教育哲学对人性的研究——以古希腊思想中的“自然”概念为中心

Young Ju Cha
{"title":"教育哲学对人性的研究——以古希腊思想中的“自然”概念为中心","authors":"Young Ju Cha","doi":"10.15754/jkpe.2023.45.3.00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 사상에 나타난 ‘자연’ 개념에 기반하여 인간 본성의 의미와 그 실현 가능성을 교육철학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일찍이 고대 그리스인들은 ‘자연’을 주된 학문적 관심사로 삼았으며 그 관점은 크게 다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 욕망으로 보는 일부 소피스트들의 관점을 들 수 있는데, 이 관점은 순전히 경험적 사고에서 도출된 견해로 인간의 본성을 유한성 안에 고착시킴으로써 정신적 발달의 측면을 도외시한다. 이와는 달리,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을 형이상학적 이념으로 정립시키는 가운데 본성의 다양한 측면들을 조율하는 신적 지성을 하나의 보편자로 상정한다. 다만 플라톤의 ‘형식으로서의 자연’은 초월적 의미의 추상적 보편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으로서의 자연’은 각 개별자에 내재하여 그 고유한 발달을 주도하는 구체적 보편자로 설명된다는 점에서 이 두 관점은 구분되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때 목적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에서 구현되는 지성의 자유는 본질과 현상 그 어느 쪽으로도 환원되지 않는, 그리하여 현상이 살아있는 본질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는 ‘최고선’의 경지로 설명된다. 결국, 인간 본성이 실현된다는 것은 학습자 안에 잠재된 지성이 그릇된 욕망이나 자기합리화에 갇히지 않고 지속적인 자기운동을 통해 현실화한다는 것을 뜻하며, 바로 이 점이 고대 그리스의 자연관에서 시사 받을 수 있는 ‘발달’의 사변적 의미라고 말할 수 있다.","PeriodicalId":47730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Human Nature with Philosoph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ture' in Ancient Greek Thought\",\"authors\":\"Young Ju Cha\",\"doi\":\"10.15754/jkpe.2023.45.3.00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 사상에 나타난 ‘자연’ 개념에 기반하여 인간 본성의 의미와 그 실현 가능성을 교육철학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일찍이 고대 그리스인들은 ‘자연’을 주된 학문적 관심사로 삼았으며 그 관점은 크게 다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 욕망으로 보는 일부 소피스트들의 관점을 들 수 있는데, 이 관점은 순전히 경험적 사고에서 도출된 견해로 인간의 본성을 유한성 안에 고착시킴으로써 정신적 발달의 측면을 도외시한다. 이와는 달리,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을 형이상학적 이념으로 정립시키는 가운데 본성의 다양한 측면들을 조율하는 신적 지성을 하나의 보편자로 상정한다. 다만 플라톤의 ‘형식으로서의 자연’은 초월적 의미의 추상적 보편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으로서의 자연’은 각 개별자에 내재하여 그 고유한 발달을 주도하는 구체적 보편자로 설명된다는 점에서 이 두 관점은 구분되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때 목적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에서 구현되는 지성의 자유는 본질과 현상 그 어느 쪽으로도 환원되지 않는, 그리하여 현상이 살아있는 본질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는 ‘최고선’의 경지로 설명된다. 결국, 인간 본성이 실현된다는 것은 학습자 안에 잠재된 지성이 그릇된 욕망이나 자기합리화에 갇히지 않고 지속적인 자기운동을 통해 현실화한다는 것을 뜻하며, 바로 이 점이 고대 그리스의 자연관에서 시사 받을 수 있는 ‘발달’의 사변적 의미라고 말할 수 있다.\",\"PeriodicalId\":47730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4/jkpe.2023.45.3.0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4/jkpe.2023.45.3.0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的目的在于,以古希腊思想中出现的“自然”概念为基础,从教育哲学角度考察人类本性的意义及其实现可能性。古希腊人很早就把“自然”作为主要的学术兴趣,其观点可概括为以下三点。首先,可以举出一些索菲斯特把人的本性看作是自私的欲望的观点,这是纯粹从经验思考中导出的观点,将人的本性固定在有限性中,忽视了精神发展的一面。与此相反,柏拉图和亚里士多德将自然定为形而上学的理念,并将调节本性各方面的神的知性假设为一个普遍性。只是柏拉图的“形式自然也作为超越意义的抽象的普遍性,亚里士多德的“作为目的自然是各개별자主导,其固有的发达的具体普遍被解释为,从这一点来看,这两个观点分开有讨论的必要。这时,在目的完全实现的状态下体现的知性自由被解释为不能还原到本质和现象的任何一方,从而可以说现象是存在的本质本身的“最高线”的境界。最终,人类本性所实现的,这是学习者里潜在的知性错误欲望或不被关在자기합리화,通过持续的自行运动的现实意味着,正是这一点在古希腊的自然观暗示可以得到的“发达”的思辨意义可以说。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A Study on the Human Nature with Philosoph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ture' in Ancient Greek Thought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 사상에 나타난 ‘자연’ 개념에 기반하여 인간 본성의 의미와 그 실현 가능성을 교육철학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일찍이 고대 그리스인들은 ‘자연’을 주된 학문적 관심사로 삼았으며 그 관점은 크게 다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 욕망으로 보는 일부 소피스트들의 관점을 들 수 있는데, 이 관점은 순전히 경험적 사고에서 도출된 견해로 인간의 본성을 유한성 안에 고착시킴으로써 정신적 발달의 측면을 도외시한다. 이와는 달리,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을 형이상학적 이념으로 정립시키는 가운데 본성의 다양한 측면들을 조율하는 신적 지성을 하나의 보편자로 상정한다. 다만 플라톤의 ‘형식으로서의 자연’은 초월적 의미의 추상적 보편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으로서의 자연’은 각 개별자에 내재하여 그 고유한 발달을 주도하는 구체적 보편자로 설명된다는 점에서 이 두 관점은 구분되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때 목적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에서 구현되는 지성의 자유는 본질과 현상 그 어느 쪽으로도 환원되지 않는, 그리하여 현상이 살아있는 본질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는 ‘최고선’의 경지로 설명된다. 결국, 인간 본성이 실현된다는 것은 학습자 안에 잠재된 지성이 그릇된 욕망이나 자기합리화에 갇히지 않고 지속적인 자기운동을 통해 현실화한다는 것을 뜻하며, 바로 이 점이 고대 그리스의 자연관에서 시사 받을 수 있는 ‘발달’의 사변적 의미라고 말할 수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Is Piaget’s critique of Durkheim’s theory of moral education valid? Rousseau’s Education and Religion: Focusing on Pity and Compassion The Exploration of Arendt’s Concept of Plurality The Good Life and Suffering in Boethius’ 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An Educational Perspective A Study on the Human Nature with Philosoph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ture' in Ancient Greek Thought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