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Sinhag nondan最新文献

英文 中文
Exploring Christian Loss of a Parent in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从现象学的角度探讨基督徒失去父母的问题
Pub Date : 2023-09-30 DOI: 10.17301/tf.2023.9.113.81
Sung-Won Kim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신앙을 가진 자녀의 부모 사별 경험을 통하여 나타난 죽음과 사별의 의미를 파악하여 죽음을 앞두고 있거나 사별을 경험한 기독교인이나 이들을 섬기는 관련 사역을 위해 제언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면담 시점을 기준으로 3년 이내에 부모 사별 경험이 있는 기독교인 8명과 면담하여 사별 경험 및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사별 및 장례 경험은 구원에 초점을 둔 사별과 장례, 준비된 사별과 장례, 감사가 넉넉한 사별, 아쉬움이 남는 사별, 신앙의 힘으로 극복중인 사별이었다. 부모 사별 후의 변화는 심리적 공허감 느낌, 자신의 죽음에 대한 기대감 형성, 자신의 사명을 발견하게 됨이다. 연구참여자들에게 (복된) 죽음이란 사명의 완수, 천국 입성의 통로, 부모님과의 재회 기약, 가족의 환송을 받는 죽음, 육신의 고통이 없는 죽음이었다. 이중 구원에 대한 관심, 감사가 있는 사별, 신앙의 힘으로 극복 중인 사별, 죽음과 사명을 연결함, 천국에 대한 기대 및 부모님과의 재회는 연구참여자 전원과 그들 부모님 대부분이 기독교인이기에 도출된 개념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교회 또는 기독교 유관기관에서 죽음을 앞둔 기독교인과 사별을 경험한 자녀 돌봄 시에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사역하기를 제안한다.
本研究的目的是通过对信仰基督教的子女的父母诀别的经验来了解死亡和诀别的意义,为了侍奉面临死亡或经历过死亡的基督教徒或他们的相关使役而提出建议。为了达到这样的目的,以面谈时间为基准,在3年内与8名有过父母死别经验的基督教徒面谈,分析了死别经验及意义。研究参与者们所经历的死别及葬礼经验是把焦点放在救援上的死别和葬礼,准备好的死别和葬礼,感激充足的死别,留下遗憾的死别,用信仰的力量克服中的死别。父母去世后的变化是心理上的空虚感,对自己死亡的期待感的形成,发现自己的使命。对于研究参与者来说,死亡是完成使命、进入天堂的通道、与父母重逢的约定、接受家人欢送的死亡、没有肉体痛苦的死亡。其中,对救援的关心、有感恩的诀别、用信仰的力量正在克服中的诀别、将死亡和使命联系起来、对天堂的期待以及与父母重逢,都是由于全体研究参与者和他们的父母大部分都是基督教徒而引出的概念。根据研究结果,本研究人员建议教会或基督教有关机构在照顾面临死亡的基督徒和经历死亡的子女时,考虑到这一特性,进行使役。
{"title":"Exploring Christian Loss of a Parent in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authors":"Sung-Won Kim","doi":"10.17301/tf.2023.9.113.81","DOIUrl":"https://doi.org/10.17301/tf.2023.9.113.81","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신앙을 가진 자녀의 부모 사별 경험을 통하여 나타난 죽음과 사별의 의미를 파악하여 죽음을 앞두고 있거나 사별을 경험한 기독교인이나 이들을 섬기는 관련 사역을 위해 제언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면담 시점을 기준으로 3년 이내에 부모 사별 경험이 있는 기독교인 8명과 면담하여 사별 경험 및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사별 및 장례 경험은 구원에 초점을 둔 사별과 장례, 준비된 사별과 장례, 감사가 넉넉한 사별, 아쉬움이 남는 사별, 신앙의 힘으로 극복중인 사별이었다. 부모 사별 후의 변화는 심리적 공허감 느낌, 자신의 죽음에 대한 기대감 형성, 자신의 사명을 발견하게 됨이다. 연구참여자들에게 (복된) 죽음이란 사명의 완수, 천국 입성의 통로, 부모님과의 재회 기약, 가족의 환송을 받는 죽음, 육신의 고통이 없는 죽음이었다. 이중 구원에 대한 관심, 감사가 있는 사별, 신앙의 힘으로 극복 중인 사별, 죽음과 사명을 연결함, 천국에 대한 기대 및 부모님과의 재회는 연구참여자 전원과 그들 부모님 대부분이 기독교인이기에 도출된 개념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교회 또는 기독교 유관기관에서 죽음을 앞둔 기독교인과 사별을 경험한 자녀 돌봄 시에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사역하기를 제안한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5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Pastoral Theological Studies on Integrative Spirituality : Focused on a Systemic Approach 综合灵修的教牧神学研究:以系统方法为焦点
