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timeline of the radio program “Samcheon-ri along the legend”

Eun-jin Jin
{"title":"Development and timeline of the radio program “Samcheon-ri along the legend”","authors":"Eun-jin Jin","doi":"10.20864/skl.2023.10.80.195","DOIUrl":null,"url":null,"abstract":"《전설따라 삼천리》는 1960~1980년대까지 방송되었던 MBC 간판 프로그램이다. 오랜 기간 대중적 인기를 누리면서 다양한 매체 변환과 함께 문화사적으로도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설의 대중화, 현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그러나 이런 중요성에 비해 《전설따라 삼천리》의 실체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소략하고 남아 있는 자료들에 오류도 많아 《전설따라 삼천리》의 실제적 모습을 파악하기가 힘들어, 자연히 연구도 활기를 띠기 어려웠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흩어진 자료들을 모으고 오류를 바로잡아 《전설따라 삼천리》 라디오 프로그램의 편성 및 제작 등 대략적인 모습 밝혀 《전설따라 삼천리》 명성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송국 사사나 연표, 신문이나 잡지, 인터뷰나 회고 등 남아 있는 기록과 자료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 《전설따라 삼천리》는 크게 4기로 나눌 수 있었다. 1기에 해당하는 1966~1968년에는 《전설따라 삼천리》가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영화, 출판물 등으로 매체 변이를 일으키면서 대중적 인기를 끌었으나 2기에 해당하는 1969~1971년에는 인기가 주춤하면서 《풍류따라 삼천리》로 프로그램명을 바꾸게 된다. 이 기간은 《전설따라 삼천리》가 실질적으로 폐지되었던 기간이라고 할 수 있지만 《풍류따라 삼천리》가 시도한 새로운 포맷과 내용상의 변화는 이후 부활된 《전설따라 삼천리》와 이어지고 있어 연계성의 측면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72~1978년까지의 기간은 3기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고정적인 팬층을 확보한 《전설따라 삼천리》가 안정적 인기와 함께 전집 형태의 출판물도 지속적으로 간행했던 시기다. 제작진들은 지역을 직접 취재하면서 다양한 특집 방송을 마련하는 등 프로그램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시대적 변화에 더 이상 부응하지 못하고 종영을 맞이하게 된다. 4기에 해당하는 1982년에는 시청자들의 요구에 다시 방송을 재개하지만 결국 1983년 최종적인 종영으로 마무리를 한다. 《전설따라 삼천리》가 인기를 끌었던 196, 70년대는 방송사적으로나 대중문화사적으로, 정치․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시기였다. 그 중심에 《전설따라 삼천리》가 있었던 것이고, 구비문학적으로도 《전설따라 삼천리》는 귀중한 자료일 수밖에 없는데, 본 연구는 《전설따라 삼천리》의 구체적인 실상과 전개를 밝혀 이후 논의를 위한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8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1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전설따라 삼천리》는 1960~1980년대까지 방송되었던 MBC 간판 프로그램이다. 오랜 기간 대중적 인기를 누리면서 다양한 매체 변환과 함께 문화사적으로도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설의 대중화, 현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그러나 이런 중요성에 비해 《전설따라 삼천리》의 실체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소략하고 남아 있는 자료들에 오류도 많아 《전설따라 삼천리》의 실제적 모습을 파악하기가 힘들어, 자연히 연구도 활기를 띠기 어려웠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흩어진 자료들을 모으고 오류를 바로잡아 《전설따라 삼천리》 라디오 프로그램의 편성 및 제작 등 대략적인 모습 밝혀 《전설따라 삼천리》 명성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송국 사사나 연표, 신문이나 잡지, 인터뷰나 회고 등 남아 있는 기록과 자료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 《전설따라 삼천리》는 크게 4기로 나눌 수 있었다. 1기에 해당하는 1966~1968년에는 《전설따라 삼천리》가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영화, 출판물 등으로 매체 변이를 일으키면서 대중적 인기를 끌었으나 2기에 해당하는 1969~1971년에는 인기가 주춤하면서 《풍류따라 삼천리》로 프로그램명을 바꾸게 된다. 