.2023.22.4.39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 간 장․단기적 상호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 중 초등학교 4학년(1차년도), 5학년(2차년도), 6학년(3차년도) 자 료를 활용하였으며, 4학년 기준 2,607명(남아 1,313명, 여아 1,294명)이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 아동의 성별과 초등학교 4학년 시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통제변인으로 분석에 포함시 켰다. 연구 결과는 첫째, 최종모형은 CFI=.974, TLI=.965, RMSEA=.042로 양호한 수준의 적합 도를 보였다. 둘째, 자기회귀효과와 관련하여 각 해당 시점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이 모두 1년 후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차지연효과와 관 련해서는 각 해당 시점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이 1년 후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해당 시점의 우울 수준이 1년 후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 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아동의 우울이 지속되거나 악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담임교사가 학급에서 학생과의 안정적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였다.","PeriodicalId":500895,"journal":{"name":"Cho'deung sangdam yeon'gu","volume":"32 4","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ho'deung sangda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8972/kjec.2023.22.4.3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 간 장․단기적 상호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 중 초등학교 4학년(1차년도), 5학년(2차년도), 6학년(3차년도) 자 료를 활용하였으며, 4학년 기준 2,607명(남아 1,313명, 여아 1,294명)이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 아동의 성별과 초등학교 4학년 시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통제변인으로 분석에 포함시 켰다. 연구 결과는 첫째, 최종모형은 CFI=.974, TLI=.965, RMSEA=.042로 양호한 수준의 적합 도를 보였다. 둘째, 자기회귀효과와 관련하여 각 해당 시점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이 모두 1년 후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차지연효과와 관 련해서는 각 해당 시점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이 1년 후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해당 시점의 우울 수준이 1년 후의 아동-교사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 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아동의 우울이 지속되거나 악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담임교사가 학급에서 학생과의 안정적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晚龄儿童依恋稳定性与抑郁的自回归交叉滞后模型验证
本研究采用自回归交叉延迟模型,验证了小学4、5、6年级儿童-教师依恋稳定性和抑郁间的长、短期相互影响。为此,在韩国青少年政策研究院2018年韩国儿童青少年调查数据中,使用了小学4年级(第1年度)、5年级(第2年度)、6年级(第3年度)的资料,4年级基准2607名(男婴1313名、女婴1294名)包含在资料分析中。将儿童的性别和小学4年级时期父母的否定养育态度包括在了控制变异人的分析中。研究结果如下:第一,最终模型是CFI=。974, tli =。965, rmsea =。042,显示出良好水平的适合度。第二,关于自我回归的效果,各个时间段的儿童-教师依恋稳定性和抑郁都对一年后的儿童-教师依恋稳定性和抑郁产生了显著的影响。第三,关于交叉延迟效果,各个时间段的儿童-教师热爱稳定性对一年后的抑郁有静态影响。没有注意到当时的抑郁水平对一年后儿童-教师热爱稳定性产生的影响。为了不让儿童的抑郁持续或恶化,班主任在班级与学生形成稳定的关系是非常重要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Developing an Operating Model for the Mind Education Semester in Elementary Schools A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between Child-Teacher Attachment Stability and Depression in Late School-Aged Children A Case Study of Counseling to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Children at Risk of School Drop out : Encouragement counseling based on Adlerian theory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Non-Suicidal Self-Injury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