Pub Date : 2023-09-30 DOI: 10.17301/tf.2023.9.113.35
Mi-young Kim, Soo-Young Kwon
본 연구는 기독교인 내담자들의 정신적 문제와 영성의 불일치에 대해 통합적 영성의 목회 돌봄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산드라 슈나이더스(S. Schneiders)의 현대적 영성의 정의를 수용하고 권수영의 영성의 내용과 기능을 통합하는 목회신학 방법론을 결합하여 통합적 영성의 개념적 정의를 내렸다. 엘리자베스 리버트(E. Liebert)의 영성 경험원형도 이론을 근거하여 임상 현장에서 연구참여자들의 내적, 관계적,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에서의 영성 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분석의 틀에 맞게 재구성하고 심리학과 신학 양축적인 접근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성 경험은 내담자의 심리 내적, 관계적, 사회•문화적, 자연 및 종교적 차원에서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형성되는 것이므로 기독(목회)상담자는 내담자의 영성 경험을 심리학과 신학의 양축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불균형과 단절의 지점을 파악하여 심리-사회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 심리 상담 기법을 활용하여 심리 내적인 균형을, 영성지도와 미시적 영성 경험을 통한 영성의 균형을,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사회구조적인 체계에서의 균형을 위해 공감적 지지자, 예언자적 선포자, 그리고 종말론적 모험가로서 실천적인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
本研究是针对基督教徒的精神问题和灵性不一致,提出综合性灵性牧会照顾的研究。桑德拉·施耐德斯(S。Schneiders)接受了现代灵性的定义,结合了将权秀英灵性的内容和功能统一起来的牧会神学方法论,给出了综合灵性的概念性定义。伊丽莎白·里伯特(E。利伯特(Liebert)的灵性经验原型也根据理论在临床现场探索研究参与者内在、关系、社会、文化和宗教层面的灵性经验。本研究为了理解研究参与者的主观经验世界,使用叙述探索方法,根据分析的框架重新组合故事,通过心理学和神学两大轴的接近进行综合分析。灵性经验是내담者的心理内在、关系、社会、文化、自然和从宗教角度상호영향交加地形成的,基督()咨询人士내담人的灵性经验心理学教会神学的梁祝接近通过分析,把握不均衡和断绝的地点,心理-社会应该介入。技法运用心理咨询心理内在平衡,灵性指导和微观灵性经验通过经营性的平衡,以及围绕这些为均衡的社会救助体系中的共鸣的支持者,先知宣布,还有末世论的冒险家作为实践性的石头可以提供春天的脚步。
{"title":"Pastoral Theological Studies on Integrative Spirituality : Focused on a Systemic Approach","authors":"Mi-young Kim, Soo-Young Kwon","doi":"10.17301/tf.2023.9.113.35","DOIUrl":"https://doi.org/10.17301/tf.2023.9.113.3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독교인 내담자들의 정신적 문제와 영성의 불일치에 대해 통합적 영성의 목회 돌봄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산드라 슈나이더스(S. Schneiders)의 현대적 영성의 정의를 수용하고 권수영의 영성의 내용과 기능을 통합하는 목회신학 방법론을 결합하여 통합적 영성의 개념적 정의를 내렸다. 