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KOREA SCIENCE & ART FORUM最新文献

英文 中文
The Study of Museumscape Strategies for Namsangol Hanok Village focusing on Traditional Cultural Art Convergence 以传统文化艺术融合为中心的南山古韩屋村博物馆景观策略研究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151
Yeon Kyoung Yang
{"title":"The Study of Museumscape Strategies for Namsangol Hanok Village focusing on Traditional Cultural Art Convergence","authors":"Yeon Kyoung Yang","doi":"10.17548/KSAF.2018.12.30.151","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151","url":null,"abstract":"","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09625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tudy on the Design i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 Focused on Education System and Government Policy from a Perspective of Fusion and Convergence - 朝鲜民主主义人民共和国设计研究——以融合与趋同视角下的教育制度与政府政策为中心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413
Soo Ha Joon
{"title":"Study on the Design i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 Focused on Education System and Government Policy from a Perspective of Fusion and Convergence -","authors":"Soo Ha Joon","doi":"10.17548/ksaf.2018.12.30.413","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413","url":null,"abstract":"","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65943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 Study on Morphun Convergence Jewelry Design of Deformable Assembly Using Digital System 基于数字系统的变形装配Morphun收敛珠宝设计研究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199
Jaehan Yoon
{"title":"A Study on Morphun Convergence Jewelry Design of Deformable Assembly Using Digital System","authors":"Jaehan Yoon","doi":"10.17548/ksaf.2018.12.30.199","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199","url":null,"abstract":"","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5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5881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Science Museum Exhibition Commentary Programs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科技馆展览解说节目对用户满意度和回访意愿的影响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401
Choi Jungwon, Nam, Taewoo
{"title":"The Effect of Science Museum Exhibition Commentary Programs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authors":"Choi Jungwon, Nam, Taewoo","doi":"10.17548/KSAF.2018.12.30.401","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401","url":null,"abstract":"","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22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29758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Case Study on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of Big Bang Integrated Theme for Science Museum Experiential Exhibition 科学馆体验展大爆炸融合主题教育节目开发案例研究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209
Dong wook Lee
{"title":"Case Study on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of Big Bang Integrated Theme for Science Museum Experiential Exhibition","authors":"Dong wook Lee","doi":"10.17548/KSAF.2018.12.30.209","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209","url":null,"abstract":"","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40 8","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0129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Proposal of Learning Ethics Education in the Multi-disciplinary Design Field for the Prevention of Plagiarism 多学科设计领域的学习伦理教育对防止抄袭的建议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37
Ji In Kim
본 연구의 목적은 표절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예방적 차원의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내용을 제안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지식재산권 관련 법령, 디자인 보호 및 표절 관련 선행 연구의 고찰, 표절과 관련된 분쟁 사례를 수집하였다. 사례수집 대상은 국내·외에서 표절과 관련되어 논란, 혹은 분쟁이 일어나 기사화 된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 방법은 발행, 유료부수 인증 상위 3개 신문사의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검색을 통해 수집했다. 