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23-11-30DOI: 10.5139/jksas.2023.51.11.819
Dong-Hyeon Lee, Sang-Ok Choi
최근 우주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되어 세계 각국은 민간 기업 중심으로 우주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우주산업을 미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는 조성 중인 상황으로 우주 기업들의 경영 효율성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 53개 주요 우주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방법(DEA:Data En velopment Analysis, 이하 DEA)을 이용하여 우주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세계 우주 기업과 국내 우주 기업 간의 경영 효율성 비교 분석을 통해 효율성 개선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효율성 개선을 위한 분석결과, 총자산, 직원수가 효율성 개선을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 정부의 민간 주도 우주산업화를 위한 세부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最近宇宙产业领域的增长加快,世界各国都在以民间企业为中心推进宇宙产业的培育,韩国也在制定将宇宙产业培育成未来主力产业的政策。但是,民间主导的宇宙产业生态界目前正在建立,因此对宇宙企业的经营效率性分析缺乏系统的研究。本研究中对全世界53个主要面向宇宙企业资料福乐分析方法(dea: data en velopment analysis,以下简称dea)利用宇宙测量,企业的效率性世界的宇宙企业和国内企业之间的经营效率,通过比较分析得出,效率改善方案和政策启示。为了改善效率,分析结果显示,总资产、员工人数是改善效率的相对重要因素。本研究的分析结果有望作为韩国政府制定民间主导宇宙产业化细节政策的参考资料使用。
{"title":"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between Global Space Companies and Domestic Companies by using DEA-SBM","authors":"Dong-Hyeon Lee, Sang-Ok Choi","doi":"10.5139/jksas.2023.51.11.819","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819","url":null,"abstract":"최근 우주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되어 세계 각국은 민간 기업 중심으로 우주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우주산업을 미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는 조성 중인 상황으로 우주 기업들의 경영 효율성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 53개 주요 우주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방법(DEA:Data En velopment Analysis, 이하 DEA)을 이용하여 우주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세계 우주 기업과 국내 우주 기업 간의 경영 효율성 비교 분석을 통해 효율성 개선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효율성 개선을 위한 분석결과, 총자산, 직원수가 효율성 개선을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 정부의 민간 주도 우주산업화를 위한 세부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8 12","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2768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1-30DOI: 10.5139/jksas.2023.51.11.799
Jong-Min Im, Sung-Hyun Woo, Hee-Kwang Eun, Jong-Hyub Jun
{"title":"New Force-Moment Measurement System for Satellite Vibration Test","authors":"Jong-Min Im, Sung-Hyun Woo, Hee-Kwang Eun, Jong-Hyub Jun","doi":"10.5139/jksas.2023.51.11.799","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799","url":null,"abstract":"","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3 1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2747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1-30DOI: 10.5139/jksas.2023.51.11.751
Yebin Lee, Younggun Lee, Jongbum Kim, Donghyun Cho
회전익 분야의 기술 발전과 함께 미래 도시 교통 체계로 다양한 형태의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체계가 개발되고 있다. 교통 수단으로 UAM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체계 개발 초기 단계부터 비행 안정성 및 운용 가능성과 관련된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공군사관학교 중형 아음속 풍동실험실에서는 카나드가 부착된 UAM 기체에 대한 공력특성과 안정성 분석을 위해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풍동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불확도 산출을 통해 풍동실험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실험 데이터의 신뢰도와 정확도 검증을 위해 벽면효과 보정 및 실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풍동실험 결과 받음각 14° 이상에서 실속이 발생하였고, 조종면의 단독 및 조합 효과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안정한 기체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방향 정안정성은 불안정한 특성이 확인되어, 추가 방향 정안정성 확보를 위해 수직꼬리날개 형상 및 크기 개선 등의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随着旋转翼领域的技术发展,作为未来城市交通体系,正在开发多种形态的城市航空交通(UAM, Urban Air Mobility)体系。