엘리자베스 리버트(E. Liebert)의 영성 경험원형도 이론을 근거하여 임상 현장에서 연구참여자들의 내적, 관계적,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에서의 영성 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분석의 틀에 맞게 재구성하고 심리학과 신학 양축적인 접근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성 경험은 내담자의 심리 내적, 관계적, 사회•문화적, 자연 및 종교적 차원에서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형성되는 것이므로 기독(목회)상담자는 내담자의 영성 경험을 심리학과 신학의 양축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불균형과 단절의 지점을 파악하여 심리-사회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 심리 상담 기법을 활용하여 심리 내적인 균형을, 영성지도와 미시적 영성 경험을 통한 영성의 균형을,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사회구조적인 체계에서의 균형을 위해 공감적 지지자, 예언자적 선포자, 그리고 종말론적 모험가로서 실천적인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Revisiting the History of the Foundation of Korea Christian Institute 重新审视韩国基督教学院创立的历史
Pub Date : 2023-09-30 DOI: 10.17301/tf.2023.9.113.231
In-Soo Jeon
강서대학교의 뿌리는 한국기독교학원(Korea Christian Institute)이다. 본고에서는 이 한국기독교학원을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영어 이름인 Korea Christian College(이하 ‘KCC’)라고 불렀다. 본고는 KCC의 설립자 문제를 학문적으로 재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KCC는 ① 최수열이 단독으로 설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5년 이후, ② KCEF가 이 학교의 설립재단이라는 설, 또 ③ 홀튼이 중심이 되어 공동으로 이 학교를 설립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 이로써 KCC의 설립자에 대해 세 가지 주장이 서로 경쟁하게 되었다. 본고는 지금까지 제기된 주장 모두 일정 부분 문제가 있다고 보았고, 최수열이 중심이 되어 공동으로 학교를 설립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주장하였다. 본고의 핵심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KCC는 한 사람의 단독 사역이 아닌, 최수열과 홀튼의 협력을 통해 시작되었다. 둘째, KCEF는 KCC의 설립재단이 아니라 후원재단이다. 셋째 최수열, 홀튼, KCEF가 대학의 설립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한국 그리스도의교회 공동체는 서로 간의 갈등을 멈추고 협력해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
江西大学的根基是韩国基督教学院(Korea Christian Institute)。在本校,该韩国基督教学院被称为使用时间最长的英文名字“Korea Christian College”(以下简称“KCC”)。本高中的目的是从学术上重新讨论KCC的设立者问题。从传统上看,KCC是由崔秀烈单独设立的。然而,2015年之后,有消息称KCEF是该校的基金会,③霍尔顿是该校的共同创办人。因此,对于KCC的创立者,有三种主张相互竞争。本校认为到目前为止提出的主张都有一定的问题,认为以崔秀烈为中心共同办学的说法最有力。本文的核心主张是:第一,KCC不是通过一个人的单独活动,而是通过崔秀烈和霍顿的合作开始的。第二,KCEF不是KCC的设立财团,而是赞助财团。第三,通过崔秀烈、霍顿、KCEF在大学的设立和发展中起到核心作用的历史事实,可以得到韩国基督的教会共同体应该停止相互间的矛盾,进行合作的历史教训。
{"title":"Revisiting the History of the Foundation of Korea Christian Institute","authors":"In-Soo Jeon","doi":"10.17301/tf.2023.9.113.231","DOIUrl":"https://doi.org/10.17301/tf.2023.9.113.231","url":null,"abstract":"강서대학교의 뿌리는 한국기독교학원(Korea Christian Institute)이다. 본고에서는 이 한국기독교학원을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영어 이름인 Korea Christian College(이하 ‘KCC’)라고 불렀다. 