수집 범위는 2016년 1월에서 2018년 10월까지의 기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지식재산권은 산업재산권과 저작권으로 분류되며 보호 대상 및 범위 권리의 발생은 상이했다. 2)디자인 분야에서 표절은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게임, 모바일 관련 분쟁이 다수 발생해 산업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었다. 3)분석을 통해 패러디, 차용, 오마주 및 표절의 차이, 게임 룰 및 컨셉의 보호, 색채 및 문양 디자인, 트레이드 드레스와 연관된 쟁점을 문제로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제안할 수 있는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권의 개념 및 법령 교육, 둘째, 디자인 분야에서의 패러디, 차용, 오마주 및 표절의 개념 및 차이·사례, 셋째, 게임디자인의 컨셉 및 규칙에 대한 창의적 접근 교육, 넷째, 색채 및 문양의 상표로서의 기능 및 권리 범위에 대한 이해, 다섯째 트레이드 드레스 개념 및 적용 범위에 대한 이해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단순한 지식재산권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넘어 디자인 현장의 쟁점을 반영한 예방적 차원에서의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 내용을 도출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本研究的目的在于提出以剽窃相关内容为中心的预防角度的设计学习伦理教育内容。为此,收集了知识产权相关法令,设计保护及剽窃相关先行研究的考察,剽窃相关纠纷事例。事例收集对象是以国内外因剽窃而引发争议或纠纷而被报道的事例为对象,收集方法是通过访问发行、收费发行量认证前3位报社的网站进行搜索来收集。收集范围以2016年1月至2018年10月的报道为对象。研究结果整理如下:1 .知识产权分为产业产权和著作权,保护对象及范围权利的产生不同。2)在设计领域,剽窃反映了领域的特性,呈现出多种形态,发生了多起游戏、移动通信相关纠纷,反映了产业的发展趋势。3)通过分析可以导出模仿、借用、误主及剽窃的差异、游戏规则及概念的保护、色彩及纹样设计、交换礼服等相关的争论点。通过研究结果可以提出的设计学习伦理教育内容如下。第一,知识产权的概念及法令教育,二是设计领域的模仿,借用奥面对面和剽窃的概念及差异、事例,第三,游戏设计的概念和规则对创意性教育,接近第四,色彩及图案作为商标的功能以及对权利范围的理解,第五交易(carry trade)礼服对概念和适用范围的理解。本研究通过先行研究及事例分析,超越了对单纯知识产权的概念性理解,从反映设计现场争论点的预防角度出发,引出了设计学习伦理教育内容,从这一点可以看出其意义。
{"title":"A Proposal of Learning Ethics Education in the Multi-disciplinary Design Field for the Prevention of Plagiarism","authors":"Ji In Kim","doi":"10.17548/KSAF.2018.12.30.37","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37","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표절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예방적 차원의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내용을 제안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지식재산권 관련 법령, 디자인 보호 및 표절 관련 선행 연구의 고찰, 표절과 관련된 분쟁 사례를 수집하였다. 사례수집 대상은 국내·외에서 표절과 관련되어 논란, 혹은 분쟁이 일어나 기사화 된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 방법은 발행, 유료부수 인증 상위 3개 신문사의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검색을 통해 수집했다. 수집 범위는 2016년 1월에서 2018년 10월까지의 기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지식재산권은 산업재산권과 저작권으로 분류되며 보호 대상 및 범위 권리의 발생은 상이했다. 2)디자인 분야에서 표절은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게임, 모바일 관련 분쟁이 다수 발생해 산업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었다. 3)분석을 통해 패러디, 차용, 오마주 및 표절의 차이, 게임 룰 및 컨셉의 보호, 색채 및 문양 디자인, 트레이드 드레스와 연관된 쟁점을 문제로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제안할 수 있는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권의 개념 및 법령 교육, 둘째, 디자인 분야에서의 패러디, 차용, 오마주 및 표절의 개념 및 차이·사례, 셋째, 게임디자인의 컨셉 및 규칙에 대한 창의적 접근 교육, 넷째, 색채 및 문양의 상표로서의 기능 및 권리 범위에 대한 이해, 다섯째 트레이드 드레스 개념 및 적용 범위에 대한 이해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단순한 지식재산권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넘어 디자인 현장의 쟁점을 반영한 예방적 차원에서의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 내용을 도출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88699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tudy of VR/AR Coding Education Framework strategic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中小学生VR/AR编码教育框架策略研究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85
H. Nam
{"title":"Study of VR/AR Coding Education Framework strategic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authors":"H. Nam","doi":"10.17548/ksaf.2018.12.30.85","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85","url":null,"abstract":"","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6554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4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in residential space integrat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ildren’s family education 结合中国儿童家庭教育特点的居住空间设计方向研究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1
Cheng-lin Gao
{"title":"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in residential space integrat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ildren’s family education","authors":"Cheng-lin Gao","doi":"10.17548/KSAF.2018.12.30.1","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1","url":null,"abstract":"","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2756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Architecture Type Classification of Northern European Informal Architecture - Focusing on Netherlands, Denmark and Malmö, Sweden - 北欧非正式建筑类型分类研究——以荷兰、丹麦和Malmö、瑞典为例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121
Sang Jun Park