UAM要想作为交通手段应用,从系统开发初期阶段开始,就要进行满足飞行稳定性及运用可能性相关要求条件的设计。空军士官学校的中型亚声速风洞实验室为了分析带有卡纳的UAM气体的功力特性和稳定性,在多样的实验条件下进行了风洞试验,并对其结果进行了分析。另外,通过计算不确定度,分析了风洞试验信赖度,为了验证实验数据的信赖度和准确度,确认了墙面效果校正及实验再现性。风动试验结果表明,在接收阴角14°以上时产生了实际利益,操纵面单独及组合效果,是横向及纵向稳定的气体。但是方向定眼正性被确认为不稳定的特性,为了确保追加方向定眼正性,预定进行垂直尾翼形状及大小改善等追加研究。
{"title":"Wind Tunnel Test Research for Aero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Urban Air Mobility With Canard","authors":"Yebin Lee, Younggun Lee, Jongbum Kim, Donghyun Cho","doi":"10.5139/jksas.2023.51.11.751","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751","url":null,"abstract":"회전익 분야의 기술 발전과 함께 미래 도시 교통 체계로 다양한 형태의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체계가 개발되고 있다. 교통 수단으로 UAM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체계 개발 초기 단계부터 비행 안정성 및 운용 가능성과 관련된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공군사관학교 중형 아음속 풍동실험실에서는 카나드가 부착된 UAM 기체에 대한 공력특성과 안정성 분석을 위해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풍동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불확도 산출을 통해 풍동실험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실험 데이터의 신뢰도와 정확도 검증을 위해 벽면효과 보정 및 실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풍동실험 결과 받음각 14° 이상에서 실속이 발생하였고, 조종면의 단독 및 조합 효과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안정한 기체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방향 정안정성은 불안정한 특성이 확인되어, 추가 방향 정안정성 확보를 위해 수직꼬리날개 형상 및 크기 개선 등의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8 5","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2769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1-30DOI: 10.5139/jksas.2023.51.11.789
Jeongsik Shin, Kyun-Ho Lee, Jungwon Kuk, Han-Seo Ko
최근 세계적으로 초소형위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초소형위성용 추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계방출형(Field Emission Electric Propulsion, FEEP) 전기추력기는 단순성, 소형화, 고효율화 등의 이유로 초소형위성용 추진시스템으로 선호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을 조사한 결과, 전계방출형 전기추력기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방출전류-인가전압 특성에 대한 이론모델이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늘형 방사기를 기반으로 이론모델을 유도해봄으로써 기존 이론모델에 포함된 오류를 확인하였고, 개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험 측정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기존 이론모델의 부정확성과 적용한계를 발견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이론모델을 정립 및 제안하였다. 개선된 이론모델의 사용을 통해 전계방출형 전기추력기의 성능 예측과 방사기 설계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最近,随着世界范围内对超小型卫星的需求增加,正在开发多种超小型卫星用推进系统。其中,电场发射型(Field Emission Electric Propulsion, FEEP)电力推力机因其单纯、小型化、高效率等原因,被选为微型卫星用推进系统。现有的研究发现,常用的发射电流-认可电压特性理论模型来预测电计发射型推力的性能。因此本研究以针型放射器为基础,导出了理论模型,确认了现有理论模型中包含的错误,验证了盖然性。另外,通过与实验测定结果的比较,发现了现有理论模型的不准确性和应用局限性,并对此进行分析,提出了改善后的理论模型,以提高准确度。通过改进的理论模型,在预测电计发射型电力推力器的性能和放射器设计时,可以提高可靠性。