본고는 KCC의 설립자 문제를 학문적으로 재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KCC는 ① 최수열이 단독으로 설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5년 이후, ② KCEF가 이 학교의 설립재단이라는 설, 또 ③ 홀튼이 중심이 되어 공동으로 이 학교를 설립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 이로써 KCC의 설립자에 대해 세 가지 주장이 서로 경쟁하게 되었다. 본고는 지금까지 제기된 주장 모두 일정 부분 문제가 있다고 보았고, 최수열이 중심이 되어 공동으로 학교를 설립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주장하였다. 본고의 핵심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KCC는 한 사람의 단독 사역이 아닌, 최수열과 홀튼의 협력을 통해 시작되었다. 둘째, KCEF는 KCC의 설립재단이 아니라 후원재단이다. 셋째 최수열, 홀튼, KCEF가 대학의 설립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한국 그리스도의교회 공동체는 서로 간의 갈등을 멈추고 협력해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9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2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Possibility and the Limitation of AI Preaching in Light of the Theology of Paul Tillich 从保罗·蒂利希的神学看人工智能布道的可能性与局限性
Pub Date : 2023-09-30 DOI: 10.17301/tf.2023.9.113.165
Jin-Ho Suh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오늘날 신학적으로 다루어야 할 시급한 문제이다. 지금까지 AI에 대한 연구는 실천신학적인 연구들에 집중되었기에 AI 자체를 다루는 조직신학적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틸리히 신학을 통하여 AI를 신학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하지만 AI 전체를 모두 다루기에는 지면상의 한계가 있기에 본고에서는 AI 설교로 범위를 제한할 것이다. AI가 온전한 설교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은 거룩 개념에서 찾을 수 있다. 본질적으로 거룩한 것은 없고, 무조건적인 것을 나타내는 결과에 따라 거룩이 결정되기 때문에 AI 또한 거룩할 수 있다. 또한 거룩은 세속을 통해서만, 무한은 유한을 통해서만 표현될 수 있기에 유한한 AI는 무한한 하나님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성례전은 하나님을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것을 뜻하기에 AI도 성례전이 될 수 있다. 하지만 AI 설교는 한계도 지니고 있다. 틸리히에 따르면 AI는 상징이 될 수 없다. 또한 AI는 성령의 현존을 경험할 수 없다. 그리고 중심화된 자기를 지니지 못하는 AI는 말을 통한 의사소통을 할 수가 없다. 말을 할 수 없기에 하나님의 말씀도 다룰 수 없다. 한편 AI는 도구적 이성만 소유하고 이성의 깊이를 지니지 못하기에 하나님을 만나는 자리를 소유하지 못한다. 이런 점들 때문에 AI 설교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파악하는 것은 향후 교회가 AI 열풍에 무분별하게 휘둘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人工智能(Artificial Intelligence, AI)是当今神学上需要解决的紧急问题。到目前为止,AI的研究主要集中在实践神学上,因此对AI本身的组织神学研究相对不足。因此,本高中将通过蒂利希神学对AI进行神学上的分析。但是要想处理整个AI,地面上存在一定的局限性,因此本高中会将范围限制在AI说教上。AI进行完整说教的可能性可以从神圣概念中找到。因为没有本质上神圣的东西,而是根据无条件的结果决定神圣,所以AI也可以神圣。另外,神圣只能通过世俗表现,无限只能通过有限表现,因此有限的AI可以表现无限的上帝。而且,圣礼殿意味着能够代表上帝的一切,所以AI也可以成为圣礼殿。但是AI说教也有一定的局限性。根据蒂利希的说法,AI不能成为象征。另外,AI不能体验圣灵的存在。而且,不具备中心化自我的AI无法通过语言进行沟通。因为不能说话,所以也不能谈论上帝的话语。另外,AI只拥有工具上的理性,不具备理性的深度,因此不拥有与上帝见面的位置。正因为如此,AI说教具有一定的局限性。掌握这样的局限性,可以防止以后教会被AI热潮任意摆布。
