已婚东南亚移民女性在韩国的移民经历

Hyeok-rae Kwon
{"title":"已婚东南亚移民女性在韩国的移民经历","authors":"Hyeok-rae Kwon","doi":"10.20864/skl.2023.10.80.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동남아 출신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이주 경험담 10편을 현대구전설화(MPN)의 하위 항목인 ‘이주(정착) 경험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을 논하였다.BR 이주 경험담의 삶의 영역을 모국생활, 이주과정, 한국생활, 적응 순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은 대개 개인의 경제적 환경, 삶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낯선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다. 2) 여성들은 대개 한국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태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였다. 3) 여성들은 한국의 가족관계에서 감사와 안정감을 얻으며, 다문화지원센터 등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좀 더 큰 만족감을 얻는다. 4) 여성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거나 한국음식 및 명절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였다. 5) 몇몇 구술자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한편, 직장생활 및 자기실현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었다.BR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에게 다양한 한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 이주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후 음식문화, 관습 및 일상문화 적응 문제에 대해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다. 3) 결혼이주 여성들의 구직과 자기실현 문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인다. 결혼이주민들의 한국 이주․정착 경험담을 좀 더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심층 연구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igration experiences of married Southeast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authors\":\"Hyeok-rae Kwon\",\"doi\":\"10.20864/skl.2023.10.80.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동남아 출신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이주 경험담 10편을 현대구전설화(MPN)의 하위 항목인 ‘이주(정착) 경험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을 논하였다.BR 이주 경험담의 삶의 영역을 모국생활, 이주과정, 한국생활, 적응 순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은 대개 개인의 경제적 환경, 삶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낯선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다. 2) 여성들은 대개 한국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태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였다. 3) 여성들은 한국의 가족관계에서 감사와 안정감을 얻으며, 다문화지원센터 등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좀 더 큰 만족감을 얻는다. 4) 여성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거나 한국음식 및 명절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였다. 5) 몇몇 구술자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한편, 직장생활 및 자기실현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었다.BR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에게 다양한 한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 이주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후 음식문화, 관습 및 일상문화 적응 문제에 대해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다. 3) 결혼이주 여성들의 구직과 자기실현 문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인다. 결혼이주민들의 한국 이주․정착 경험담을 좀 더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심층 연구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该研究将东南亚结婚移民女性移居韩国的10篇经验之谈分类为现代口头传说(MPN)的下一项“移居经验之谈”进行了分析,并从款待和相互文化主义的观点出发,讨论了认识和支援的方向。BR移居经验之谈的生活领域按照祖国生活、移居过程、韩国生活、适应顺序进行分析的内容如下。结婚移民女性们为了改善个人的经济环境和生活环境,选择了与陌生的韩国男性结婚。女性大多是在韩国语沟通困难的情况下移居到韩国的。3)女性在韩国的家庭关系中获得感谢和稳定感,在多文化支援中心等工作的女性则获得更大的满足感。4)女性不太懂韩国语或难以适应韩国饮食及节日文化。5)几位口述者在工作和社会生活中经历困难的同时,表现出对工作生活和自我实现的期待。从BR款待和相互文化主义的观点来看,对结婚移民女性的认识和支援方向如下。1)为结婚移民女性提供多种韩国语学习机会。2 .关注移民女性怀孕和产后饮食文化,习惯及日常文化适应问题。3 .注意新移民女性的求职和自我实现问题。有必要更加积极地调查和深入研究结婚移民们移居韩国定居的经验之谈。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Migration experiences of married Southeast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이 연구는 동남아 출신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이주 경험담 10편을 현대구전설화(MPN)의 하위 항목인 ‘이주(정착) 경험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을 논하였다.BR 이주 경험담의 삶의 영역을 모국생활, 이주과정, 한국생활, 적응 순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은 대개 개인의 경제적 환경, 삶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낯선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다. 2) 여성들은 대개 한국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태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였다. 3) 여성들은 한국의 가족관계에서 감사와 안정감을 얻으며, 다문화지원센터 등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좀 더 큰 만족감을 얻는다. 4) 여성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거나 한국음식 및 명절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였다. 5) 몇몇 구술자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한편, 직장생활 및 자기실현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었다.BR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과 지원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 여성들에게 다양한 한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 이주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후 음식문화, 관습 및 일상문화 적응 문제에 대해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다. 3) 결혼이주 여성들의 구직과 자기실현 문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인다. 결혼이주민들의 한국 이주․정착 경험담을 좀 더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심층 연구할 필요가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The divisions in Lee Chowhong’s colonial historiography - Focusing on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for Elementary School and DongYangJiGwang(東洋之光)- Development and timeline of the radio program “Samcheon-ri along the legend” The Golgye-mi of Joseon Gisaeng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A Study of Koo Yeon-sik’s Poetical Works, City o f B lack Coral -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Surrealism Poetry -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ersions of “Geumsansagi” and the adaptation intention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