{"title":"An Improvement Study of Theoretical Model for a Needle Emitter Design of Field Emission Electric Thruster for CubeSat","authors":"Jeongsik Shin, Kyun-Ho Lee, Jungwon Kuk, Han-Seo Ko","doi":"10.5139/jksas.2023.51.11.789","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789","url":null,"abstract":"최근 세계적으로 초소형위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초소형위성용 추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계방출형(Field Emission Electric Propulsion, FEEP) 전기추력기는 단순성, 소형화, 고효율화 등의 이유로 초소형위성용 추진시스템으로 선호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을 조사한 결과, 전계방출형 전기추력기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방출전류-인가전압 특성에 대한 이론모델이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늘형 방사기를 기반으로 이론모델을 유도해봄으로써 기존 이론모델에 포함된 오류를 확인하였고, 개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험 측정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기존 이론모델의 부정확성과 적용한계를 발견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이론모델을 정립 및 제안하였다. 개선된 이론모델의 사용을 통해 전계방출형 전기추력기의 성능 예측과 방사기 설계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8 9","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276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지형을 따라서 저공비행 하도록 하는 지형 추종 알고리즘은 항공기가 임무를 수행하면서 적대 방공망 탐지의 최소화를 위해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의 지형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고도 이상을 유지하고 과승도를 최소화하는 최적 제어 해를 얻기 위해 새로운 비 볼록 형태의 비용 함수를 제시한다. 최적화 문제는 병렬 컴퓨팅이 가능하며 비 볼록 비용 함수의 해를 얻을 수 있는 모델 예측 경로 적분 제어 기법을 활용하여 지형 추종 유도 명령 생성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도 명령은 3 자유도 시뮬레이션으로 성능 확인 및 분석하며 항공기 동역학과 제어기가 모두 고려된 6 자유도 시뮬레이션으로 유도 명령 성능을 검증했다.
{"title":"Computational Guidance Algorithm for Terrain Following Using Model Predictive Path Integral Method","authors":"Kwangwoo Jang, Kyungwoo Hong, Hyochoong Bang, Sang-Il Lee, Jiyeon Jeon, Kihoon Song","doi":"10.5139/jksas.2023.51.11.769","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769","url":null,"abstract":"지형을 따라서 저공비행 하도록 하는 지형 추종 알고리즘은 항공기가 임무를 수행하면서 적대 방공망 탐지의 최소화를 위해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의 지형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고도 이상을 유지하고 과승도를 최소화하는 최적 제어 해를 얻기 위해 새로운 비 볼록 형태의 비용 함수를 제시한다. 최적화 문제는 병렬 컴퓨팅이 가능하며 비 볼록 비용 함수의 해를 얻을 수 있는 모델 예측 경로 적분 제어 기법을 활용하여 지형 추종 유도 명령 생성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도 명령은 3 자유도 시뮬레이션으로 성능 확인 및 분석하며 항공기 동역학과 제어기가 모두 고려된 6 자유도 시뮬레이션으로 유도 명령 성능을 검증했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8 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276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1-30DOI: 10.5139/jksas.2023.51.11.761
Dongkuk Choi, Sooyong Lee
{"title":"A Study on a Modeling Method for Thermal-Structural Coupled Analysis of Cryogenic Common Bulkhead Propellant Tanks","authors":"Dongkuk Choi, Sooyong Lee","doi":"10.5139/jksas.2023.51.11.761","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761","url":null,"abstract":"","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3 12","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274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1-30DOI: 10.5139/jksas.2023.51.11.811
Min-Gyun Han, Euteum Choi, Yong-Kee Jun, Seongjin Lee
항공기 건전성 관리시스템은 항공기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인한 시스템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건전성 관리시스템은 진단 및 조치 기법이 적용된 오류들만 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교착상태 수리 기능이 없는 시스템에서 오류가 운영 중에 발생하면 교착상태를 수리할 수 없다. 본 논문은 건전성 관리시스템에 기반한 항공기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교착상태를 자율 수리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설계 단계에서 작성된 락 정보를 활용하여 오류를 진단하며 스레드를 지연시켜 교착상태의 발생을 방지한다. 제시한 기법은 네 가지 패턴의 교착상태 사례를 통한 기능 평가에서 교착상태가 모두 방지됨을 보였다. 성능 평가에서 중첩된 락의 개수가 많을수록 시간 오버헤드 증가율이 감소하여 95%의 수행시간을 보였다.