{"title":"The Possibility and the Limitation of AI Preaching in Light of the Theology of Paul Tillich","authors":"Jin-Ho Suh","doi":"10.17301/tf.2023.9.113.165","DOIUrl":"https://doi.org/10.17301/tf.2023.9.113.165","url":null,"abstract":"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오늘날 신학적으로 다루어야 할 시급한 문제이다. 지금까지 AI에 대한 연구는 실천신학적인 연구들에 집중되었기에 AI 자체를 다루는 조직신학적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틸리히 신학을 통하여 AI를 신학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하지만 AI 전체를 모두 다루기에는 지면상의 한계가 있기에 본고에서는 AI 설교로 범위를 제한할 것이다. AI가 온전한 설교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은 거룩 개념에서 찾을 수 있다. 본질적으로 거룩한 것은 없고, 무조건적인 것을 나타내는 결과에 따라 거룩이 결정되기 때문에 AI 또한 거룩할 수 있다. 또한 거룩은 세속을 통해서만, 무한은 유한을 통해서만 표현될 수 있기에 유한한 AI는 무한한 하나님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성례전은 하나님을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것을 뜻하기에 AI도 성례전이 될 수 있다. 하지만 AI 설교는 한계도 지니고 있다. 틸리히에 따르면 AI는 상징이 될 수 없다. 또한 AI는 성령의 현존을 경험할 수 없다. 그리고 중심화된 자기를 지니지 못하는 AI는 말을 통한 의사소통을 할 수가 없다. 말을 할 수 없기에 하나님의 말씀도 다룰 수 없다. 한편 AI는 도구적 이성만 소유하고 이성의 깊이를 지니지 못하기에 하나님을 만나는 자리를 소유하지 못한다. 이런 점들 때문에 AI 설교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파악하는 것은 향후 교회가 AI 열풍에 무분별하게 휘둘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3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Inclusion through Recognition of Differences : Modern Analysis and Criticism of the Case of Cain’s Murder 承认差异中的包容:该隐谋杀案的现代分析与批判
Pub Date : 2023-09-30 DOI: 10.17301/tf.2023.9.113.7
Kee-Yong Kim
고대 이스라엘 사회는 혈연으로 맺어진 씨족공동체로 현대시민사회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시민사회는 공동체성을 지향한다. 이에 우선 시민사회의 역사를 고대 그리스(키케로: civilis societas)에서 찾는 것처럼, 본 논문에서는 신학적 접근을 통해 시민사회의 역사적 근거를 가인과 아벨로부터 찾아보는 시도를 한다. 그럼으로써 결국 변화기에 처한 한국 사회가 어떻게 세계 공공성의 표준에 맞도록 도약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회의 역할을 진단하게 된다. 가인과 아벨의 상황 연구를 통해 오늘의 한국 교회와 사회를 진단하는 일은 그만큼 중요하다. 왜냐하면 첫째로 아직 한국사회에는 발전된 시민사회 모델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둘째로 인구학적인 변화와 노동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인력의 유입 등은 분명히 한국 사회가 그에 맞는 정책적 대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교회를 비롯한 시민사회의 유연한 역할은 국가적 변화 상황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된다. 시민사회로서의 한국 교회는 이에 합당한 윤리성을 갖추어야 한다. 즉, 현대 사회 및 세계 질서의 흐름을 읽고 진단하여 적합하게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론과 실천은 서로 조화롭게 균형 발전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론의 영역에 주목하여 교회가 추구해야 할 사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대한 신학, 실천철학 및 사회과학적 연구는 가인과 아벨의 이야기를 통해서 구조적으로 확인된다.