본 연구는 최근 21세기 과학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건축의 패러다임에 있어서도 새로운 조형언어를 생성시키고 있음을 배경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건축에 있어서 과거와는 구별되는 다양하고 역동적인, 그리고 비기하학적인 형태 및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정형적 형태의 분류와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의 비정형 건축형태 분류는 일차적으로 디지털 디자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고도화, 전문화 되어 디지털 형상 과정을 분석가능하며 이차적으로 비정형 프로세스를 위한 효율적인 디지털도구의 정보 체계 구축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비정형건축의 현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북유럽의 비정형건축을 답사하고 사례고찰을 통해서 비정형건축의 이론 즉, Kare Vollers가 말한 비정형 건물의 기하학적 분류를 바탕으로 네덜란드, 덴마크의 사례 형태 분류를 한다. 셋째,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고 비정형 형태 분류를 통하여 북유럽 비정형의 특징을 토대로 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결론으로 도출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북유럽의 실증적 현황 사례에 관하여 최근의 비정형 건축의 Kare Vollers 형태의 분류를 통해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공통점은 EX[angle], TR[shear]의 경사면과 사선면이고 차이점은 내·부 양면성의 조합과 조형적 접근에 있다. 따라서 다변화 비정형에 대응하기 위해서 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차후 연구되어질 국내의 비정형 건축과 비교하여 비정형 건축의 형태 계보를 집대성하고 방향성 제시하는데 기초적 데이터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本研究的背景是,最近21世纪科学技术的发展对各个领域产生了极大的影响,在建筑范式上也产生了新的造型语言。它在建筑上创造了不同于过去的多样的,活跃的,非下层的形态和空间。为此,有必要进行非典型形态的分类和分析。本论文的细微건축형태分类的一次性数码设计得益于技术的迅猛发展,随着数字媒体的出现和升级、专业化,数字分析家形象的过程,善于次要为细微进程的有效的数码工具的信息体系,还可以期待。本研究的研究方法及结果如下。第一,以北欧非典型建筑的现状和特性为中心,通过文献调查和先行研究的考察,提出理论根据。第二,对北欧的非定型建筑进行实地考察和案例考察,以非定型建筑理论,即Kare Vollers所说的非定型建筑的几何分类为基础,对荷兰和丹麦的事例形态进行分类。三是对事例进行具体说明,通过非定型形态分类,在北欧非定型特征的基础上,通过比较分析得出结论。本研究的结果是,对于北欧的实证现状事例,通过对最近的非定型建筑Kare Vollers形态的分类,荷兰和丹麦的共同点是EX[angle]、TR[shear]的倾斜面和斜面,不同之处是内部两面性的组合和造型的接近。因此,为了应对多边化的不定型,需要融合性的接近。与今后将研究的国内非定型建筑相比,可以成为集非定型建筑形态系谱和提示方向性的基础数据,在这一点上具有重大意义。
{"title":"A Study on Architecture Type Classification of Northern European Informal Architecture - Focusing on Netherlands, Denmark and Malmö, Sweden -","authors":"Sang Jun Park","doi":"10.17548/KSAF.2018.12.30.121","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12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최근 21세기 과학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건축의 패러다임에 있어서도 새로운 조형언어를 생성시키고 있음을 배경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건축에 있어서 과거와는 구별되는 다양하고 역동적인, 그리고 비기하학적인 형태 및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정형적 형태의 분류와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의 비정형 건축형태 분류는 일차적으로 디지털 디자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고도화, 전문화 되어 디지털 형상 과정을 분석가능하며 이차적으로 비정형 프로세스를 위한 효율적인 디지털도구의 정보 체계 구축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비정형건축의 현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북유럽의 비정형건축을 답사하고 사례고찰을 통해서 비정형건축의 이론 즉, Kare Vollers가 말한 비정형 건물의 기하학적 분류를 바탕으로 네덜란드, 덴마크의 사례 형태 분류를 한다. 셋째,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고 비정형 형태 분류를 통하여 북유럽 비정형의 특징을 토대로 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결론으로 도출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북유럽의 실증적 현황 사례에 관하여 최근의 비정형 건축의 Kare Vollers 형태의 분류를 통해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공통점은 EX[angle], TR[shear]의 경사면과 사선면이고 차이점은 내·부 양면성의 조합과 조형적 접근에 있다. 따라서 다변화 비정형에 대응하기 위해서 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차후 연구되어질 국내의 비정형 건축과 비교하여 비정형 건축의 형태 계보를 집대성하고 방향성 제시하는데 기초적 데이터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12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6212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Cultivation of Convergence-Type Professional Manpower in Chinese Universities - Comparison of Industrial Design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 中国大学培养汇聚型专业人才的教育体系研究——韩国和中国大学工业设计课程的比较
Pub Date : 2018-12-31 DOI: 10.17548/KSAF.2018.12.30.71
H. Jin, Yinghua Jin
{"title":"A Study on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Cultivation of Convergence-Type Professional Manpower in Chinese Universities - Comparison of Industrial Design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authors":"H. Jin, Yinghua Jin","doi":"10.17548/KSAF.2018.12.30.71","DOIUrl":"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71","url":null,"abstract":"","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13976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KOREA SCIENCE & ART FORUM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