{"title":"Health Management System for On-the-Fly Repairing of Deadlock in Airborne Software","authors":"Min-Gyun Han, Euteum Choi, Yong-Kee Jun, Seongjin Lee","doi":"10.5139/jksas.2023.51.11.811","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811","url":null,"abstract":"항공기 건전성 관리시스템은 항공기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인한 시스템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건전성 관리시스템은 진단 및 조치 기법이 적용된 오류들만 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교착상태 수리 기능이 없는 시스템에서 오류가 운영 중에 발생하면 교착상태를 수리할 수 없다. 본 논문은 건전성 관리시스템에 기반한 항공기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교착상태를 자율 수리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설계 단계에서 작성된 락 정보를 활용하여 오류를 진단하며 스레드를 지연시켜 교착상태의 발생을 방지한다. 제시한 기법은 네 가지 패턴의 교착상태 사례를 통한 기능 평가에서 교착상태가 모두 방지됨을 보였다. 성능 평가에서 중첩된 락의 개수가 많을수록 시간 오버헤드 증가율이 감소하여 95%의 수행시간을 보였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8 2","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276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1-30DOI: 10.5139/jksas.2023.51.11.779
Tae-Hun Kim, Jaehyun Jin, Tae-Young Kang, Chang-Kyung Ryoo, Jeong-Hun Kim
{"title":"Composite Guidance Law for Homing Missiles Considering Nonlinear Field-of-View of a Strapdown Semi-Active Laser Seeker","authors":"Tae-Hun Kim, Jaehyun Jin, Tae-Young Kang, Chang-Kyung Ryoo, Jeong-Hun Kim","doi":"10.5139/jksas.2023.51.11.779","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779","url":null,"abstract":"","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3 10","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2747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0-31DOI: 10.5139/jksas.2023.51.10.721
Hanjoon Shim, In Hoi Koo, YongHwan Bae, Jaeuk Park, Hojoon Jeong, Jikang Lee, O-Jong Kim, Changdon Kee, Kybeom Kwon, Cheol Hea Koo
SNUGLITE-II는 표준 3U 규격의 큐브위성으로, 누리호(KSLV-II)에 탑재된 성능검증위성과 함께 한국시간(UTC+9) 2022년 6월 21일 16시경 발사되었다. 이후 7월 3일 16시 23분경 성능검증위성의 P-POD(Picosatellite Orbital Deployer)로부터 사출되었으며, 익일 03시 24분경 지상국 명령에 응답함으로써 최초 교신에 성공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7월 3일 사출 직후부터 12일까지 10일간 수행되었던 SNUGLITE-II 큐브위성의 운용 결과를 다룬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302동에 위치한 지상국과 해외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운용하는 지상국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와 지상국 명령으로 수집된 위성 상태정보 기록데이터를 모두 취합하여 데이터를 시간별로 분류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SNUGLITE-II 큐브위성이 UHF 대역에서 10초 간격으로 송신하는 비콘 데이터로써, 위성의 업링크 명령, GPS 항법 정보, 전력정보, 자세제어, 센서값, 온도 그리고 식별 플래그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SNUGLITE-II 큐브위성의 위성 상태를 분석하고 탑재된 국내 개발 큐브위성용 GPS 수신기 검증과 자체 개발 자세결정 및 제어시스템의 기술적 운용 결과를 확인하였다.