古代以色列社会是由血缘结成的氏族共同体,与现代市民社会性质不同。尽管如此,今天的市民社会还是向往共同体性。首先,就像在古希腊(西塞罗:civilis societas)中寻找市民社会的历史一样,本论文试图通过神学的方法,从佳仁和亚伯身上寻找市民社会的历史根据。这样就可以诊断出教会在处于变化期的韩国社会如何飞跃到符合世界公共性标准上的作用。通过佳仁和亚伯的状况研究,诊断今天的韩国教会和社会是非常重要的事情。因为,第一,韩国社会目前还需要发展的市民社会模式;第二,人口学上的变化和劳动市场的开放导致的人力流入等,韩国社会明显要求采取相应的政策。从结论上看,包括教会在内的市民社会的灵活作用将对国家变化状况做出巨大贡献。作为市民社会,韩国教会应该具备相应的伦理性。即,要具备解读现代社会及世界秩序的潮流,进行诊断,并适当实行的能力。理论和实践应该相互协调、均衡发展,这篇论文将关注理论领域,探讨教会应该追求的使命。神学、实践哲学和社会科学的研究可以通过佳仁和亚伯的故事从结构上得到确认。
{"title":"Inclusion through Recognition of Differences : Modern Analysis and Criticism of the Case of Cain’s Murder","authors":"Kee-Yong Kim","doi":"10.17301/tf.2023.9.113.7","DOIUrl":"https://doi.org/10.17301/tf.2023.9.113.7","url":null,"abstract":"고대 이스라엘 사회는 혈연으로 맺어진 씨족공동체로 현대시민사회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시민사회는 공동체성을 지향한다. 이에 우선 시민사회의 역사를 고대 그리스(키케로: civilis societas)에서 찾는 것처럼, 본 논문에서는 신학적 접근을 통해 시민사회의 역사적 근거를 가인과 아벨로부터 찾아보는 시도를 한다. 그럼으로써 결국 변화기에 처한 한국 사회가 어떻게 세계 공공성의 표준에 맞도록 도약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회의 역할을 진단하게 된다. 가인과 아벨의 상황 연구를 통해 오늘의 한국 교회와 사회를 진단하는 일은 그만큼 중요하다. 왜냐하면 첫째로 아직 한국사회에는 발전된 시민사회 모델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둘째로 인구학적인 변화와 노동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인력의 유입 등은 분명히 한국 사회가 그에 맞는 정책적 대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교회를 비롯한 시민사회의 유연한 역할은 국가적 변화 상황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된다. 시민사회로서의 한국 교회는 이에 합당한 윤리성을 갖추어야 한다. 즉, 현대 사회 및 세계 질서의 흐름을 읽고 진단하여 적합하게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론과 실천은 서로 조화롭게 균형 발전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론의 영역에 주목하여 교회가 추구해야 할 사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대한 신학, 실천철학 및 사회과학적 연구는 가인과 아벨의 이야기를 통해서 구조적으로 확인된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49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ocial-Scientific Interpretation of Parable of the Great Feast(Luke 14:15-24) : Gossip Network, Honor Game, and Reciprocity 盛宴寓言的社会科学解读(路加福音14:15-24):八卦网络、荣誉游戏与互惠
Pub Date : 2023-09-30 DOI: 10.17301/tf.2023.9.113.125
Heung-Yong Park
본 고는 일명 ‘큰 잔치 비유’(눅 14:15-21)를 사회과학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1세기 지중해 연안 세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회과학적 개념인 ‘명예게임’과 ‘보호자-피보호자의 호혜작용’, 그리고 ‘가십 네트워크’를 통해 비유가 전제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을 규명하고, 그 상황 안에서 비유가 던져주는 의미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큰잔치 비유는 종말론적 잔치나 이방인 구원의 정당성, 제자도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예수 당시 팔레스타인 사회(그리고 1세기 지중해 주변 세계)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였던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에 놓인 사회적 경계를 허무는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사회질서에 관한 이야기임을 밝힌다. 다시 말해 이 비유는 두 개의 세상, 즉 상호주의가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사회적 경계와 계급 구조가 점점 더 뚜렷해지는 이 세상과 그 모든 것이 무의미한 하나님 나라를 동시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태도를 취하며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이야기이다.
