许秀卿诗歌中的物种再现与后人文主义思想

Seon-yul Baek, Kyung-soo Lee
{"title":"许秀卿诗歌中的物种再现与后人文主义思想","authors":"Seon-yul Baek, Kyung-soo Lee","doi":"10.20864/skl.2023.10.80.43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종(種)의 표상을 통해 허수경 시의 탈인간중심적 사유를 분석했다. 먼저 시적 주체가 인간의 자리에서 인간의 역사와 일상을 관찰하는 장면을 살폈다. 인간의 폭력성과 인간중심적인 세계를 발견하는 일은 ‘나’라는 인간, ‘인간이라는 종’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불러일으킨다. 다음으로 시적 주체 ‘나’의 자리를 통해 인간 아닌 종이 드러난 양상을 살폈다. 인간 아닌 종 되기는 인간이 지운 비인간 종들의 자리와 시간을 복원하는 일과 관련된다. 나아가 이분법적 종의 범주를 허무는 혼종적 존재를 형상화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함께-되기는 주체와 타자를 각기 다른 종으로 구분할 수 없이 뒤섞으며, 감응을 통해 서로를 만들어 나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인간이라는 종, 인간 아닌 종, 혼종으로의 변화를 통해 허수경의 시가 종의 위계를 허물고 탈인간중심적 세계를 그려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77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Representation of species and posthumanist thinking in Heo Soo-Kyung’s poetry\",\"authors\":\"Seon-yul Baek, Kyung-soo Lee\",\"doi\":\"10.20864/skl.2023.10.80.43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종(種)의 표상을 통해 허수경 시의 탈인간중심적 사유를 분석했다. 먼저 시적 주체가 인간의 자리에서 인간의 역사와 일상을 관찰하는 장면을 살폈다. 인간의 폭력성과 인간중심적인 세계를 발견하는 일은 ‘나’라는 인간, ‘인간이라는 종’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불러일으킨다. 다음으로 시적 주체 ‘나’의 자리를 통해 인간 아닌 종이 드러난 양상을 살폈다. 인간 아닌 종 되기는 인간이 지운 비인간 종들의 자리와 시간을 복원하는 일과 관련된다. 나아가 이분법적 종의 범주를 허무는 혼종적 존재를 형상화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함께-되기는 주체와 타자를 각기 다른 종으로 구분할 수 없이 뒤섞으며, 감응을 통해 서로를 만들어 나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인간이라는 종, 인간 아닌 종, 혼종으로의 변화를 통해 허수경의 시가 종의 위계를 허물고 탈인간중심적 세계를 그려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77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4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4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篇论文通过物种的表象,分析了许秀景诗的脱离人类为中心的思维。首先观察了诗的主体在人类的位置上观察人类历史和日常生活的场面。发现人类的暴力性和以人类为中心的世界会引发对“我”、“人类这一物种”的反省和反省。其次,通过诗的主体“我”的位置,观察了非人类的物种出现的情况。成为非人类物种与复原人类抹掉的非人类物种的位置和时间有关。进一步关注了打破二分法物种范畴的混纵存在的形象化。“一起-成为”表明了主体和他人无法区分不同种类,相互混合,通过感应相互创造的事实。通过人类这一物种、非人类的物种、混种的变化,可以确认许秀景的诗打破了物种的地位,描绘了以脱离人类为中心的世界。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Representation of species and posthumanist thinking in Heo Soo-Kyung’s poetry
이 논문은 종(種)의 표상을 통해 허수경 시의 탈인간중심적 사유를 분석했다. 먼저 시적 주체가 인간의 자리에서 인간의 역사와 일상을 관찰하는 장면을 살폈다. 인간의 폭력성과 인간중심적인 세계를 발견하는 일은 ‘나’라는 인간, ‘인간이라는 종’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불러일으킨다. 다음으로 시적 주체 ‘나’의 자리를 통해 인간 아닌 종이 드러난 양상을 살폈다. 인간 아닌 종 되기는 인간이 지운 비인간 종들의 자리와 시간을 복원하는 일과 관련된다. 나아가 이분법적 종의 범주를 허무는 혼종적 존재를 형상화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함께-되기는 주체와 타자를 각기 다른 종으로 구분할 수 없이 뒤섞으며, 감응을 통해 서로를 만들어 나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인간이라는 종, 인간 아닌 종, 혼종으로의 변화를 통해 허수경의 시가 종의 위계를 허물고 탈인간중심적 세계를 그려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The divisions in Lee Chowhong’s colonial historiography - Focusing on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for Elementary School and DongYangJiGwang(東洋之光)- Development and timeline of the radio program “Samcheon-ri along the legend” The Golgye-mi of Joseon Gisaeng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A Study of Koo Yeon-sik’s Poetical Works, City o f B lack Coral -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Surrealism Poetry -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ersions of “Geumsansagi” and the adaptation intention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