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已婚东南亚移民女性在韩国的移民经历","authors":"Hyeok-rae Kwon","doi":"10.20864/skl.2023.10.80.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동남아 출신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이주 경험담 10편을 현대구전설화(MPN)의 하위 항목인 ‘이주(정착) 경험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을 논하였다.BR 이주 경험담의 삶의 영역을 모국생활, 이주과정, 한국생활, 적응 순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은 대개 개인의 경제적 환경, 삶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낯선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다. 2) 여성들은 대개 한국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태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였다. 3) 여성들은 한국의 가족관계에서 감사와 안정감을 얻으며, 다문화지원센터 등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좀 더 큰 만족감을 얻는다. 4) 여성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거나 한국음식 및 명절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였다. 5) 몇몇 구술자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한편, 직장생활 및 자기실현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었다.BR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에게 다양한 한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 이주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후 음식문화, 관습 및 일상문화 적응 문제에 대해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다. 3) 결혼이주 여성들의 구직과 자기실현 문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인다. 결혼이주민들의 한국 이주․정착 경험담을 좀 더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심층 연구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igration experiences of married Southeast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authors\":\"Hyeok-rae Kwon\",\"doi\":\"10.20864/skl.2023.10.80.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동남아 출신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이주 경험담 10편을 현대구전설화(MPN)의 하위 항목인 ‘이주(정착) 경험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을 논하였다.BR 이주 경험담의 삶의 영역을 모국생활, 이주과정, 한국생활, 적응 순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은 대개 개인의 경제적 환경, 삶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낯선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다. 2) 여성들은 대개 한국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태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였다. 3) 여성들은 한국의 가족관계에서 감사와 안정감을 얻으며, 다문화지원센터 등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좀 더 큰 만족감을 얻는다. 4) 여성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거나 한국음식 및 명절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였다. 5) 몇몇 구술자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한편, 직장생활 및 자기실현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었다.BR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에게 다양한 한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 이주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후 음식문화, 관습 및 일상문화 적응 문제에 대해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다. 3) 결혼이주 여성들의 구직과 자기실현 문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인다. 결혼이주민들의 한국 이주․정착 경험담을 좀 더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심층 연구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Migration experiences of married Southeast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이 연구는 동남아 출신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이주 경험담 10편을 현대구전설화(MPN)의 하위 항목인 ‘이주(정착) 경험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을 논하였다.BR 이주 경험담의 삶의 영역을 모국생활, 이주과정, 한국생활, 적응 순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은 대개 개인의 경제적 환경, 삶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낯선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다. 2) 여성들은 대개 한국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태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였다. 3) 여성들은 한국의 가족관계에서 감사와 안정감을 얻으며, 다문화지원센터 등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좀 더 큰 만족감을 얻는다. 4) 여성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거나 한국음식 및 명절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였다. 5) 몇몇 구술자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한편, 직장생활 및 자기실현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었다.BR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에게 다양한 한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 이주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후 음식문화, 관습 및 일상문화 적응 문제에 대해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다. 3) 결혼이주 여성들의 구직과 자기실현 문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인다. 결혼이주민들의 한국 이주․정착 경험담을 좀 더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심층 연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