이 기간은 《전설따라 삼천리》가 실질적으로 폐지되었던 기간이라고 할 수 있지만 《풍류따라 삼천리》가 시도한 새로운 포맷과 내용상의 변화는 이후 부활된 《전설따라 삼천리》와 이어지고 있어 연계성의 측면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72~1978년까지의 기간은 3기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고정적인 팬층을 확보한 《전설따라 삼천리》가 안정적 인기와 함께 전집 형태의 출판물도 지속적으로 간행했던 시기다. 제작진들은 지역을 직접 취재하면서 다양한 특집 방송을 마련하는 등 프로그램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시대적 변화에 더 이상 부응하지 못하고 종영을 맞이하게 된다. 4기에 해당하는 1982년에는 시청자들의 요구에 다시 방송을 재개하지만 결국 1983년 최종적인 종영으로 마무리를 한다. 《전설따라 삼천리》가 인기를 끌었던 196, 70년대는 방송사적으로나 대중문화사적으로, 정치․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시기였다. 그 중심에 《전설따라 삼천리》가 있었던 것이고, 구비문학적으로도 《전설따라 삼천리》는 귀중한 자료일 수밖에 없는데, 본 연구는 《전설따라 삼천리》의 구체적인 실상과 전개를 밝혀 이후 논의를 위한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广播节目《沿着传说走的三天里》的发展和时间线
《跟着传说三千里》是20世纪60~ 80年代播出的MBC招牌节目。长期享有大众的人气,不仅有多样的媒体变换,在文化史上也有价值,而且是可以确认传说的大众化、现代化的重要资料。但是,与这种重要性相比,能够了解“传说三千里”实体的资料被省略,剩下的资料中也有很多错误,因此很难掌握“传说三千里”的实际面貌,自然研究也很难活跃起来。为此,该研究收集分散的资料,纠正错误,对《跟着传说三千里》广播节目的编制及制作等进行了大致的说明,以确认《跟着传说三千里》名声的真相。最大限度地利用广播局的史史或年表、报纸或杂志、采访或回顾等留下的记录和资料进行分析的结果,《传说三千里》大致可分为4期。第一期的1966~1968年,《跟着传说的三千里》获得了爆发性的人气,并通过电影、出版物等引起了媒体的变异,从而受到了大众的欢迎,但第二期的1969~1971年人气有所下降,节目名称改为《跟着风流的三千里》。这段时间可以说是《随着传说的三千里》被实际废除的时期,但是《随着风流的三千里》尝试的新形式和内容上的变化与之后复活的《随着传说的三千里》连接在一起,因此更有必要关注联系性的方面。1972年到1978年是3期,确保了固定粉丝层的《传说三千里》稳定的人气和全集形态的出版物也持续发行的时期。制作组亲自到地区进行采访,准备了多样的特辑节目等,为了给节目注入新的活力而努力,但是再也不能适应时代的变化,迎来了剧终。相当于第4期的1982年,在观众的要求下重新开始播出,但最终在1983年结束。《三千里传说》大受欢迎的196,70年代是广播史、大众文化史、政治、社会的重要时期。按照中心的《传说他有过三千里》是,《传说随着三千里》口碑文学上的宝贵材料只能,本研究根据《传说三千里》的具体查明真相和开展旨在讨论以后,奠定了开端,具有重要的意义。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The divisions in Lee Chowhong’s colonial historiography - Focusing on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for Elementary School and DongYangJiGwang(東洋之光)- Development and timeline of the radio program “Samcheon-ri along the legend” The Golgye-mi of Joseon Gisaeng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A Study of Koo Yeon-sik’s Poetical Works, City o f B lack Coral -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Surrealism Poetry -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ersions of “Geumsansagi” and the adaptation intention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