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THE JOURNAL OF LOCALITOLOGY最新文献

英文 中文
Single phase for future city – Jaeminanbogsu`s creating a place. Let`s dream of coexistence with artistic imagination 未来城市的单一阶段——Jaeminanbogsu正在创造一个地方。让我们梦想与艺术想象共存
Pub Date : 2018-10-31 DOI: 10.15299/TJL.2018.10.20.177
Geon Kim
{"title":"Single phase for future city – Jaeminanbogsu`s creating a place. Let`s dream of coexistence with artistic imagination","authors":"Geon Kim","doi":"10.15299/TJL.2018.10.20.177","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177","url":null,"abstract":"","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9258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Read possibilities at the border 阅读边界的可能性
Pub Date : 2018-10-31 DOI: 10.15299/TJL.2018.10.20.197
C. Cha
{"title":"Read possibilities at the border","authors":"C. Cha","doi":"10.15299/TJL.2018.10.20.197","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197","url":null,"abstract":"","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58730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Choseon People of Pre-Liberation Namchon, the Koreans of Post-Liberation Myeongdong 光复前的南村朝鲜民族,光复后的明洞朝鲜人
Pub Date : 2018-10-31 DOI: 10.15299/tjl.2018.10.20.143
Choongsil Jeong
{"title":"The Choseon People of Pre-Liberation Namchon, the Koreans of Post-Liberation Myeongdong","authors":"Choongsil Jeong","doi":"10.15299/tjl.2018.10.20.143","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143","url":null,"abstract":"","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39722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Urban Regeneration and Environmental Colors from Perspective of Locality 地域视角下的城市更新与环境色彩
Pub Date : 2018-10-31 DOI: 10.15299/TJL.2018.10.20.43
Eun-Ha Son
도시의 환경색채는 그곳의 첫 이미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건축물과 구조물, 경관에서 나타나는 색채는 그 도시를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 환경색채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가운데 주요색(main color)은 주로 그곳 사람들의 선호색채와도 관련이 있다. 이 선호색채가 생긴 연유를 추적하다 보면 그곳의 로컬리티와도 연결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환경색채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 인문적 환경, 인공적 환경 등이 영향을 주어 총체적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프랑스의 색채학자인 장 필립 랑클로의 색채 지리학을 비롯한 환경 색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부산의 대청동 마을의 환경 색채를 살펴보고 그곳의 형성배경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대청동 마을은 부산시가 환경색채 시범마을로 선택한 곳이다. 부산색 기본 색채 가운데 12개의 색을 선정해 주택과 공공시설에 도색작업과 환경개선 사업을 시행했다. 그렇지만 임의로 선택된 색에 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고, 실제 마을도 주변의 색채와 동떨어진 채색 작업으로 분절된 느낌을 주고 있다. 시는 전후의 사업효과를 홍보하기 위해 가장 눈에 잘 띄는 높은 위치에 있는 이곳을 선정하고 이미지 사진 또한 과도한 색채 보정사업으로 보여주기 식 행정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로컬리티는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해서 새롭게 조성되기도 하지만 주로 그곳의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사람들로 인해 켜켜이 쌓이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최근 도시재생이라는 키워드로 이전의 난개발과는 차이를 두고 있긴 하지만, 환경색채에 관해서는 그곳의 다양한 요소와 로컬리티에 대한 연구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城市的环境色彩对决定那里的第一个形象起着重要的作用。各种建筑,构造物和景观中的色彩使这座城市更加丰富多彩。在环境色彩的形成中,主要颜色(main color)主要与当地人的喜好色彩有关。如果追踪这种偏好色彩的产生原因,就会发现它与当地的地方相连。环境色彩在该地区自然环境,人文环境,人工环境等的影响下总体表现出来。本高中对法国色彩学者让·菲利普·朗克罗的色彩地理学等环境色彩的理论讨论进行了考察,对釜山大青洞村庄的环境色彩进行了考察,并对那里的形成背景进行了讨论。大青洞村是釜山市选择的环境色彩示范村。在釜山色基本色彩中选出12种颜色,对住宅和公共设施进行了喷漆工作和环境改善工作。但是对于任意选择的颜色并没有特别的说明,实际的村庄也因为与周围的色彩相隔的彩色作业,给人一种分节的感觉。首尔市为了宣传战后的事业效果,选定了位于最显眼的位置的地方,形象照片也通过过度的色彩修正事业,显示出了“展示式”行政意图。地方自治也会以某种事件为契机重新形成,但主要是由那里的历史性和场所性以及人们层层积累而形成的。虽然最近以“城市再生”这一关键词与以前的乱开发有所差异,但在环境色彩方面却忽视了必须同时对那里的多种要素和地方进行研究的事实。
{"title":"Urban Regeneration and Environmental Colors from Perspective of Locality","authors":"Eun-Ha Son","doi":"10.15299/TJL.2018.10.20.43","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43","url":null,"abstract":"도시의 환경색채는 그곳의 첫 이미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건축물과 구조물, 경관에서 나타나는 색채는 그 도시를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 환경색채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가운데 주요색(main color)은 주로 그곳 사람들의 선호색채와도 관련이 있다. 이 선호색채가 생긴 연유를 추적하다 보면 그곳의 로컬리티와도 연결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환경색채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 인문적 환경, 인공적 환경 등이 영향을 주어 총체적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프랑스의 색채학자인 장 필립 랑클로의 색채 지리학을 비롯한 환경 색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부산의 대청동 마을의 환경 색채를 살펴보고 그곳의 형성배경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대청동 마을은 부산시가 환경색채 시범마을로 선택한 곳이다. 부산색 기본 색채 가운데 12개의 색을 선정해 주택과 공공시설에 도색작업과 환경개선 사업을 시행했다. 그렇지만 임의로 선택된 색에 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고, 실제 마을도 주변의 색채와 동떨어진 채색 작업으로 분절된 느낌을 주고 있다. 시는 전후의 사업효과를 홍보하기 위해 가장 눈에 잘 띄는 높은 위치에 있는 이곳을 선정하고 이미지 사진 또한 과도한 색채 보정사업으로 보여주기 식 행정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로컬리티는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해서 새롭게 조성되기도 하지만 주로 그곳의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사람들로 인해 켜켜이 쌓이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최근 도시재생이라는 키워드로 이전의 난개발과는 차이를 두고 있긴 하지만, 환경색채에 관해서는 그곳의 다양한 요소와 로컬리티에 대한 연구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8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58601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Japanese Spiritual Phenomenology of Being-in-the-Regional Natural Characteristics 地域自然特征中存在的日本精神现象学
Pub Date : 2018-10-31 DOI: 10.15299/tjl.2018.10.20.205
M. Rhee
{"title":"A Japanese Spiritual Phenomenology of Being-in-the-Regional Natural Characteristics","authors":"M. Rhee","doi":"10.15299/tjl.2018.10.20.205","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205","url":null,"abstract":"","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4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6750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THE JOURNAL OF LOCALITOLOGY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