本古以社会科学的角度考察了“大宴比喻”(14:15-21)。特别是1世纪地中海沿岸的世界,理解是,一个极为重要的社会科学概念的“名誉游戏”和“保护者-被保护者的互利作用,以及通过“八卦网络”的比喻为前提的社会情况,并查明情况里的比喻的意义的把握。通过这一盛大宴会的末世论宴会比喻弟子的异乡人救援是正确的,我也不是故事,而是耶稣关于当时巴勒斯坦社会(以及1世纪地中海周围的世界)的最一般的特征之一的富人和穷人之间的社会边界虚无的神国家关于新的社会秩序的故事表明定期租赁。换句话说,这个比喻是两个世界,即互惠主义依然发挥强大的力量,社会警戒和阶级结构变得越来越明显的这个世界与上帝,那都是无谓的同时生活的东正教国家们是否应该采取什么态度,生活告诉我们的故事。
{"title":"A Social-Scientific Interpretation of Parable of the Great Feast(Luke 14:15-24) : Gossip Network, Honor Game, and Reciprocity","authors":"Heung-Yong Park","doi":"10.17301/tf.2023.9.113.125","DOIUrl":"https://doi.org/10.17301/tf.2023.9.113.125","url":null,"abstract":"본 고는 일명 ‘큰 잔치 비유’(눅 14:15-21)를 사회과학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1세기 지중해 연안 세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회과학적 개념인 ‘명예게임’과 ‘보호자-피보호자의 호혜작용’, 그리고 ‘가십 네트워크’를 통해 비유가 전제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을 규명하고, 그 상황 안에서 비유가 던져주는 의미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큰잔치 비유는 종말론적 잔치나 이방인 구원의 정당성, 제자도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예수 당시 팔레스타인 사회(그리고 1세기 지중해 주변 세계)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였던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에 놓인 사회적 경계를 허무는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사회질서에 관한 이야기임을 밝힌다. 다시 말해 이 비유는 두 개의 세상, 즉 상호주의가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사회적 경계와 계급 구조가 점점 더 뚜렷해지는 이 세상과 그 모든 것이 무의미한 하나님 나라를 동시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태도를 취하며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이야기이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pirituality of Jesus’ Miracle in the Gospel of Mark 马可福音中耶稣神迹的灵性
Pub Date : 2023-09-30 DOI: 10.17301/tf.2023.9.113.193
Eun-Ho You
본 논문은 마가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영성이 이적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논문에서 마가공동체의 사회적·역사적 정황과 영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예수의 영성을 추적하였다. 본 논문은 동방정교회나 로마 가톨릭교회가 영성의 삶을 규정할 때 사용한 그리스 철학 전통에 기반을 둔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tool)에 대비되는 성서에 기반을 둔 마가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이적 영성을 새로운 해석학적 도구로 제시하였다. 필자는 마가공동체에는 두 그룹이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즉, 한 그룹은 묵시적 소종파 그룹이며, 다른 그룹은 예수의 이적을 선호하는 영성 그룹이다.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학자들은 마가공동체는 주로 묵시적 소종파 그룹으로 구성되었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마가공동체에는 예수의 이적을 선호한 영성 그룹도 함께 공존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두 그룹은 마가공동체가 처한 유대-로마 전쟁의 핍박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들이 선호하는 신학 혹은 영성 사상을 가지고 핍박을 극복하려고 했다고 추정한다. 특히, 마가공동체의 영성 그룹은 예수가 행한 축귀, 병 고침 그리고 자연 이적을 통하여 자신들의 핍박 상황에서 예수의 이적이 재현되어 구원받기를 희망했다고 본다. 따라서 마가공동체의 영성 그룹이 계승한 축귀, 병 고침 그리고 자연 이적은 예수의 이적 영성의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사회학적 성서해석과 마가복음서와 다른 복음서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본 논문이 의미 있는 것은 이적이 예수의 영성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으므로 지금까지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로는 규정할 수 없었던 영성사에 나타난 이적가를 영성가로 재평가할 수 있는 성서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나아가 지금까지 그리스 전통의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와 대비되는 성서적이고, 영성 신학적이며, 그리고 개신교적인 새로운 해석학적 도구를 부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이다.
