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8-10-31DOI: 10.15299/TJL.2018.10.20.177
Geon Kim
{"title":"Single phase for future city – Jaeminanbogsu`s creating a place. Let`s dream of coexistence with artistic imagination","authors":"Geon Kim","doi":"10.15299/TJL.2018.10.20.177","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177","url":null,"abstract":"","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9258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0-31DOI: 10.15299/TJL.2018.10.20.197
C. Cha
{"title":"Read possibilities at the border","authors":"C. Cha","doi":"10.15299/TJL.2018.10.20.197","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197","url":null,"abstract":"","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58730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0-31DOI: 10.15299/tjl.2018.10.20.143
Choongsil Jeong
{"title":"The Choseon People of Pre-Liberation Namchon, the Koreans of Post-Liberation Myeongdong","authors":"Choongsil Jeong","doi":"10.15299/tjl.2018.10.20.143","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143","url":null,"abstract":"","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39722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0-31DOI: 10.15299/TJL.2018.10.20.43
Eun-Ha Son
도시의 환경색채는 그곳의 첫 이미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건축물과 구조물, 경관에서 나타나는 색채는 그 도시를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 환경색채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가운데 주요색(main color)은 주로 그곳 사람들의 선호색채와도 관련이 있다. 이 선호색채가 생긴 연유를 추적하다 보면 그곳의 로컬리티와도 연결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환경색채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 인문적 환경, 인공적 환경 등이 영향을 주어 총체적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프랑스의 색채학자인 장 필립 랑클로의 색채 지리학을 비롯한 환경 색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부산의 대청동 마을의 환경 색채를 살펴보고 그곳의 형성배경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대청동 마을은 부산시가 환경색채 시범마을로 선택한 곳이다. 부산색 기본 색채 가운데 12개의 색을 선정해 주택과 공공시설에 도색작업과 환경개선 사업을 시행했다. 그렇지만 임의로 선택된 색에 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고, 실제 마을도 주변의 색채와 동떨어진 채색 작업으로 분절된 느낌을 주고 있다. 시는 전후의 사업효과를 홍보하기 위해 가장 눈에 잘 띄는 높은 위치에 있는 이곳을 선정하고 이미지 사진 또한 과도한 색채 보정사업으로 보여주기 식 행정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로컬리티는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해서 새롭게 조성되기도 하지만 주로 그곳의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사람들로 인해 켜켜이 쌓이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최근 도시재생이라는 키워드로 이전의 난개발과는 차이를 두고 있긴 하지만, 환경색채에 관해서는 그곳의 다양한 요소와 로컬리티에 대한 연구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title":"Urban Regeneration and Environmental Colors from Perspective of Locality","authors":"Eun-Ha Son","doi":"10.15299/TJL.2018.10.20.43","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43","url":null,"abstract":"도시의 환경색채는 그곳의 첫 이미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건축물과 구조물, 경관에서 나타나는 색채는 그 도시를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 환경색채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가운데 주요색(main color)은 주로 그곳 사람들의 선호색채와도 관련이 있다. 이 선호색채가 생긴 연유를 추적하다 보면 그곳의 로컬리티와도 연결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환경색채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 인문적 환경, 인공적 환경 등이 영향을 주어 총체적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프랑스의 색채학자인 장 필립 랑클로의 색채 지리학을 비롯한 환경 색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부산의 대청동 마을의 환경 색채를 살펴보고 그곳의 형성배경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대청동 마을은 부산시가 환경색채 시범마을로 선택한 곳이다. 부산색 기본 색채 가운데 12개의 색을 선정해 주택과 공공시설에 도색작업과 환경개선 사업을 시행했다. 그렇지만 임의로 선택된 색에 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고, 실제 마을도 주변의 색채와 동떨어진 채색 작업으로 분절된 느낌을 주고 있다. 시는 전후의 사업효과를 홍보하기 위해 가장 눈에 잘 띄는 높은 위치에 있는 이곳을 선정하고 이미지 사진 또한 과도한 색채 보정사업으로 보여주기 식 행정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로컬리티는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해서 새롭게 조성되기도 하지만 주로 그곳의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사람들로 인해 켜켜이 쌓이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최근 도시재생이라는 키워드로 이전의 난개발과는 차이를 두고 있긴 하지만, 환경색채에 관해서는 그곳의 다양한 요소와 로컬리티에 대한 연구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8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58601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0-31DOI: 10.15299/tjl.2018.10.20.205
M. Rhee
{"title":"A Japanese Spiritual Phenomenology of Being-in-the-Regional Natural Characteristics","authors":"M. Rhee","doi":"10.15299/tjl.2018.10.20.205","DOIUrl":"https://doi.org/10.15299/tjl.2018.10.20.205","url":null,"abstract":"","PeriodicalId":115572,"journal":{"name":"THE JOURNAL OF LOCALITOLOGY","volume":"4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6750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