SNUGLITE-II是标准3U规格的cube卫星,与KSLV-II搭载的性能验证卫星一起于韩国时间(UTC+9) 2022年6月21日16时左右发射。7月3日16时23分左右从Picosatellite Orbital Deployer(英语:Picosatellite Orbital Deployer)发射升空,并于翌日3时24分左右响应地面站命令,首次通信成功。本论文将讨论从7月3日发射后到12日进行的10天的SNUGLITE-II魔方卫星的运用结果。为此,将综合位于首尔大学302洞的地相局和海外业余无线公司运用的地相局收集的数据和根据地相局命令收集的卫星状态信息记录数据,按时间分类数据。收集到的数据是SNUGLITE-II cube卫星在UHF频段以10秒为间隔发送的标形数据,包含卫星的uplink命令、GPS导航信息、电力信息、姿态控制、传感器值、温度和识别标志等多种信息。通过收集的数据,分析了SNUGLITE-II魔方卫星的卫星状态,确认了搭载的国内开发魔方卫星用GPS接收器验证和自主开发姿态决定及控制系统的技术运用结果。
{"title":"Operation Results of SNUGLITE-II CubeSat: Convective 3D Observation and Precise Attitude Determination Using GPS Carrier Measurements","authors":"Hanjoon Shim, In Hoi Koo, YongHwan Bae, Jaeuk Park, Hojoon Jeong, Jikang Lee, O-Jong Kim, Changdon Kee, Kybeom Kwon, Cheol Hea Koo","doi":"10.5139/jksas.2023.51.10.721","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0.721","url":null,"abstract":"SNUGLITE-II는 표준 3U 규격의 큐브위성으로, 누리호(KSLV-II)에 탑재된 성능검증위성과 함께 한국시간(UTC+9) 2022년 6월 21일 16시경 발사되었다. 이후 7월 3일 16시 23분경 성능검증위성의 P-POD(Picosatellite Orbital Deployer)로부터 사출되었으며, 익일 03시 24분경 지상국 명령에 응답함으로써 최초 교신에 성공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7월 3일 사출 직후부터 12일까지 10일간 수행되었던 SNUGLITE-II 큐브위성의 운용 결과를 다룬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302동에 위치한 지상국과 해외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운용하는 지상국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와 지상국 명령으로 수집된 위성 상태정보 기록데이터를 모두 취합하여 데이터를 시간별로 분류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SNUGLITE-II 큐브위성이 UHF 대역에서 10초 간격으로 송신하는 비콘 데이터로써, 위성의 업링크 명령, GPS 항법 정보, 전력정보, 자세제어, 센서값, 온도 그리고 식별 플래그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SNUGLITE-II 큐브위성의 위성 상태를 분석하고 탑재된 국내 개발 큐브위성용 GPS 수신기 검증과 자체 개발 자세결정 및 제어시스템의 기술적 운용 결과를 확인하였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7 32","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7658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0-31DOI: 10.5139/jksas.2023.51.10.693
Geon-Young Kim, Hyoung-Jin Lee, Jungyeom Kim, Hwanil Huh
리튬은 낮은 밀도에 비해 단위 질량당 전기 용량이 높아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을 크게 증가시켰다. 전력계의 경량화, 고효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리튬계열 배터리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항공 우주 분야는 배터리 기술 개발 트렌드에 빠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배터리 종류별 특징을 이해하고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한 사례 조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일 · 이차전지의 특성 및 차세대 전지와 전기추진 항공기에 대한 기술개발 동향을 분석하였다. 차세대 이차전지에서는 리튬 금속의 음극 활용, 고체 전해질 기술이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기술로 파악된다. 항공 분야는 중 · 대형 항공기에 전기동력 추진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차세대 전지가 적용된 비행 기술 시연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title":"Development Trends of Battery Technologies and Electrical-driven System for Aerospace Missions (PART 1 : Development Trends of Lithium based Batteries and Electrified Aircraft Propulsion System)","authors":"Geon-Young Kim, Hyoung-Jin Lee, Jungyeom Kim, Hwanil Huh","doi":"10.5139/jksas.2023.51.10.693","DOIUrl":"https://doi.org/10.5139/jksas.2023.51.10.693","url":null,"abstract":"리튬은 낮은 밀도에 비해 단위 질량당 전기 용량이 높아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을 크게 증가시켰다. 전력계의 경량화, 고효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리튬계열 배터리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항공 우주 분야는 배터리 기술 개발 트렌드에 빠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배터리 종류별 특징을 이해하고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한 사례 조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일 · 이차전지의 특성 및 차세대 전지와 전기추진 항공기에 대한 기술개발 동향을 분석하였다. 차세대 이차전지에서는 리튬 금속의 음극 활용, 고체 전해질 기술이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기술로 파악된다. 항공 분야는 중 · 대형 항공기에 전기동력 추진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차세대 전지가 적용된 비행 기술 시연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7 37","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7658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