本论文表明,马在福音书中出现的耶稣的灵性是利敌。笔者在论文中考虑到马家共同体的社会、历史情况和灵性方面,对耶稣的灵性进行了追踪。本论文是东正教的罗马天主教教会我灵性的规定生活时使用的希腊哲学传统为基础的“面相”和“活动”的解释学籍在工具(tool)对比,圣经为基础的巴马福音耶稣出现在转会经营性的机械工具提出了新的解释。笔者推测,在马家共同体中存在两个集团。一组是默示性的小宗派,另一组是希望耶稣转会的灵性集团。迄今为止,学者们通常坚持“马家共同体”主要由默示性小宗派集团组成的立场。但这篇论文认为,在马加共同体中,也有希望耶稣转会的灵性集团。这两组人认为,马加共同体为了克服犹太-罗马战争的紧迫状况,试图用自己喜欢的神学或灵性思想来克服紧迫状况。特别是,马家共同体的灵性集团希望通过耶稣所做的祝鬼、治病以及自然转会,在自己紧迫的情况下再现耶稣的转会并得到拯救。因此,马家共同体的灵性集团继承的祝鬼、治病以及自然转籍可以说是耶稣转籍灵性的核心内容。本论文的研究方法使用了社会学的声书解释和马加福音书与其他福音书相比较的方法。另外,本论文有意义是转会耶稣的灵性,这一点表明,到目前为止“观赏”和“活动”的分析学工具无法规定了转会的经营性公司出现在有灵性了横向可以重新评价的圣经根据的准备了。更进一步,提出了与至今为止希腊传统的观相和活动这一解释学工具相比较的圣书性、灵性神学性以及新教性的部分解释学工具。
{"title":"Spirituality of Jesus’ Miracle in the Gospel of Mark","authors":"Eun-Ho You","doi":"10.17301/tf.2023.9.113.193","DOIUrl":"https://doi.org/10.17301/tf.2023.9.113.193","url":null,"abstract":"본 논문은 마가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영성이 이적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논문에서 마가공동체의 사회적·역사적 정황과 영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예수의 영성을 추적하였다. 본 논문은 동방정교회나 로마 가톨릭교회가 영성의 삶을 규정할 때 사용한 그리스 철학 전통에 기반을 둔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tool)에 대비되는 성서에 기반을 둔 마가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이적 영성을 새로운 해석학적 도구로 제시하였다. 필자는 마가공동체에는 두 그룹이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즉, 한 그룹은 묵시적 소종파 그룹이며, 다른 그룹은 예수의 이적을 선호하는 영성 그룹이다.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학자들은 마가공동체는 주로 묵시적 소종파 그룹으로 구성되었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마가공동체에는 예수의 이적을 선호한 영성 그룹도 함께 공존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두 그룹은 마가공동체가 처한 유대-로마 전쟁의 핍박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들이 선호하는 신학 혹은 영성 사상을 가지고 핍박을 극복하려고 했다고 추정한다. 특히, 마가공동체의 영성 그룹은 예수가 행한 축귀, 병 고침 그리고 자연 이적을 통하여 자신들의 핍박 상황에서 예수의 이적이 재현되어 구원받기를 희망했다고 본다. 따라서 마가공동체의 영성 그룹이 계승한 축귀, 병 고침 그리고 자연 이적은 예수의 이적 영성의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사회학적 성서해석과 마가복음서와 다른 복음서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본 논문이 의미 있는 것은 이적이 예수의 영성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으므로 지금까지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로는 규정할 수 없었던 영성사에 나타난 이적가를 영성가로 재평가할 수 있는 성서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나아가 지금까지 그리스 전통의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와 대비되는 성서적이고, 영성 신학적이며, 그리고 개신교적인 새로운 해석학적 도구를 부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이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Sinhag nondan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